KR200165509Y1 -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509Y1
KR200165509Y1 KR2019990016533U KR19990016533U KR200165509Y1 KR 200165509 Y1 KR200165509 Y1 KR 200165509Y1 KR 2019990016533 U KR2019990016533 U KR 2019990016533U KR 19990016533 U KR19990016533 U KR 19990016533U KR 200165509 Y1 KR200165509 Y1 KR 200165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portable
portable telephone
teleph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2019990016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를 직접 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통신응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전화기와 소형 송수신기에 각각 무선모뎀을 장치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시 편의성과 편리성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잭(2)에 꽂을 수 있는 부착형 송수신기(10)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송수신기(20)를 마련하여 상호 무선에 의해서 신호를 송수신토록 상기 휴대용 송수신기(20)에 버턴부를 마련하여 휴대용 송수신기를 통하여 휴대용 전화기(1)로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응용장치{An impro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in short distance}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를 직접 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통신응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전화기와 소형 송수신기에 각각 무선모뎀을 장치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시 편의성과 편리성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지금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홍수는 각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역할이 크다고 하겠다. 통상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는 크기가 크고 비교적 무겁게 만들어져 사용자의 불편이 많았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공급자는 사용자에게 크기가 간소화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고 있으나, 기존의 크고 무거운 기종의 휴대용 전화기를 소지하고 있는 자들은 새로운 모델의 전화기를 새로이 구입해야 한다. 이는 생산업체로 하여금 기존의 모델개발에 투입된 개발비를 건지기도 전에 신제품을 가능한 한 빨리 개발해야 하는 부담감을 가지게 하면서도 소비자들은 1년도 채 사용하지 않아서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도록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휴대폰은 사용자가 전화기를 들고서 통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통화시에는 전화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전화기는 사용자가 전화기에서 많이 발생하게 되는 전자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형태로 전자파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대부분이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을 해소코자 제조업체에서는 도 1과 같이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30을 연결할 수 있는 이어폰잭2을 마련하여 전화기 소지자가 이에 이어폰을 꽂아서 전화기의 마이크와 스피커로 가는 신호를 이어폰으로 송수신하여 사용토록 하였다.
즉, 이는 휴대용 전화기1의 마이크(송화기)와 스피커(수화기)의 출력을 이어폰30을 통하여 스피커 음성은 사람의 귀에, 그리고 사람의 음성은 이어폰30으로 통하여 마이크 입력신호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1의 어어폰30은 유선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휴대용 전화기1를 주머니에 넣거나 손으로 휴대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이어폰30의 줄이 사용상 불편하며, 만일 전화기 본체가 가방등에 넣어져 있을 경우 더욱 더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파에서 사용자가 벗어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화기와 소형 송수신기에 무선모뎀을 장치하여 전화통화를 가능케 한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해서 휴대용 전화기의 이어폰 잭에 꽂아서 전화기에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에 송신 또는 송수신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송수신기를 마련하여 상호 무선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이어폰을 이용한 종래 휴대폰의 기능적 구조도
도 2은 본 고안의 무선모뎀을 이용한 휴대폰의 기능적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휴대용 전화기
2 : 이어폰잭
10,20 : 송수신기
11,21 : 안테나
도 2는 본 고안의 간략한 기능적 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잭2에 꽂을 수 있는 부착형 송수신기10(무선모뎀)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송수신기20(무선모뎀)로 대분되며 이들은 상호 무선에 의해서 신호를 송수신토록 한다.
상기 부착형 송수신기10는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잭2에 꽂을 수 있으며 이는 휴대용 전화기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용 송수신기2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송수신기20는 부착형 송수신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부착형 송수신기10에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는 LED등(도시되지 않음)을 마련하여 전화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송수신기10,20에는 안테나11,21를 마련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휴대용 전화기1의 스피커 출력을 부착형 송수신기10를 통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20로 송신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송수신기20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듣고 또한 휴대용 송수신기20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성 음성신호를 전화기1측 부착형 송수신기10로 전송하여, 전화기1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도모키 위하여 휴대용 송수신기20에 버턴부(도시되지 않음)를 마련하여 휴대용 송수신기를 통하여 전화기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의 송수신기10,20는 종래와 같이 FM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송수신기는 이중통신방식(Full Duplex)으로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단 이 통신방식에는 비화기능을 첨가하여야 하며 이 비화기능은 해당 휴대 단말기측과 사람이 소지할 소지단말기 사이에만 특수코드로 비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주파수는 개인용주파수(Citizen's band)나 기타 소출력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주파수 대역을 이에 적용할 수 있다.
출력은 소비전력과 주변상황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보통 수 mW 정도의 출력이면 충분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의 휴대용 전화기1과의 통신장치는 그 전파통달거리가 같은 지역내에 여러 사람이 존재할 경우 특정인의 통화내용이 다른 사람에게도 들리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순한 도청방지(Scrambling)기능을 포함한다.
즉, 휴대용 전화기1와 사용자 사이의 통신신호는 모두 자신만의 비밀번호로 비화시켜 통신토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주로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잭2에 부착형 송수신기10를 연결하여 가방등의 소지품 속에 넣고, 사용자의 신체(귀, 입에 가까울수록 좋음)에 휴대용 송수신기20를 부착하거나 주머니등에 넣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1의 전화를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한 송수신기10에 LED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전화기1에는 종래와 같이 원터치(One touch) 수신기능을 적용하여 가방등에 들어 있는 휴대용 전화기1를 꺼내지 않더라도 전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1와 사용자 사이에 간단한 송수신기10,2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고 다니는 소형으로 되는 송수신기10를 통하여 휴대용 전화기1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그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잭2에 꽂아서 전화기1에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10와 상기 송수신기10에 송신 또는 송수신기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송수신기20를 마련하여 상호 무선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하기와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다.
1. 휴대용 전화기1를 주머니등에 넣고 다닐 필요가 없어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만 하면 되므로 가방등에 넣고 다닐 수 있다.
2. 종래의 방법에서처럼 휴대용 전화기1를 직접 휴대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의 상대적 고출력 전자파를 가능한 한 저주파의 저출력 전자파로 변환함으로써 인체에 미칠지도 모르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종래의 방법에서 유선의 이어폰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방법에서는 휴대용 전화기1와 사용자의 귀 또는 입까지 유선을 사용함으로써 팔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무선을 사용하므로 통화 중에도 동작이 자유롭다.
4.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1 뿐만 아니라 다른 가전제품과도 연결이 가능하며, 가정에서의 유선전화기에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집안 일을 수행하면서도 자유롭게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정의 TV에도 연결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멀리서 TV를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하고 무게가 무거운 등의 불편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직접 들고 있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잇점을 득할 수 있고 또한 전화기를 소지하지 않아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여러 잇점을 득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휴대용 전화기1의 이어폰잭2에 꽂을 수 있는 부착형 송수신기10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송수신기20를 마련하여 상호 무선에 의해서 신호를 송수신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휴대용 송수신기20에 버턴부를 형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휴대용 전화기1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KR2019990016533U 1999-08-12 1999-08-12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KR200165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533U KR200165509Y1 (ko) 1999-08-12 1999-08-12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533U KR200165509Y1 (ko) 1999-08-12 1999-08-12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509Y1 true KR200165509Y1 (ko) 2000-02-15

Family

ID=1958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533U KR200165509Y1 (ko) 1999-08-12 1999-08-12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4361A (ja) ワイヤレス型送受話器セット
EP1521436A3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enter apparatus
JP3461212B2 (ja) 通信用icカード
KR200189084Y1 (ko) 무선 이어마이크폰
KR20070016313A (ko) 젠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165509Y1 (ko) 근거리 통신응용장치
CN2884722Y (zh) 一种指环手机无线耳机
US20030054784A1 (en) Infrared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25661A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이어폰형 핸즈프리
KR19990040480A (ko) 손목 시계형 개인 휴대 무선 통신장치
JPH07143051A (ja) 無線機能内蔵型セルラー電話機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200176936Y1 (ko) 무선.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송수화기 장치
CN200990604Y (zh) 手持式吊饰蓝牙听筒
WO1998006183A1 (en) Remote control for a mobile station
WO1999013625A1 (fr) Dispositif auxiliaire connecte a un telephone portable sans fil
JPH0435422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00424A (ko) 블루투스에 의한 휴대폰의 알에프 트랜시버와 사용자인터페이스 부분의 분리사용하는 방법
KR100425703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194775Y1 (ko) 인형을 이용한 이어프리
JPH0346606Y2 (ko)
KR200172027Y1 (ko) 무선 이어폰마이크 통화시스템
KR200257656Y1 (ko) 귀속형 무선 핸즈프리
KR200202417Y1 (ko) 터치패드형 무선 전화기
KR200262103Y1 (ko) 시계 기능을 갖는 무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