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92Y1 - 낚시대 마개 - Google Patents

낚시대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92Y1
KR200165092Y1 KR2019970022489U KR19970022489U KR200165092Y1 KR 200165092 Y1 KR200165092 Y1 KR 200165092Y1 KR 2019970022489 U KR2019970022489 U KR 2019970022489U KR 19970022489 U KR19970022489 U KR 19970022489U KR 200165092 Y1 KR200165092 Y1 KR 200165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handle
fishing
fishing rod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291U (ko
Inventor
김영묵
Original Assignee
김영묵
주식회사원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묵, 주식회사원다 filed Critical 김영묵
Priority to KR2019970022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09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 손잡이대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대가 손잡이대에 수납이 잘되지 않을 때 마개를 열지 않고 손잡이대의 하부에 형성된 마개 부분을 탁탁처서 쉽게 수축시킬 때 마개가 훼손되지 않고 그 원형을 유지될 수 있는 마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장시간 할 경우 속대에 많은 힘이 작용했으므로 낚시대가 수축이 잘 안될 때가 있는 것이다. 손잡이대를 탁탁 바닥에 처서 밑으로 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수축시키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자주 이용하게 되면, 손잡이대 밑의 마개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안쪽의 덮개는 대부분 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그 원형을 유지하기 어려운 점으로 고려하여, 마개 안측의 덮개를 금속으로 형성하므로서 속대를 수축시킬 때 마개의 훼손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대 마개
본 고안은 낚시 손잡이대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대가 손잡이대에 수납이 잘되지 않을 때 마개를 열지 않고 손잡이대를 마개 바로 아래쪽으로 강한 압박을 가하거나 강하게 탁탁처서 속대를 쉽게 입수시킬 때, 그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마개에 관한 것이다. 낚시대의 구조상으로 속대는 손잡이대에 차례로 인출 및 수납된다. 장시간 낚시를 하다 보면 점진적으로 낚시대는 물에 젖게되고 그 물은 낚시대의 연결부로 스며들게 되며 스며든 물은 쉽게 건조되지 않아 팽창의 소지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속대를 손잡이대에 수납하기 어려운바, 손잡이대의 마개를 열고 손잡이대를 아래로 타박하여 속대를 수납하는 번거로운 일이 있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대의 마개를 열지 않고 손잡이대의 마개에 타박에 의한 충격을 가해도 그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의 일차적 과제는 속대를 쉽게 수축하고, 강한 힘에 견디는 마개를 구성하는데 있는바, 기존의 마개를 관찰해 보면 전체적으로 물이 잘 빠지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고 속대가 손잡이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전부이며, 원통형의 마개는 그 내부에 크로스형으로 격벽을 형성하여 외벽의 힘에 저항토록 되어 있고 상부에는 고무로 된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마개는 손잡이대의 타박시 하강하는 속대의 충격을 견디기 어려운 점과 대체적으로 마개는 손으로 열기는 힘든 것을 고려하여 배수는 물론 충분한 내성을 갖는 덮개가 요구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개 12 : 덮개
13 : 배수공(a, b) 14 : 격판
16 : 홈(a, b) 18 : 손잡이대
19 : 속대 20 : 나사산(a, b)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손잡이대(18)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20b)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마개 외부 일부에 나사산(20a)이 형성되고 마개(11)의 내측으로는 금속판으로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덮개(12)가 형성되며, 나사산(20a)이 형성된 마개(11)의 나사산(20a)에 홈(16b)이 형성되고, 나사산(20a)이 형성된 마개(11)의 내측으로는 크로스형의 격판(14)이 형성된다.
마개(11)의 저면에는 덮개(12)의 배수공(13a)과 연계한 배수공(13b)과 드라이버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마개(11)를 쉽게 탈리 시킬 수 있도록 홈(16a)이 배설되고, 상기 격판(14)위에는 덮개(12)가 형성된다.
손잡이대(18)와 마개(11) 사이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산(20a)부위에 2이상의 홈(16b)이 형성된다.
실시예로, 낚시를 하기 위하여 낚시대의 속대(19)를 진출시켜 장시간 낚시를 하다 보면 낚시대가 물에 젖어 있게된다.
물에 젖어있는 상태의 낚시대는 속대(19)와 속대(19), 손잡이대(18)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속대(19)를 손잡이대(18) 내부로 수축시키고자 할 때 쉽게 수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수축되지 않는 속대(19)를 잡고 손잡이대(18)의 마개(11) 부분을 땅에 수회 반복하여 충격시키게 되는데, 위와 같은 충격 방법에 의해 속대(19)가 하강하면서 마개(11)의 내측 부분을 타격하게 되어 그 내측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쉽게 경험하게 된다.
위와 같은 마개(1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개(11)의 내측에 스텐레스 재질로 된 금속 덮개(12)를 씌워서 하강하는 속대(19)에 의해 마개(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마개는 장시간의 낚시에 물의 수막에 의해 속대가 손잡이대로 수축이 용이하지 못하여 마개의 충격 방법에 의한 속대의 강하로 마개의 내측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정정)낚시대 손잡이대(18)의 마개(11)에 있어서, 마개(11) 내측의 격판(14)위에 배수공(13)을 형성한 스텐레스 재질로 된 덮개(11)를 씌워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낚시대 마개.
KR2019970022489U 1997-08-20 1997-08-20 낚시대 마개 KR200165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89U KR200165092Y1 (ko) 1997-08-20 1997-08-20 낚시대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89U KR200165092Y1 (ko) 1997-08-20 1997-08-20 낚시대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91U KR19990009291U (ko) 1999-03-15
KR200165092Y1 true KR200165092Y1 (ko) 2000-01-15

Family

ID=1950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489U KR200165092Y1 (ko) 1997-08-20 1997-08-20 낚시대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0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53B1 (ko) 2015-03-06 2015-11-05 강필식 민물낚시대용 손잡이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53B1 (ko) 2015-03-06 2015-11-05 강필식 민물낚시대용 손잡이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91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9251A1 (en) Soft grip handle
KR200165092Y1 (ko) 낚시대 마개
US4433501A (en) Fishing lure retrieving device
US4876749A (en) Twist drain
KR200349416Y1 (ko)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
NO148605B (no) Metallmutter for begrenset tiltrekningspaadrag.
JPH0527571Y2 (ko)
KR960001755Y1 (ko) 낚시용 찌통
ES1034858U (es) Grapa para la fijacion de rejillas o vallas.
KR200183526Y1 (ko) 등산용 지팡이
JPH0418952Y2 (ko)
KR101215856B1 (ko) 빗물 빠짐구를 구비한 우산 커버 시스템
JPS5934624Y2 (ja) 止水栓開閉具
JP6807424B2 (ja) 排水蓄積容器
KR200173882Y1 (ko) 인출봉을 갖는 용기
US1369603A (en) Umbrella-draining cup
JPS6022132Y2 (ja) 排水具
KR900000657Y1 (ko) 배선, 배관파이프용 착탈식 캡
US396702A (en) Fishing-rod case
KR850000722Y1 (ko) 축삽식 맹인용 지팡이
KR200331903Y1 (ko) 국기대
KR200196356Y1 (ko) 릴낚시대의 선단낚시줄 안내구
JP2539316Y2 (ja) 釣 竿
JPH1182803A (ja) 弁の開閉器
JPH04276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