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922Y1 - 핸드프리 카 킷 - Google Patents

핸드프리 카 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922Y1
KR200161922Y1 KR2019970009951U KR19970009951U KR200161922Y1 KR 200161922 Y1 KR200161922 Y1 KR 200161922Y1 KR 2019970009951 U KR2019970009951 U KR 2019970009951U KR 19970009951 U KR19970009951 U KR 19970009951U KR 200161922 Y1 KR200161922 Y1 KR 200161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and
free
lamp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695U (ko
Inventor
이광순
Original Assignee
이광순
주식회사자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순, 주식회사자티전자 filed Critical 이광순
Priority to KR2019970009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922Y1/ko
Priority to JP9176183A priority patent/JPH10308807A/ja
Publication of KR19980065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프리 카 킷에 관한 것으로 핸드프리와 핸드폰의 변환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푸시버튼과 충전표시램프를 일체로 구성하여 야간에 변한버튼을 찾아 누르기 편리하도록 하고 또 설치공간을 최소화 하려는 것이고 또 시가잭 플럭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가잭 위치에 공용되어 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며 플럭을 시가잭에 꼽은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하려는 것인바, 그 기술적 구성수단은 상체(1)와 하체(2)로 결합되는 본체와 이의 선단부에 있는 플럭(3)과 후단부에 연결코드(4), 마이크(5) 및 핸드폰 연결잭(6)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회로기판(11)상의 표시램프(12) 일측에 인접 설치된 변환스위치(13)와, 관형 안내관(21)에 끼우는 투명 재질 버튼(22)과 이 버튼(22)이 램프(12)의 빛을 전달함과 동시에 누름봉(23)이 변한스위치의 상단(13a)을 누르는 기능도 합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드프리 카 킷.

Description

핸드프리 카 킷(Hand Free Car Kit)
본 고안은 운행중의 차량내에서 전화 통화를 한 때에 핸드폰과 연결 사용하는 핸드프리 카 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핸드프리 상태로 통화중에 동승자가 들어서 않되는 대화를 하고자 할때에는 핸드폰에 구비된 변환버튼을 누르고 핸드폰으로 통화하도록 되어 있어 운전중에 변환버튼을 찾아 누른다는 것은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 핸드프리 본체에 시가잭에 꼽히는 플럭이 직결되어 있어서 시가잭의 위치가 다른 차종에 사용 불가한 문제점도 있었으며, 또 상기 플럭에는 마이너스단자만이 상하 탄지작용토록 구성되어 있어 플럭이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운행중의 차량내에서 핸드프리로 통화를 하다가 핸드폰으로 바꾸고 또 핸드폰으로 통화를 하다가 핸드프리로 바꿀때에 그 변환스위치를 찾아 누르기 편리하도록 푸시버튼을 충전표시램프와 합성시키려는 것이고, 시가잭의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어떤 차종이라도 공용할 수 있게 플럭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으로 하려는 것이며, 시가잭에 꼽힌 플럭이 상하 좌우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보조용 좌우 탄편부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체 1a : 탄지간
2 : 하체 3 : 플럭
4 : 연결코드 5 : 마이크
6 : 연결잭 11: 회로기판
12 : 표시램프 13 : 변한스위치
13a : 상단 21 : 안내관
21a : 홈 22 : 버튼
22a : 돌기 23 : 누름봉
31 : 편부 32 : 톱니부
33 : 환돌부 34 : 접촉단자
35 : 탄편부 41, 42 : 반원협지홈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상체(1)와 하체(2)로 결합되는 본체와 이의 선단부에 있는 플럭(3)과 후단부에 있는 연결코드(4), 마이크(5) 및 핸드폰 연결잭(6)들은 일반적인 구성들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회로기판(11)상에 고정된 밧데리 충전표시램프(12)의 일측에 변환스위치(13)를 인접 설치하고, 이의 상방인 상체(1)의 저면에 관형 안내관(21)을 형성한 내로 끼워지는 투명합성수지재 버튼(22)의 저면을 움푹하게 파서 상기한 표시램프(12)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 버튼(22)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안내관(21)에 홈(21a)을 형성하고 버튼(22)에는 돌기(22a)를 형성하며 또 버튼(22)과 일체로 변환스위치(13)의 상단(13a)을 누를 수 있는 누름봉(23)을 형성하여서 버튼으로 충전표시램프 기능과 변환스위치 작동기능을 겸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플럭(3) 후측에 납작하게 형성된 편부(31)에 상체(1) 저면에 탄지간(1a)에 탄지되는 톱니부(32)를 형성하고 이 편부(31) 양측에 환돌부(33)를 양방으로 각각 돌출시켜서 상체(1)와 하체(2)에 형성된 반원협지홈(41), (42)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플럭(3) 상하 회전되게 구성하였다.
또 상기 플럭(3)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마이너스 접촉단자(34) 사이에 양측으로 약간 벌어지는 탄편부(35)를 형성하여 이 플럭(3)을 시가잭에 꼽았을 때 상하 좌우로 혼들리지 않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플럭(3)을 자동차의 시가잭에 꼽고 연결잭(6)은 핸드폰에 꼽으면 사용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므로 자동차에 별도 시실없이 핸드프리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같은 작용상태에서 핸드프리로부터 핸드폰으로, 또는 핸드폰으로부터 핸드프리로 변환 사용을 하려면 버튼(22)을 한번씩 누르면 버튼(22)과 일체로 형성된 누름봉(23)이 변환스위치(13)의 상단(13a)을 누르게 되어 변환 사용하게 되고 버튼(22)은 밧데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램프(12)의 빚을 상단에서 발하게 되어 결국 변환스위치 표시램프와 변한스위치 푸시버튼 기능을 합성한 것이므로 야간에 버튼위치를 알아내기 편리한 효과가 있고 또 양기능을 가지는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플럭(3)의 편부(31)에 탄지간(1a)과 맞걸림되는 톱니부(32)가 형성되어 있는데다가 양측 환돌부(33)가 반원협지홈(41), (42) 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므로 플럭(3)의 각도를 바꿀 때 뻑뻑하지도 아니하고 헐겁지도 아니한 매우 적절한 협지상태로 회전되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에고, 플럭(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가잭의 위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꼽는데 불편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는 플럭(3)의 마이너스 접촉단자(34) 사이에 양측으로 약간 벌어지는 탄편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 탄편부(35)가 시가잭 구멍 내면에 버팀작용을 하게 되어 플럭이 꼽힌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기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핸드프리 카 킷의 3가지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첫째 고안은 본체에 충전표시램프와 일체로 핸드프리와 핸드폰의 변환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푸시버튼으로 구성하여 야간에 변환버튼을 찾아 누르기 편리하도록 하고 또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하려는 것이고, 둘째 고안은 시가잭 플럭을 각도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가잭의 위치에 알맞게 각도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며, 셋째 고안은 플럭의 마이너스 접촉단자의에 좌우 탄편부를 설치하여 플럭이 상하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하려함에 그 목적을 둔다.

Claims (3)

  1. 상체(1)와 하체(2)로 결합되는 본체와 이의 선단부에있는 플럭(3)과 후단부에 연결코드(4), 마이크(5) 및 핸드폰 연결잭(6)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회로기판(11)상의 표시램프(12) 일측에 인접 설치된 변환스위치(13)와, 관형 안내관(21)에 끼우는 투명재질 버튼(22)과 이 버튼(22)이 램프(12)의 빛을 전달함과 동시에 누름봉(23)이 변환스위치의 상단(13a)을 누르는 기능도 합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프리 카 킷.
  2. 제1항에 있어서, 플럭(3)의 후측 편부(31)에 탄지간(1a)과 맞물리는 톱니부(32)와, 편부(31) 양측에 형성된 환돌부(33)를 반원협지홈(41), (42)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회전되게한 핸드프리 카 킷.
  3. 제1항에 있어서, 플럭(3)의 마이너스 접촉단자(34) 사이에 양측으로 약간 벌어지는 탄편부(35)를 형성하여 플럭이 꼽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한 것이 특징인 핸드프리 카 킷.
KR2019970009951U 1997-05-06 1997-05-06 핸드프리 카 킷 KR200161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51U KR200161922Y1 (ko) 1997-05-06 1997-05-06 핸드프리 카 킷
JP9176183A JPH10308807A (ja) 1997-05-06 1997-07-01 携帯無線機用のハンズフリー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51U KR200161922Y1 (ko) 1997-05-06 1997-05-06 핸드프리 카 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95U KR19980065695U (ko) 1998-12-05
KR200161922Y1 true KR200161922Y1 (ko) 1999-12-01

Family

ID=1950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951U KR200161922Y1 (ko) 1997-05-06 1997-05-06 핸드프리 카 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308807A (ko)
KR (1) KR2001619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67B1 (ko) * 1998-12-30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전화 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및 통화방법
EP2278722B1 (en) * 2007-10-19 2014-03-05 TomTom International B.V. Enhanced cigarette lighter adapter
JP5427937B2 (ja) * 2012-10-15 2014-02-26 トムト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スローテン 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高機能シガレット・ライタ・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08807A (ja) 1998-11-17
KR19980065695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4553B2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充電用コネクタ
KR200161922Y1 (ko) 핸드프리 카 킷
CN214355563U (zh) 一种带照明功能的电动汽车充电指示器
CN102683989A (zh) 电线引出部分的防水结构
CN210283936U (zh) 车辆充电指示灯和转向灯的集成结构和车辆
KR20040074817A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76595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룸램프
CN211742985U (zh) 一种副仪表台多功能开关
CN211335737U (zh) 多功能车灯控制旋钮
KR200184941Y1 (ko) 차량용 휴대폰 접속장치
CN213892188U (zh) 左侧仪表板开关
KR200208732Y1 (ko) 발광램프가 부착된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 장치
CN209870272U (zh) 一种车载电话
CN219295598U (zh) 适用于电助力自行车的led显示仪表及电助力自行车
KR200210827Y1 (ko) 차량용 핸즈프리
CN102905940B (zh) 车室灯的照明结构
KR20021040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255937Y1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핸드폰 접속구조
KR200218535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KR200236265Y1 (ko) 룸미러 일체형 핸즈프리 장치
KR20030041267A (ko)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JPS6324477Y2 (ko)
KR100309828B1 (ko) 안전스위치
KR200214977Y1 (ko) 손전등 겸용 무선통신기기
KR200414474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룸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