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397Y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397Y1
KR200163397Y1 KR2019990013139U KR19990013139U KR200163397Y1 KR 200163397 Y1 KR200163397 Y1 KR 200163397Y1 KR 2019990013139 U KR2019990013139 U KR 2019990013139U KR 19990013139 U KR19990013139 U KR 19990013139U KR 200163397 Y1 KR200163397 Y1 KR 200163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itting
coupling piece
forming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원
Original Assignee
권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종원 filed Critical 권종원
Priority to KR2019990013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single supports directly connect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판이나 표지판을 달거나, 다수의 와이어나 유체공급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명판이나 표지판, 그리고 와이어나 유체공급관을 매우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양측으로 대향되게 결합편(2)(3)이 형성된 링상의 클램프(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클램프(1)의 일측 결합편(2)에는 고정공(2a)을 형성하고, 또 다른 결합편(3)에는 고정공(2a)과 끼움고정되게 걸림턱(3b)이 구비된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한 특징이 있으며, 본 고안은 또 상기 결합편(3)에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고정부(3a)의 상단을 적어도 한갈래 이상 분기시킨 다음, 분기된 끼움고정부(3a)의 각 단부에 걸림턱(3b)을 형성하거나, 본 고안은 또 상기 끼움고정부(3a)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상기 끼움고정부(3a)의 상단에 걸림턱(3b)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결합편(2)의 고정공(2a)을 방사상으로 절개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클램프{The clamp}
본 고안은 명판이나 표지판을 달거나, 다수의 와이어나 유체공급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명판이나 표지판, 그리고 와이어나 유체공급관을 매우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판이나 표지판을 공사구역의 접근방지 설치끈이나 철망 등에 설치하고자 하면 이들의 구멍에 철사를 꿴 다음 상기 철사를 설치끈이나 철망에 고정하게 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뾰족하게 돌출된 철사에 다치는 불상사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와이어를 한묶음으로 묶거나 경질의 유체공급관에 연질의 유체공급관을 연결하고자 할 시에는 클램프를 설치한 다음, 클램프의 결합편을 볼트와 너트로서 조여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램핑방식은 클램프와 별도로 볼트와 너트가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의 보관이 번거로움은 물론이고 이들의 작업이 다소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클램프의 결합편 일측에 또 다른 결합편의 고정공과 대응되게 걸림턱이 구비된 끼움고정부를 형성하여 명판이나 표지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미관을 깨끗하게 하는 동시에 다수의 와이어 및 유체공급관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한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단면도,
도 3의 (a),(b),(c)는 도 2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클램프 1':보조클램프
2:결합편 2a:고정공
3:결합편 3a:끼움고정부
3b:걸림턱 10:명판
20:와이어 30:유체공급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으로 대향되게 결합편이 형성된 링상의 클램프를 형성한 다음, 상기 클램프의 일측 결합편에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또 다른 결합편에는 고정공과 끼움고정되게 걸림턱이 구비된 끼움고정부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일측이 절단된 링상의 클램프(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클램프(1)의 절단된 양 당부에 수평되게 마주 보는 결합편(2)(3)을 소정길이 형성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1)를 형성하되, 도 7과 같이 상기 클램프(1)의 일측에 이보다 직경이 같거나 다른 보조클램프(1')를 형성하여 직경이 각기 다른 두 전선을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클램프(1)의 일측 결합편(2)에는 소정직경의 고정공(2a)을 형성하고, 또 다른 결합편(3)에는 상기 고정공(2a)과 끼움고정되게 걸림턱(3b)이 구비된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끼움고정부(3a)의 상단을 두갈래로 분기시킨 다음 그 단부에 걸림턱(3b)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공(2a)으로의 관통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고정부(3a)를 도 4 및 도 5와 같이 그 상단부를 세갈래나 네갈래로 분기시켜 그 단부에 걸림턱(3b)을 각각 형성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끼움고정부(3a)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상기 끼움고정부 (3a)의 상단에 걸림턱(3b)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결합편(2)의 고정공(2a)을 방사상으로 절개하여 걸림턱(3b)의 삽입관통을 용이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미설명 부호 10은 명판이고, 20은 와이어, 30은 유체공급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명판(10)을 설치끈이나 철망 등에 달고자 하면, 클램프(1)를 설치끈이나 철망에 걸은 상태에서 명판(10)의 상부측 구멍에 클램프(1)의 끼움고정부(3a)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끼움고정부(3a)를 일측 결합편(2)의 고정공(2a)에 압박하여 관통시키게 되는데, 이때 끼움고정부(3a) 상단의 걸림턱(3b)이 고정공(2a)에 걸림으로써 단단히 결합된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20)를 묶고자 하면, 클램프(1)에 이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다수의 와이어(20)를 내삽시킨 상태에서 끼움고정부 (3a)를 일측 결합편(2)의 고정공(2a)에 압박하여 관통시키게 되는데, 이때 끼움고정부(3a) 상단의 걸림턱(3b)이 고정공(2a)에 걸림으로써 와이어(20)가 단단히 결합된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경질의 유체공급관(30)에 연질의 유체공급관(30)을 결합시키고자 하면, 먼저 유체공급관(30)에 클램프(1)를 끼운 상태에서 유체공급관(30)을 경질의 유체공급관(30)에 끼운 다음, 끼움고정부(3a)를 일측 결합편(2)의 고정공(2a)에 압박하여 관통시키게 되는데, 이때 끼움고정부(3a) 상단의 걸림턱 (3b)이 고정공(2a)에 걸림으로써 경질의 유체공급관(30)과 연질의 유체공급관(30)이 단단히 밀봉,결합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직경이 각기 다른 두 선을 고정시키고자 하면 클램프(1)와 보조클램프(1')에 두 선을 각각 끼움결합시킨 다음, 끼움고정부(3a)를 일측 결합편(2)의 고정공(2a)에 압박하여 관통시키게 되는데, 이때 끼움고정부(3a) 상단의 걸림턱 (3b)이 고정공(2a)에 걸림으로써 경질의 유체공급관(30)과 연질의 유체공급관(30)이 단단히 밀봉,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클램프(1)의 결합편(3) 일측에 또 다른 결합편(2)의 고정공(2a)과 대응되게 걸림턱(3b)이 구비된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하여 명판(10)이나 표지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미관을 깨끗하게 하는 동시에 다수의 와이어(20) 및 두 유체공공급관(30)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양측으로 대향되게 결합편(2)(3)이 형성된 링상의 클램프(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클램프(1)의 일측 결합편(2)에는 고정공(2a)을 형성하고, 또 다른 결합편(3)에는 고정공(2a)과 끼움고정되게 걸림턱(3b)이 구비된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의 일측에 이보다 직경이 같거나 다른 보조클램프(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에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고정부(3a)의 상단을 적어도 한갈래 이상 분기시킨 다음, 분기된 끼움고정부(3a)의 각 단부에 걸림턱(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에 끼움고정부(3a)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고정부(3a)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상기 끼움고정부(3a)의 상단에 걸림턱(3b)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결합편(2)의 고정공(2a)을 방사상으로 절개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2019990013139U 1999-07-06 1999-07-06 클램프 KR200163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139U KR200163397Y1 (ko) 1999-07-06 1999-07-06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139U KR200163397Y1 (ko) 1999-07-06 1999-07-06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397Y1 true KR200163397Y1 (ko) 2000-02-15

Family

ID=1957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139U KR200163397Y1 (ko) 1999-07-06 1999-07-06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16636T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länglichen gegenstand, insbesondere kabelbaum
KR100310903B1 (ko) 기부와수용후크로구성되는관및케이블용클램프
NO20020144L (no) Fremgangsmate for festing av forsterkningswirer til en endeterminering av en rorledning eller en kabel, en endeterminering, og anvendelser av fremgangsmaten og endetermineringen
KR200163397Y1 (ko) 클램프
KR100664876B1 (ko) 상수도 소형관 이음새 연결장치구조
KR20110043200A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US20190323630A1 (en) Holding device for cables or pipes
JP2004225858A (ja) パイプ継手の固定具
JP3573801B2 (ja) 架設ケーブルの定着部における防錆処理方法
KR100829510B1 (ko) 방수, 비방수 겸용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0248005Y1 (ko) 개량형 클램프밴드.
KR20110052837A (ko) 전선 보호관
KR200288621Y1 (ko) 파이프의 연결 장치
KR0123565Y1 (ko) 맨홀의 지하수 유입방지장치
KR101046483B1 (ko) 다공관의 체결구조
KR960010573Y1 (ko) 도관전선반경관과 연결결합장치
KR200293104Y1 (ko) 파이프의연결기구
JP3828841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のクランプ構造
KR920002181Y1 (ko) 지하매설용 전화선 케이블의 고정구
KR200343699Y1 (ko) 스프링 클러 고정장치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2005233327A (ja) 配管用ヘッダ−の固定装置
KR200213639Y1 (ko) 클램프의 파지클립 구조
KR100222262B1 (ko) 다용도 그로메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