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473Y1 - 개선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개선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473Y1
KR200164473Y1 KR2019990015280U KR19990015280U KR200164473Y1 KR 200164473 Y1 KR200164473 Y1 KR 200164473Y1 KR 2019990015280 U KR2019990015280 U KR 2019990015280U KR 19990015280 U KR19990015280 U KR 19990015280U KR 200164473 Y1 KR200164473 Y1 KR 200164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s
fingers
natural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회
Original Assignee
정윤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회 filed Critical 정윤회
Priority to KR2019990015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수평배열형 키보드와 그 개량형인 내추럴 키보드의 자판 즉, 글쇠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개량한 것으로, 타자기로부터 유래된 수평적인 움직임을 위한 기존 키보드나 단순히 그것을 일정각도 벌려놓은 내추럴 키보드와는 달리 몇몇 전환키를 재배치하고, 상,하의 글쇠가 엇갈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놓인 손가락의 움직임선에 있도록 하였으며, 수평적이지 않은 손가락의 놓임을 자연스럽게 하였다. 즉, 상,하 글쇠를 직선상에 배치하고 그 각 열은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놓임에 따라 각도와 간격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개선형 키보드 {An Improved Key-Board}
본 고안은 개량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기존의 일반적인 키보드 및 내추럴 키보드의 글쇠배치를 인체공학적으로 개선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타이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타이핑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타이핑시의 손가락의 피로를 줄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글쇠배치를 이루고 있는데, 종래의 키보드(1)는 그 글쇠배치가 타자기로부터 유래하여 온 것으로, 각 글쇠(2)가 수평상태로 행을 이루고 있어 길이가 각기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타이핑할 경우 손목을 바깥쪽으로 꺾고 손가락을 자주 구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하여야 했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손바닥 전체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가락이 붙은 손은 인체의 양 어깨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키보드의 글쇠배치에 따라 손가락을 배치할 경우 좌,우의 양손이 평행을 이루지 않고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수평상태로 배치된 글쇠를 타이핑 할 경우 - 현재 타이핑을 하면서도 이같은 불편을 느끼고 있음 - 오타가 많이 발생함은 물론 위에서 설명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한편, 최근에 이르러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글쇠군(群)을 양쪽으로 벌려놓은 형태의 이른바 내추럴 키보드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같은 내추럴 키보드는 단지 좌,우의 글쇠군(3,4)을 일정각도로 벌려 놓기만 하였을뿐 길이가 다른 각 손가락의 파지위치는 전혀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상기한 손목의 꺽임 및 손가락의 빈번한 굽힘과 펼침동작이 수반되어야 했었으므로 타이핑이 힘들어지고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은 여전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키보드를 인체공학적으로 개선하여 타이핑시 피로를 덜어 주고, 타이핑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보드의 글쇠를 좌,우로 양분하여 좌,우의 글쇠군(群)이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글쇠군(群)의 각 행(行)은 각 글쇠위에 놓여지는 손가락들의 길이에 일치되게 배치하고, 좌,우측 글쇠 군의 각 열(列)은 경사방향을 따라 직선을 이루고 인접하는 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한 키보드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기존의 키보드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편중되어 있는 전환키인 (탭(Tab), ←, 한자(漢字), 한/영)를 좌,우측 글쇠군(群)이 벌어지면서 형성된 중간의 공간부에 새롭게 배치하여 좌,우 어느 손가락으로도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환키의 누름동작을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좌,우 손가락의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개선형 키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키보드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내추럴 키보드의 평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키보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 키보드 L : 좌측 글쇠군
R : 우측 글쇠군 S : 공간부
C : 전환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첫째, 키보드(1O)의 글쇠를 좌,우로 양분하여 좌,우의 글쇠군(群; L, R)이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글쇠군(群; L, R)의 각 행은 각 글쇠위에 놓여지는 손가락들의 길이에 일치되게 배치하여 손가락이 놓인 위치에 각 글쇠들이 위치토록 하고, 좌,우측 글쇠군(L, R)의 각 열은 경사방향으로 직선을 이루고 인접하는 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한 점에 있다.
본 고안의 또하나의 특징은 키보드의 좌측 또는 우측에 편중되어 있는 전환키(C)인 (탭(Tab)), (←), (한자(漢字)), (한/영) 등을 좌,우측 글쇠군(群; L, R)이 벌어지면서 형성된 중간의 공간부(S)에 새롭게 배치하여 좌,우 어느 손가락으로도 선택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키보드를 실물크기의 종이판에 그려놓고 타이핑을 한 결과, 손가락의 길이에 맞도록 각 글쇠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타이핑시 손가락을 자주 구부려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항시 손가락은 그 위치에 자연스럽게 놓여져 있어 오타의 발생이 적고 타이핑 속도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은 주로 우측에 편재된 전환키인 (탭(Tab)), (←), (한자 (漢字)), (한/영)가 좌우측 글쇠군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어 타이핑을 하면서 좌우측의 손가락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눌러줄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신속하게 한/영 또는 한자 전환 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Claims (2)

  1. 키보드의 글쇠를 좌,우로 양분하여 좌,우의 글쇠군(群)이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글쇠군(群; L, R)의 각 행(行)은 각 글쇠위에 놓여지는 손가락들의 길이에 일치되게 배치하여 손가락이 놓인 위치에 각 글쇠가 위치토록 하고, 좌,우측 글쇠군(L, R)의 각 열(列)은 경사방향으로 직선을 이루고 인접하는 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글쇠군(群; L, R)이 벌어지면서 형성된 중간의 공간부(S)에 전환키(C)인 (탭(Tab)), (←), (한자(漢字)),(한/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키보드.
KR2019990015280U 1999-07-28 1999-07-28 개선형 키보드 KR200164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280U KR200164473Y1 (ko) 1999-07-28 1999-07-28 개선형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280U KR200164473Y1 (ko) 1999-07-28 1999-07-28 개선형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473Y1 true KR200164473Y1 (ko) 2000-02-15

Family

ID=1958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280U KR200164473Y1 (ko) 1999-07-28 1999-07-28 개선형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4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0488A (en) Ergonomically condensed QWERTY keyboard
AU647750B2 (en) One-handed keyboard
US20110305494A1 (en) Portable and ease-of-use ergonomic keyboard
AU756645B2 (en) A 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US6991390B2 (en) Locating key for a keyboard or keypad
KR200164473Y1 (ko) 개선형 키보드
US20040069600A1 (en) Keyboard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215266040U (zh) 键帽结构及键盘
JPH08234882A (ja) キーボード装置
WO2007137478A2 (fr) Clavier universel à ergonomie améliorée
CN101236456A (zh) 一种电脑键盘
JPS6244285B2 (ko)
JPH0683508A (ja) キーボード
WO2001095081A1 (en) An alphabet character input device
KR200269602Y1 (ko) 소형 키패드용 3분할 사용가능 키버튼
KR20100111332A (ko) 인체공학 키보드
CN201965536U (zh) 用于手持电子设备的键盘
CN2503526Y (zh) 一种改进的计算机键盘
WO2002075514A3 (de) Tastatur
JPH0116188Y2 (ko)
KR200196754Y1 (ko) 컴퓨터용 키보드
KR200269601Y1 (ko) 소형 키패드용 3접점 키버튼
GB2362134A (en) Keyboard having at least two multidirectional thumb keys in place of a spacer bar
KR100355574B1 (ko)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한손 키보드
KR20000051244A (ko) 키보드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