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210Y1 -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210Y1
KR200162210Y1 KR2019950053089U KR19950053089U KR200162210Y1 KR 200162210 Y1 KR200162210 Y1 KR 200162210Y1 KR 2019950053089 U KR2019950053089 U KR 2019950053089U KR 19950053089 U KR19950053089 U KR 19950053089U KR 200162210 Y1 KR200162210 Y1 KR 200162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ull gauge
door panel
plate body
push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675U (ko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3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210Y1/ko
Publication of KR970038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3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lling fo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shing for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체의 일면에 자체 탄성을 갖는 완충재가 부착된 몸체와, 이 판체의 중심에는 자리홈이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지지대로 이루어진 보조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자리홈에 푸시 풀 게이지의 선단이 자리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닫힘력을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패널의 외면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제1도는 종래의 푸시 풀 게이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 풀 게이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판체
12 : 완충재 13 : 지지대
14 : 자리홈 20 : 푸시 풀 게이지
30 : 도어패널 31 : 외부손잡이
본 고안은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체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재가 일체로 부착고정된 보조기구를 형성하고, 이것의 중앙에는 푸시 풀 게이지의 선단을 끼울 수 있도록 자리홈이 구비된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푸시 풀 게이지의 이용하여 도어패널의 닫힘력을 측정하는 경우 게이지의 사용으로 도어패널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푸시 풀 게이지를 이용한 도어 닫힘력의 측정은,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풀 게이지(20)의 선단을 도어패널(30)의 외부손잡이(31)에 위치되게 하면서 이것(20)을 차체의 안쪽으로 밀면서 이에 따른 닫힘력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푸시 풀 게이지를 이용한 도어 닫힘력의 측정에서는 푸시 풀 게이지의 선단이 직접 도어패널의 외부손잡이와 밀착된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상기 외부손잡이가 파손될 우려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체의 일면에 자체 탄성을 갖는 완충재가 부착된 몸체와, 이 판체의 중심에는 자리홈이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지지대로 이루어진 보조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자리홈에 푸시 풀 게이지의 선단이 자리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닫힘력을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패널의 외면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 판체(11)의 일면에 자체 탄성을 갖는 완충재(12)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판체(1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13)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지지대(13)의 선단에는 자리홈(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재(12)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재(12)의 선단면은 도어패널(30)의 외부패널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20은 푸시 풀 게이지를, 30은 도어패널을, 31은 도어패널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손잡이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체(11)로 이루어진 일면에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재(12)가 일체로 부착고정된 몸체(10)와, 상기 판체(1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20)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상기 몸체(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대(1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완충재(12)는 고무재질을 이용하여서 상기 도어패널(20)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게 하여서 이것(12)과 도어패널(30)이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첨부도면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를 개폐시키고 푸시 풀 게이지(20)의 선단과 보조기구의 지지대(13)선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기구의 몸체(10)가 도어패널(30)의 외부에 형성된 외부손잡이(31)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푸시 풀 게이지(20)는 그 선단이 상기 지지대(13)의 선단에 형성된 자리홈(14)에 위치되는 동시에 이것(13)과 나란하도록 밀착시켜서, 이것(20)을 가압함에 따라 가압된 외력이 상기 도어패널(20)에 직접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패널(30)은 이것(30)의 외주면에 상기 몸체(10)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3)의 선단으로부터 푸시 풀 게이지(20)를 통하여 외력을 전달받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도어패널(30)은 닫혀지게 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20)에 닫힘력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패널(30)은 이것(30)의 외면과 상기 완충재(12)가 일체로 밀착된 상태에서 닫힘력을 받게 되어, 외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완충재가 일체로 부착고정된 몸체와, 이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자리홈이 구비된 지지대로 이루어진 보조기구를 도어패널과 밀착시킴과 동시에, 자리홈에 푸시 풀 게이지의 선단이 밀착지지하면서 외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도어패널의 외면은 여기에 밀착된 완충재가 외력을 분산시키게 되어, 도어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판체(11)의 일면에 자체 탄성을 갖는 완충재(12)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판체(1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13)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지지대(13)의 선단에는 자리홈(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12)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12)의 선단면은 도어패널(30)의 외부패널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KR2019950053089U 1995-12-29 1995-12-29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KR200162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089U KR200162210Y1 (ko) 1995-12-29 1995-12-29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089U KR200162210Y1 (ko) 1995-12-29 1995-12-29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675U KR970038675U (ko) 1997-07-29
KR200162210Y1 true KR200162210Y1 (ko) 1999-12-01

Family

ID=1944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089U KR200162210Y1 (ko) 1995-12-29 1995-12-29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2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675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201038A (pt) Pneumatico dotado de um transmissor-receptor de circulo integrado e transdutor de pressao
EP1617197B8 (fr) Dispositif de mesure de forces, notamment pour pneumatique
IL93540A0 (en) Capacitive semiconductive sensor with hinged silicon diaphragm for planar movement
EP0653718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körperspezifischer Messdaten.
FI961695A0 (fi) Laite nesteen ominaisuuksien mittaamiseksi
GR3026352T3 (en) Device for measuring a clamping force applied by a movable rod of a length measuring device.
DE59408520D1 (de) Positionsmesseinrichtung
GB23693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flexible sheet material to a support structure
EP0255906A3 (en) Diaphragm for force measuring devices
KR200162210Y1 (ko) 푸시 풀 게이지의 보조기구
EP0687913A3 (de) Messgerät mit einer integrierten Licht-Abtasteinrichtung
NO983044D0 (no) Bremseinnretning for en vindusramme eller en d°rramme
FI943252A0 (fi) Mittausväline relaksaatioasteen ilmaisemiseksi
EP0501948A3 (en) Device to measure changes in length of a measuring range
WO2001098742A3 (de) Sensor zur dehnungs- und spannungsaufnahme in festen materialien
GB8914283D0 (en) Ribbon transducers
DE3467507D1 (en) Muscle training device
FR2416684A1 (fr) Dispositif de maintien et de compression pour porte-empreintes et autres instruments de prothese dentaire
KR100439805B1 (ko)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ES2082702A2 (es) Dispositivo para medir el grado de rigidez axial del pene.
KR960008885U (ko) 압력범위표시침을 보유하는 압력계
KR100224261B1 (ko)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JPS57162343A (en) Characteristics measuring instrument for film carrier semiconductor device
ATE130414T1 (de) Druckentlastungsvorrichtung.
KR950024230A (ko) 음극선관의 판넬과 프레임의 간격 측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