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638Y1 -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 Google Patents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638Y1
KR200160638Y1 KR2019970019347U KR19970019347U KR200160638Y1 KR 200160638 Y1 KR200160638 Y1 KR 200160638Y1 KR 2019970019347 U KR2019970019347 U KR 2019970019347U KR 19970019347 U KR19970019347 U KR 19970019347U KR 200160638 Y1 KR200160638 Y1 KR 200160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ignal rod
acupressure
handl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945U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2019970019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63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9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상의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부를 갖는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상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신호봉을 사용하는 사람은 별도의 지압기를 휴대하면서 운동할 필요가 없이 자연스럽게 손에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본 고안은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신호봉은 일반적으로 교통경찰관이나 공사장 작업자들이 주행중인 차량의 통제를 위하여 신호를 보내는 야간 수신호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신호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상의 발광부(51)와 상기 발광부(51)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부(53)로 구성된다. 발광부(51)는 중공체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면서, 내벽에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빛을 난반사하도록 발광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53)에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5)와 전원스위치(55)의 조작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는 점멸릴레이 및 발광다이오드에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지가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봉은 손잡이부에 밋밋한 표면이 노출되어 있을 뿐이어서 교통경찰관이나 공사장 작업자들이 장시간 휴대하면서 사용할 경우에, 신호봉의 손잡이부와 접하는 손바닥에 땀이 차거나 심하면 손바닥의 감각이 마비되기까지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교통경찰관이나 공사장 작업자들이 장시간동안 신호봉의 사용으로 인한 손의 피로감을 경감시키면서, 손바닥의 지압효과로 전신의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는 지압돌기를 손잡이부에 마련한 신호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신호봉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봉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신호봉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 발광부 13, 33 : 손잡이부
15, 35 : 전원스위치부 16, 36 : 손접촉부
17 : 손잡이덮개 21 : 손잡이뚜껑
23, 43 : 지압돌기 25 : 벨트
상기 목적은 관상의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부를 갖는 신호봉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상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돌기를 갖는 신호봉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별도의 손잡이덮개를 마련하고, 손잡이덮개상에 다수개의 지압돌기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신호봉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은,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대상의 발광부(11)와 발광부(11)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부(13)로 구성된다.
발광부(11)는 중공체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면서, 내벽에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빛을 난반사하도록 발광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11)내에는 미도시된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오렌지색 혹은 적색의 빛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발광부(11)의 내부면을 따라 색상비닐지로 감쌀 수 있다.
손잡이부(13)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부(15), 손잡이덮개(17)를 수용하는 손접촉부(16) 및 벨트(18)가 매달려 있는 손잡이뚜껑(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스위치부(15)는 돌출된 스위치노브(20)의 조작에 의하여 내장된 구동회로기판상의 회로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시켜 발광부(11)에 내장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접촉부(16)은 손잡이덮개(17)를 외주벽에 끼워넣었을 때 밀착되도록 평탄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손접촉부(16)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구동회로기판의 일부와 전지가 내장되어 있고, 내장된 전지가 발광부(11)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손잡이덮개(17)는 손접촉부(16)에 밀착되도록 탄성고무로 만들어져서 손접촉부(16)의 외주벽에 씌워지며, 손잡이덮개(17)의 외주면상에는 신호봉(10)을 검어쥔 사람의 손바닥을 지압하도록 다수개의 지압돌기(23)가 돌설되어 있다. .
지압돌기(23)의 배열간격은 신호봉의 사용자가 신호봉(10)의 손접촉부(16)를 쥐었을 때 손바닥에 지압효과를 전달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배열하면 충분하며,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지압기에서의 지압돌기의 배열간격과 동일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한편, 손잡이뚜껑(21)에는 미도시된 음극단자자 내장되어 있는 외에도, 벨트(25)가 매달려 있고, 홀더(27)가 장착되어 있어 신호봉(10)의 사용자가 신호봉(10)을 허리띠에 고정시켜 휴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신호봉에서는 처음에 사용할 때 전지를 손접촉부(16)에 넣고 손잡이뚜껑(21)를 결합한 후 사용하다가, 전지의 수명을 다하면 손잡이뚜껑(21)을 손접촉부(16)에서 분해한 다음 소모된 전지를 교체한 후 다시 손잡이두껑(21)을 손접촉부(16)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봉의 대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호봉(30)도, 도 1과 같이, 막대상의 발광부(31)와 발광부(31)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의 발광부(31)도 중공체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면서, 내벽에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빛을 난반사하도록 발광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2의 신호봉(30)은 지압돌기(43)를 손잡이덮개에 별도로 돌설시키지 않고,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손접촉부(36)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손접촉부(36)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다수개의 지압돌기(43)를 형성시킨 것에서 도 1의 신호봉(10)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33)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부(35), 지압돌기(43)가 돌설된 손접촉부(36) 및 손잡이뚜껑(41)으로 구성된다. 나머지 구성요소와 기능들은 도 1의 신호봉(10)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에서는 손잡이부의 외주면상에 고정된 지압돌기로 한정하였지만,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이용하여 손잡이부의 내부에 모터를 내장하여 지압돌기가 진동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개념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지압돌기가 진동하는 신호봉의 경우에는 손잡이부의 내부에 모터를 내장하고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된 회전체를 축설하여,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편심된 회전체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지압돌기에 전달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을 사용할 경우, 장시간동안 신호봉을 잡고 있어도 손바닥의 지압으로 인하여 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전신의 기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손바닥의 지압효과로 신호봉 사용자의 전신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관상의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손잡이부를 갖는 신호봉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상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돌기를 갖는 신호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손잡이덮개가 덮혀 있고, 상기 손잡이덮개상에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돌기를 갖는 신호봉.
KR2019970019347U 1997-07-22 1997-07-22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KR200160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47U KR200160638Y1 (ko) 1997-07-22 1997-07-22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47U KR200160638Y1 (ko) 1997-07-22 1997-07-22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45U KR19990005945U (ko) 1999-02-18
KR200160638Y1 true KR200160638Y1 (ko) 1999-11-15

Family

ID=1950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347U KR200160638Y1 (ko) 1997-07-22 1997-07-22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6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45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442A (en) Illuminated wand
US6890086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ulti-light flashlight
BG64203B1 (bg) Взаимодействаща със светлина четка за зъби
NZ574010A (en) Sexual Stimulation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means and resiliently flexible gripping means
US6116753A (en) Illuminated soap bar
US6445132B1 (en) Multi-mode light-emitting device for underwater applications
KR200160638Y1 (ko) 지압돌기를 가진 신호봉
US7207689B2 (en) Touch activated purse illumination assembly
RU2339872C2 (ru) Подсвечиваемый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ми диодами светящийся стержень
JPH11353901A (ja) 非常脱出装置付き非常信号灯
US6244722B1 (en) Handcuff key with illumination
US7185996B1 (en) Shake lighting dice key holder
US20080207990A1 (en) Vibration massager with visual control communication
GB2100647A (en) Shaving apparatus.
KR20200033163A (ko) 휴대 가능 마사지 장치
KR200194485Y1 (ko) 발광 훌라후프
KR200331765Y1 (ko) 발광봉
KR100564384B1 (ko) 신호봉
JPS59184418U (ja) 照明付スイツチ装置
KR200289399Y1 (ko) 진동스위치를 갖는 시그널 장치
KR200285078Y1 (ko) 발광봉
KR200172278Y1 (ko) 발광펜
KR20030089017A (ko) 발광봉
JPS6452970A (en) Key device
KR200350944Y1 (ko) 조명램프어셈블리를 갖는 레포츠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