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174Y1 -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 Google Patents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174Y1
KR200160174Y1 KR2019970007072U KR19970007072U KR200160174Y1 KR 200160174 Y1 KR200160174 Y1 KR 200160174Y1 KR 2019970007072 U KR2019970007072 U KR 2019970007072U KR 19970007072 U KR19970007072 U KR 19970007072U KR 200160174 Y1 KR200160174 Y1 KR 20016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combustion
heat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704U (ko
Inventor
이석주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19970007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17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두 개의 가스유입 파이프를 갖는 원판체의 상면에 외통체, 내통체 및 2차공기 유입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설되어 두 개의 가스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버너몸체; 상기 버너몸체의 상부에 복개되는 원판체로써 내부에는 가스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연소공이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된 버너헤드; 및 상기 버너 헤드의 연소공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압전유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는, 버너헤드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소공을 통하여 연소 불꽃이 생성되므로 연소 불꽃의 높이를 한 층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연료를 소모하면서도 가열체의 가열 도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버너몸체의 가스통로에서 가스 연료가 일시적으로 정체된 후 헤드의 수많은 연소공으로 분출되면서 연소되므로 연료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냄새 및 유해 가스의 발생을 극소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LPG)나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히터 등과 같은 난방기기에 사용되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나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히터 등은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로 연소시켜 그 상부의 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일정 공간을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버너는 연소 불꽃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그 한 예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스 버너는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며 가스를 분출하는 다수의 연소공(1a)을 갖는 링체로 이루어지는 버너 몸체(1)와, 상기 버너몸체(1)의 연소공(1a)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압전 유니트(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버너몸체(1)는 도면에서와 같이, 링체의 내부에 3개의 지지대(3)가 부설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대(3)에도 다수의 연소공이 형성되어 연소 불꽃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 버너의 연소 불꽃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체로써, 이 가열체(4)가 가열되는 것에 의하여 복사열이 전도되어 주위를 난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가스 버너는, 연소 불꽃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난방 효과가 떨어지고, 연료 소모 대비 연소 효율이 낮아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냄새 및 유해 가스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같은 양의 연료를 소모하면서도 연소 불꽃의 높이를 높일 수 있어 경제적인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료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냄새 및 유해 가스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스 버너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 버너의 버너몸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제3c도는 본 고안 버너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 버너의 버너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가스 버너가 채용된 히터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너몸체 11 : 원판체
12 : 외통체 13 : 내통체
14 : 2차공기 유입구 15, 15' : 가스통고
16, 16' : 가스유입 파이프 17, 17' : 가스호스
18 : 콕크 20 : 버너헤드
21 : 연소공 30 : 압전 유니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두 개의 가스유입 파이프를 갖는 원판체의 상면에 외통체, 내통체 및 2차공기 유입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설되어 두 개의 가스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버너몸체; 상기 버너몸체의 상부에 복개되는 원판체로써 내부에는 가스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연소공이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된 버너헤드; 및 상기 버너헤드의 연소공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압전유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가스유입 파이프는 원판체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또 수평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가스유입 파이프에는 이들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콕크가 설치되어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는, 버너헤드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소공을 통하여 연소 불꽃이 생성되므로 연소 불꽃의 높이를 한 층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연료를 소모하면서도 가열체의 가열 도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버너몸체의 가스통로에서 가스 연료가 일시적으로 정체된 후 헤드의 수많은 연소공으로 분출되면서 연소되므로 연료를 완전연소시킬 수 있어,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냄새 및 유해 가스의 발생을 극소화 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 버너의 버너몸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 버너의 버너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버너몸체(10)와, 이 버너몸체(10)의 상부에 복개되는 버너헤드(20)와, 상기 버너헤드(20)의 연소공(21)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압전 유니트(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버너몸체(10)는 소정 크기의 원판체(11)의 상부에 외통체(12), 내통체(13) 및 2차공기 주입구(14)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차례로 배설되어 두 개의 가스 통로(15)(15')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가스통로(15)(15')에는 두 개의 가스유입 파이프(16)(1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스유입 파이프(16)(16')에는 가스호스(17)(17')가 각각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가스호스(17)(17')에는 가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콕크(1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2차공기 주입구(14)는 연소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버너헤드 중앙부의 연소 불꽃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한 가스유입 파이프(16)(16')는 도 3b와 같이 원판체(11)의 하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고, 또 도 3c에서와 같이, 원판체(11)의 하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c와 같이 가스유입 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면, 버너몸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공급되는 가스가 가스유입 파이프의 절곡부에서 1차로 자연적인 반사를 이루면서 공급되게 되므로 보다 균일한 가스 불꽃을 유도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한 버너헤드(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원판체에는 복수개의 연소공(21)이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버너헤드(20)는 상기한 버너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되어 버너몸체(10)로 공급된 가스를 연소공(21)으로 분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버너헤드(20)의 연소공(21)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면(압전 유니트에 의해 착화됨) 각각의 연소공(21)에서 연소 불꽃이 생성되어 상부의 가열체(40)를 가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몸체(10)의 재질은 주철 또는 강이 좋으며, 버너헤드(20)는 황동주물 또는 주철이 좋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외 다른 재질로도 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버너몸체와 버너헤드의 크기는 사용 목적이나 용량에 따라 여러 크기로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버너헤드의 연소공은 2.0~3.0mm의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너헤드의 가장자리에는 환상의 플랜지부가 절곡, 형성되어 버너몸체에의 장착시 외통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 의한 가스 버너는 버너몸체(10)로 공급되는 가스연료가 몸체의 가스통로를 통하여 상부에 복개되어 있는 버너헤드의 다수의 연소공을 통하여 분출되면서 연소되게 된다. 따라서 연소 불꽃의 높이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연소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가스 버너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가스 버너를 가스 히터에 적용한 예를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몸체(10)는 하부의 지지체(50)에 지지되어 있고, 이 지지체(50)를 관통하여 가스 공급라인(51)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스 공급라인(51)은 버너몸체(10)의 가스유입 파이프에 연결되어 진다. 그리고 버너몸체(10)의 상부에는 버너헤드(20)가 장착되어 있고, 그 위로 가열체(40)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열체(40)는 최상부의 커버(52)에 지지되어 있고, 이 커버(52)와 지지체(5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지지봉(53)이 입설되어 보호망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스 히터는 지지체(50)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50a)를 "온"하게 되면, 가스 버너 내부의 압전 유니트가 작동하여 버너를 착화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버너에서는 연소가 이루어져 연소 불꽃이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연소 불꽃은 그 상부의 버너헤드를 경유하면서 한 층 높아진 상태로 가열체로 확산되고, 가열체가 가열되면서 복사열을 주위로 전도시켜 난방하게 된다.
이 때, 종래의 일반적인 가스 히터나 이런 종류의 버너장치를 채용한 석유히터에서보다 훨씬 높은 연소 불꽃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가열체의 가열 도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실제 실험 결과, 석유 히터에 본 고안의 요부인 버너헤드를 장착해 본 결과 같은 연료 소모량 대비 연소 불꽃의 높이가 종래에 비해 2~3배 정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존의 석유히터의 불꽃은 2~3cmm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연소 불꽃의 높이가 약 10cmm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는, 버너헤드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소공을 통하여 연소 불꽃이 생성되므로 연소 불꽃의 높이를 한 층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연료를 소모하면서도 가열체의 가열 도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난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버너몸체의 가스통로에서 가스 연료가 일시적으로 정체된 후 헤드의 수많은 연소공으로 분출되면서 연소되므로 연료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냄새 및 유해 가스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의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외부의 가스 공급원과 연결되는 두 개의 가스유입 파이플 갖는 원판체의 상면에 외통체, 내통체 및 2차공기 유입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설되어 두 개의 가스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버너몸체; 상기 버너몸체의 상부에 복개되는 원판체로써 내부에는 가스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연소공이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된 버너헤드; 및 상기 버너헤드의 연소공으로 분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압전유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 파이프는 버너몸체의 원판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 파이프는 버너몸체의 원판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가스유입 파이프에는 이들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콕크가 설치되어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KR2019970007072U 1997-04-07 1997-04-07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KR20016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72U KR200160174Y1 (ko) 1997-04-07 1997-04-07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072U KR200160174Y1 (ko) 1997-04-07 1997-04-07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704U KR19980062704U (ko) 1998-11-16
KR200160174Y1 true KR200160174Y1 (ko) 1999-11-01

Family

ID=1949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072U KR200160174Y1 (ko) 1997-04-07 1997-04-07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1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26B1 (ko) * 2007-07-09 2008-08-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다단구조의 원통형 버너를 구비한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704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569B2 (en) Gas burner
JPS5912930B2 (ja) ガスレンジ
US5879154A (en) Flame spreader-type fuel burner with lowered NOx emissions
KR20180011555A (ko) 휴대용 가스스토브
US6769907B2 (en) Open fire display apparatus with thermal expansion feature
US6349714B1 (en) Cooking range and control assembly and burner therefor
US2255298A (en) Radiant heater
KR20000016907U (ko) 휴대용 버너의 스토브장치
KR20070097929A (ko) 자연연소식 표면연소버너
US5437262A (en) Burner apparatus
KR200160174Y1 (ko) 난방기기용 가스 버너
US20030113677A1 (en) Open fire display apparatus
US5890483A (en) Heaters
US2129239A (en) Ignition device
US20050196719A1 (en) Cylindrical catalytic heater
US1129546A (en) Gas-burner.
KR100881605B1 (ko) 성화봉
US1185967A (en) Fire-lighting device.
US4050442A (en) Emergency mantle lamp for a gas stove
CA2166431C (en) Burner tube and space heater employing the tube
US1346456A (en) Gas-heater
KR20110032119A (ko) 가스 그리들 장치
JPH0120570Y2 (ko)
US7708555B2 (en) Gas-fired heating unit
KR200335050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화력 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