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234Y1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3234Y1 KR200163234Y1 KR2019990012789U KR19990012789U KR200163234Y1 KR 200163234 Y1 KR200163234 Y1 KR 200163234Y1 KR 2019990012789 U KR2019990012789 U KR 2019990012789U KR 19990012789 U KR19990012789 U KR 19990012789U KR 200163234 Y1 KR200163234 Y1 KR 2001632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raw water
- storage means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5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펌핑하여 이송 및 공급하는 취수정(12)과, 상기 취수정(12)내의 각종 장치 및 기기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0)와, 상기 취수정(12)내에 설치되어 지하 또는 지상에 존재하는 원수를 펌핑하여 끌어올리는 펌핑수단(18)과, 상기 펌핑수단(18)으로부터 펌핑된 원수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배관(19)과, 배관(19)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저수하는 소정 용량을 갖는 저장수단(20)이 포함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20)의 하단 일측에 연결되어 저수된 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2)과, 상기 배관(19)과 배출관(22) 사이에 연결되어 저장수단(20)내의 수압을 배관(19)을 통해 전달하는 연결관(24)과 상기 취수정(12)의 배관(19)에 장착되어 저장수단(20)내의 원수가 설정된 하한점 이하일 때에 배관(19)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1압력감지수단(13)과, 상기 취수정(12)의 배관(19)에 장착되어 저장수단(20)내의 원수가 설정된 상한점 이상일 때에 배관(19)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2압력감지수단(17)이 원수(原水)가 존재하는 지점으로부터 원하는 소정의 저장수단까지 배관을 통해 이송시키기 위한 거리가 원거리일 경우에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압력감지수단으로 수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원수의 저장량을 결정 및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地下水)를 포함한 상수(上水)나 침출수(浸出水) 또는 오폐수(汚廢水) 등(이하 원수(原水)라고 약칭함)이 존재하는 지점으로부터 원하는 소정의 저장수단까지 배관을 통해 이송시키기 위한 거리가 원거리(수십m에서 수km)일 경우에 배관에 장착된 복수의 압력감지수단으로 수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원수의 저장량을 결정 및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지역에 설치되어 원수를 저장수단으로 집수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는 도 1의 개략도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취수정(1)과, 취수정(1)내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펌핑수단(2)과, 펌핑수단(2)으로부터 배수된 원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배관(3)과, 배관(3)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배관(3)을 통해 배출된 원수를 저수하는 소정용량의 저장수단(5)과, 저장수단(5)의 내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6)과, 수위감지수단(6)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판단 및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7) 및 콘트롤러(7)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펌핑수단(2)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땅속에 매설(埋設) 또는 땅위에 가공(架空)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전선(4)이 포함되어 이루어
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위 조절장치는 취수정(1)으로부터 저장수단(5)까지 배관(3)을 통해 원수를 배수하게 된다. 배수된 원수는 저장수단(5)에 저수되면서 설정된 소정량이 채워지면, 수위감지수단(6)이 원수의 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는 콘트롤러(7)로 입력되며, 콘트롤러(7)는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전선(4)을 통해 펌핑수단(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취수정(1)의 펌핑수단(2)이 원수를 취수한 후에 배관(3)을 거쳐 저장수단(5)으로 배수를 할 때에 저장수단(5)의 저장용량이 설정량만큼 채워지게 되면, 콘트롤러(7)는 펌핑수단(2)의 구동을 정지시켜 더 이상 원수를 취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 펌핑수단으로부터 펌핑된 원수를 배관을 통해 배수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관이 필요하고, 이 배관은 가공상태로 연결되거나 땅속에 매설되게 된다. 그러나, 콘트롤러로부터 펌핑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이 별도로 가공 또는 매설되어야 하므로, 2중의 연결작업을 필요로 하고, 가공 또는 매설된 배선은 외부의 영향이나 조건에 의하여 단선, 단락 또는 누수될 가능성이 높아 콘트롤러에서 펌핑수단으로 정상적인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저장수단에 저수되는 원수가 범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펌핑수단을 항상 가동상태로 운전시키게 되면, 펌핑수단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도 있었고, 배선된 전선이 단선, 단락 또는 누수에 의하여 누전이나 전력의 누설 등의 손실뿐만 아니라 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도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전선을 배선하게 되므로 수위 조절장치의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도 상승되는 요인이 있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99-17887호(출원일: 1999. 5. 18., 발명의 명칭: 무선 자동 수위 조절방법 및 그 장치)로 출원한 바 있었고, 이 출원의 경우에는 콘트롤러내의 타이밍수단이 구성되어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후에 설정된 시간동안을 카운트한 후에 펌핑수단이 가동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수단에 저수된 원수가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의 경과후에 순간적으로 펌핑수단에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펌핑수단이 구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수를 취수하는 펌핑수단과 원수를 저수하는 저장수단 사이에 전선을 배선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펌핑수단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핑수단과 저장수단 사이에 연결된 배관의 일측에 압력감지수단을 장착하여 배관내의 수압에 의하여 자동으로 펌핑수단을 온(On) 또는 오프(Off)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저장수단에 저수된 원수가 설정된 양보다 그 이하일 경우에 펌핑수단이 구동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로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연결부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콘트롤러의 전기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2: 취수정 2, 18: 펌핑수단
3, 19: 배관 4: 전선
5, 20: 저장수단 6: 수위감지수단
7, 10: 콘트롤러 13, 17: 압력감지수단
14: 수량계 15: 수량조절밸브
16, 26: 체크밸브 18: 펌핑수단
19: 배관 22: 배출관
24: 연결관 27: 삽입배관
28: 통공 T1-T3: 타이머
M/S: 메인스위치 MC: 마그네틱코일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수를 펌핑하여 이송 및 공급하는 취수정과, 상기 취수정내의 각종 장치 및 기기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취수정내에 설치되어 지하 또는 지상에 존재하는 원수를 펌핑하여 끌어올리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펌핑된 원수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배관과, 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저수하는 소정 용량을 갖는 저장수단이 포함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하단 일측에 연결되어 저수된 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관과 배출관 사이에 연결되어 저장수단내의 수압을 배관을 통해 전달하는 연결관과 상기 취수정의 배관에 장착되어 저장수단내의 원수가 설정된 하한점 이하일 때에 배관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1압력감지수단과, 상기 취수정의 배관에 장착되어 저장수단내의 원수가 설정된 상한점 이상일 때에 배관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2압력감지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배관의 일단을 저장수단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저장수단의 상단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삽입배관과, 상기 삽입배관의 하단에 저장수단내의 수압을 전달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한 것이 다른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연결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콘트롤러(10)는 취수정(12)내에 구성된 각종의 계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전기 또는 전자회로로 구성된다. 특히 콘트롤러(10)는 제 1 및 제 2압력감지수단(13, 17)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펌핑수단(18)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콘트롤러(10)는 펌핑수단(18)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원(AC110-220V)을 온 또는 오프시켜 펌핑수단(18)의 작동을 제어한다.
콘트롤러(10)는 본 고안에서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주요한 부분의 하나로, 전기 또는 전자회로가 구성되고, 이러한 회로는 아날로그나 디지털형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취수정(12)은 펌핑수단(18)으로부터 펌핑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배관(19)을 통해 배출하는 것으로, 연결된 배관(19)에 제 1 및 제 2압력감지수단(13, 17), 수량계(14), 조절밸브(15) 및 체크밸브(16) 등이 장착된다.
상기 제 1압력감지수단(13)은 배관(19)내에 형성되는 수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감지신호를 콘트롤러(10)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 1압력감지수단(13)은 일정상태의 수압에서 급격한 수압이 감지될 때와 펌핑수단(18)이 구동되어 순간적인 수압을 감지한다.
제 2압력감지수단(17)은 배관(19)내에서 형성되는 수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이하가 되면 감지신호를 콘트롤러(1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압력감지수단(13, 17)은 배관(19)에 장착되어 배관(19)을 통해 감지되는 수압에 따라 작동상태가 달라지는 데, 제 1압력감지수단(13)은 최고압으로 설정하고, 제 2압력감지수단(17)은 최저값으로 설정한다. 즉 제 1압력감지수단(13)은 저장수단(20)내에 채워지는 원수의 양에 따라 저장수단(20)의 상한점에서 펌핑수단(18)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압력이 감지될 때에 감지된 압력값을 출력하도록 설정하고, 제 2압력감지수단(17)은 저장수단(20)내에 채워지는 원수의 양에 따라 저장수단(20)의 하한점에서 펌핑수단(18)을 작동시키는 압력이 감지될 때에 감지된 압력값을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압력감지수단(13, 17)은 설정된 압력값이 감지될 때에 각각 내장된 접점이 스위칭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량계(14)는 펌핑수단(18)으로부터 펌핑되어 공급되는 물의 체적을 표시하는 것으로, 원수의 양을 감지하여 표시하고, 이는 아날로그나 디지털형태의 표시수단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밸브(15)는 배관(19)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원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체크밸브(16)는 배관(19)을 따라 흐르는 원수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펌핑수단(18)은 지하의 땅속이나 원수가 저장된 위치에서 원수를 펌핑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중에 설치되지만, 지형적인 상황이나 위치적인 상황 등에 따라 지상의 취수정(12)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펌핑수단(18)은 모터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원수를 펌핑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취수정(12)으로부터 연결된 배관(19)은 원수를 저장할 장소까지 연장되고, 배관(19)은 가공이나 지표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땅속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수단(20)은 원수를 저수하는 것으로, 저장탱크나 취수정 등으로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체적을 가진 것이다. 저장수단(20)에 저수되는 원수는 별도의 배관이나 송수관을 통해 다른 저장수단으로 배출되거나 펌핑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취수정(12)내에 설치된 배관(19)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 배관(19)내에 수압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압력계(도시하지 않음), 상기 펌핑수단(18)으로부터 원수가 펌핑될 때나 배관(19)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원수가 펌핑되고 있지 않을 때에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19)내의 잔류하고 있는 원수를 펌핑수단(18)으로 역류시키는 역순환라인(도시하지 않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펌핑수단(18) 및 저장수단(20)의 조건에 따라 해당하는 구성요소가 더해지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22)은 상기 저장수단(20)의 하단 일측에 연결되어 저수된 원수를 배출하는 관으로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장착되거나 원거리로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나 호스 등이 연결된다.
연결관(24)은 상기 배관(19)과 배출관(22) 사이에 연결되어 저장수단(20)내의 수압을 배관(19)을 통해 전달하는 것으로, 연결관(24)내에는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6)가 장착된다. 배출관(22)은 원수가 역류되는 것은 방지하지만 저장수단(20)내의 원수의 압력은 배관(19)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24)은 그 직경이 배관(19)의 직경과 1 : 9 내지는 3 : 7인 것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관(24)의 직경이 배관보다 작게하는 것이 원수의 공급시에 작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10)는 도 4의 전기회로도에서, 인가된 교류전원(AC)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메인 스위치(M/S)가 연결되고, 메인 스위치(M/S)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에 의해 내장된 복수의 접점상태를 절환하고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하는 카운트를 하는 제 1타이머(T1)가 연결된다.
제 2 및 제 3타이머(T2, T3)는 상기 제 1타이머(T1)와 병렬로 연결되어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한 후에 접점을 절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타이머(T1)의 설정된 지연시간은 1초이내이고, 제 2 및 제 3타이머(T2, T3)의 설정된 지연시간은 3-5초이다.
마그네틱코일(MC)은 인가되는 교류전원(AC)으로 펌핑수단(18)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마그네틱코일(MC)에는 펌핑수단(18)이 연결되어 마그네틱코일(MC)의 작동과 동시에 펌핑수단(18)이 작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타이머(T1)의 접점(Start)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는 제 2타이머접점(t2)과, 상기 제 1타이머(T1)의 접점(Reset)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는 제 3타이머접점(t3)과, 제 2타이머(T2)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제 2타이머(T2)를 구동시키는 제 1압력감지수단의 접점(p1)과, 제 3타이머(T3)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제 3타이머(T3)를 구동시키는 제 2압력감지수단의 접점(p2) 및 마그네틱코일(MC)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마그네틱코일(MC)을 구동시키는 제 1타이머접점(t1)이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취수정(12)이 복수개로 구성될 때에 해당하는 배관이 하나의 저장수단(20)으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저장수단(20)이 복수개로 구성될 때에 해당하는 배관이 하나의 취수정으로부터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10)는 취수정(12)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또는 취수정(12)의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서 저장수단(20)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무선으로 자동 조절하기 위하여 펌핑수단(18)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0)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저장수단(20)에 원수의 저수를 위하여 별도의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저장수단(20)내의 압력만으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콘트롤러(10)가 적용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는 우선, 펌핑수단(18)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메인스위치(M/S)를 온상태로 절환시키면, 교류전원(AC)이 메인스위치(M/S)를 통해 전기회로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교류전원(AC)은 제 1타이머(T1)로 인가되고, 타이머(T)는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을 카운트하며, 카운트되는 시간은 예를 들어, 약 1초이내이다. 또한, 제 1타이머접점(t1)은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교류전원(AC)이 제 1타이머접점(t1)을 통해 마그네틱코일(MC)로 인가되어 마그네틱코일(MC)이 구동상태가 되므로 펌핑수단(18)이 작동상태가 된다.
펌핑수단(18)이 작동되면서 원수가 펌핑되고, 펌핑된 원수는 취수정(12)으로부터 연결된 배관(19)을 통해 저장수단(20)으로 공급된다. 저장수단(20)으로 공급된 원수가 저장수단(20)에 채워지면서 저장수단에 저장된 원수의 압력, 즉 대기압에 의한 원수의 압력이 배출관(22)과 배관(19)에 연결된 연결관(24)을 통해 배관(19)에 설치된 제 1압력감지수단(13)에서 감지를 하게 된다. 이때, 감지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제 1압력감지수단(13)은 상태를 절환하므로, 제 1압력감지수단의 접점(p1)은 순간적인 온상태로 되어 제 2타이머(T2)를 구동시킨다.
제 2타이머(T2)는 설정된 지연시간(약 3-5초) 동안 지연된 후에 상태를 절환하고, 이 절환으로 제 2타이머접점(t2)은 순간적인 온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제 2타이머접점(t2)의 순간적인 스위칭으로 제 1타이머(T1)는 스타트(Start)상태로 절환된다. 제 1타이머(T1)는 상태절환으로 인하여 마그네틱코일(MC)의 일단에 연결된 제 1타이머접점(t1)을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시키므로, 펌핑수단(1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므로, 저장수단(20)으로 공급되던 원수는 차단되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저장수단(20)에 저수된 원수는 소정의 압력을 배출관(22), 연결관(24) 및 배관(19)을 통해 전달하게 되고, 이 압력은 제 2압력감지수단(17)에서 감지하게 된다.
즉 제 2압력감지수단(17)은 펌핑수단(18)이 정지된 후부터 저장수단(20)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있다가 저장수단(20)에 저수된 원수가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되거나 계속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저장수단(20)내의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이는 별도의 타이머의 구동이 없어도 저장수단(20)내에 저수된 원수의 양을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저장수단(20)에 저장된 원수가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되면서 제 2압력감지수단(17)에서 감지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하라고 감지되면, 제 2압력감지수단(17)의 상태는 절환되고, 제 2압력감지수단(17)의 상태절환으로 제 2압력감지수단(17)의 접점(p2)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된다. 그러므로, 제 3타이머(T3)는 소정시간(약 3-5초)의 지연이 있은 후에 상태의 절환으로 제 3타이머접점(t3)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순간적인 스위칭을 하게 된다.
제 3타이머접점(t3)의 스위칭으로 제 1타이머(T1)는 리세트되고, 제 1타이머(T1)는 상태절환에 의해 접점변화로 마그네틱코일(MC)에 연결딘 제 1타이머접점(t1)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된다. 따라서, 마그네틱코일(MC)로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마그네틱코일(MC)의 구동 및 펌핑수단(18)의 작동이 개시되어 원수가 배관(19)을 따라 저장수단(2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은 상기 동작설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메인스위치(M/S)를 오프시키지 않는 이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저장수단(20)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연결관(24)을 대신하여 배관(19)의 일단을 저장수단(20)내에 삽입 및 설치하여 저장수단(20)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따른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서는 배관(19)의 일단을 저장수단(20)의 하단으로부터 삽입하여 상단에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배관(19)의 일단을 저장수단(2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저장수단(20)의 상단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삽입배관(27)을 구성하고, 상기 삽입배관(27)의 하단에 저장수단(20)내의 수압을 전달할 수 있는 통공(28)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의 구성과는 달리 연결관(24)을 별도로 연결할 필요없이 저장수단(20)에 삽입된 삽입배관(27)의 하단부에 통공(28)의 형성만으로 저장수단(20)내에 저수된 원수의 수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2와 동일한 콘트롤러(10) 및 취수정(12)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즉 제 1압력감지수단(13)은 펌핑수단(18)으로부터 취수된 원수가 배관(19) 및 삽입배관(27)을 통해 저장수단(20)에 공급되면서 통공(28)을 통해 전달된 수압이 설정된 압력이상으로 공급되면 펌핑수단(1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제 2압력감지수단(17)은 저장수단(20)내의 압력을 통공(28)을 통해 감지하고 있다가 저장수단(20)내의 원수가 배출되면서 설정의 압력이하로 감지되면, 콘트롤러(10)로 하여금 펌핑수단(18)에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펌핑수단(18)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원수가 저장수단(20)으로 취수 및 공급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는 원격에서 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배관(19)내의 압력감지만으로 원수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다양한 실시예 및 범위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치환 및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의 압력감지수단에서 배관내의 수압을 감지하고 배출관과 배관 사이에 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장수단내의 압력, 즉 펌핑수단을 정지시키는 상한점과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하한점을 제어함으로써, 펌핑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저장수단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타이머에 의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펌핑수단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어 펌핑수단의 수명을 연장하고, 저장수단내의 저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원수가 저장수단을 오버플로(Overflow)하거나 소진되지 않도록 하며, 펌핑수단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고, 가정용, 산업용 및 농업용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배관의 내후성(耐朽性) 및 내구성(耐久性) 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9)
- 원수를 펌핑하여 이송 및 공급하는 취수정과, 상기 취수정내의 각종 장치 및 기기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취수정내에 설치되어 지하 또는 지상에 존재하는 원수를 펌핑하여 끌어올리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펌핑된 원수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배관과, 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저수하는 소정 용량을 갖는 저장수단이 포함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상기 저장수단(20)의 하단 일측에 연결되어 저수된 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2)과,상기 배관(19)과 배출관(22) 사이에 연결되어 저장수단(20)내의 수압을 배관(19)을 통해 전달하는 연결관(24)과상기 취수정(12)의 배관(19)에 장착되어 저장수단(20)내의 원수가 설정된 하한점 이하일 때에 배관(19)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1압력감지수단(13)과,상기 취수정(12)의 배관(19)에 장착되어 저장수단(20)내의 원수가 설정된 상한점 이상일 때에 배관(19)내의 수압을 감지하는 제 2압력감지수단(17)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4)내에는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0)는인가된 교류전원(AC)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메인 스위치(M/S)와,인가되는 교류전원(AC)에 의해 내장된 복수의 접점상태를 절환하고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하는 카운트를 하는 제 1타이머(T1)와,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한 후에 접점을 절환시키는 제 2 및 제 3타이머(T3)와,인가되는 교류전원(AC)으로 펌핑수단(18)을 구동시키는 마그네틱코일(MC)이 구성되고,상기 제 1타이머(T1)의 접점(Start)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는 제 2타이머접점(t2)과,상기 제 1타이머(T1)의 접점(Reset)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는 제 3타이머접점(t3)과,제 2타이머(T2)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제 2타이머(T2)를 구동시키는 제 1압력감지수단의 접점(p1)과,제 3타이머(T3)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제 3타이머(T3)를 구동시키는 제 2압력감지수단의 접점(p2) 및마그네틱코일(MC)의 일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마그네틱코일(MC)을 구동시키는 제 1타이머접점(t1)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을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이머(T1)의 설정된 지연시간은 1초이내이고, 제 2 및 제 3타이머(T2, T3)의 설정된 지연시간은 3-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정(12)이 복수개로 해당하는 배관이 하나의 저장수단(20)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20)이 복수개로 해당하는 배관이 하나의 취수정으로부터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4)의 직경은 배관(19)의 직경과 1 : 9 내지는 3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0)는 취수정(12)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또는 취수정(12)의 외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 원수를 펌핑하여 이송 및 공급하는 취수정과, 상기 취수정내의 각종 장치 및 기기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취수정내에 설치되어 지하 또는 지상에 존재하는 원수를 펌핑하여 끌어올리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펌핑된 원수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배관과, 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저수하는 소정 용량을 갖는 저장수단이 포함된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배관(19)의 일단을 저장수단(20)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하여 구성하되, 저장수단(20)의 상단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삽입배관(27)과,상기 삽입배관(27)의 하단에 저장수단(20)내의 수압을 전달할 수 있는 통공(2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9677 | 1999-06-02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9677 Division | 1999-06-02 | 1999-06-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3234Y1 true KR200163234Y1 (ko) | 2000-02-15 |
Family
ID=1957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2789U KR200163234Y1 (ko) | 1999-06-02 | 1999-07-01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323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3986B1 (ko) * | 2021-04-20 | 2021-10-15 | 이성규 |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
-
1999
- 1999-07-01 KR KR2019990012789U patent/KR2001632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3986B1 (ko) * | 2021-04-20 | 2021-10-15 | 이성규 | 건식 송수관의 동파 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67917A (ko) | 무선 수위 자동 조절 장치 | |
KR20000036351A (ko) |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 |
KR100395753B1 (ko) |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 |
KR100273822B1 (ko) | 무선 자동 수위 조절방법 및 그 장치 | |
KR200163234Y1 (ko)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
KR100418414B1 (ko) |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의 수위 조절 자동화 방법 | |
AU2005204286A1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the provision of supplementing water | |
KR100439293B1 (ko) | 물탱크의 수위 자동 조절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343525B1 (ko) | 급수 시스템 | |
AU2005100775B4 (en) | Rainwater Harvesting | |
KR200163233Y1 (ko)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
KR20160072461A (ko) | 다기능 심정펌프 컨트롤러 | |
KR200163229Y1 (ko)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
KR200163230Y1 (ko)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
KR20080103731A (ko) | 입형 다단 펌프의 공회전 방지 시스템 | |
KR200163228Y1 (ko) | 무선자동수위조절장치 | |
KR100459385B1 (ko) | 저수조 수위조절장치 | |
KR200182451Y1 (ko) |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배관 안전장치 | |
KR200346726Y1 (ko) | 간이상수도의 자동 수위 조절장치 | |
KR100385568B1 (ko) | 저수조 제어시스템 | |
KR20020061906A (ko) | 농업용수의 취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 |
KR200206236Y1 (ko) | 원격수위조절장치 | |
KR200182450Y1 (ko) | 무선 자동 수위 조절장치의 배관 안전장치 | |
KR200229072Y1 (ko) | 수압전달용 체크밸브 | |
JP4302455B2 (ja) | 真空ステーショ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