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896Y1 - 천정걸이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천정걸이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896Y1
KR200159896Y1 KR2019970033559U KR19970033559U KR200159896Y1 KR 200159896 Y1 KR200159896 Y1 KR 200159896Y1 KR 2019970033559 U KR2019970033559 U KR 2019970033559U KR 19970033559 U KR19970033559 U KR 19970033559U KR 200159896 Y1 KR200159896 Y1 KR 200159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water
plate
humidification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607U (ko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승일
Priority to KR2019970033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89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개형태로 된 물입자를 외기속으로 분무하는 가습기, 특히 출원된 가습기(95-27870)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접시형상의 상·하 회전판(24), (23)이 고속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국부적인 기압차와 물탱크에 잠겨 있는 중공관(22) 하단부에 착설된 송풍팬(21)이 함께 작용하여 물방울이 끌어올려지고, 이렇게 끌어올려진 물방울이 금속테(25)에 충돌도어 물방울이 아주 미립자화되며, 더욱 미세화된 안개형태의 물입자가 토출부(11)로 토출될 때 분산원판(15)과 걸이용 고리(16), (16')에 의해 더욱 골고루 가습이 확산되어 상기 가습기보다 더 정밀한 가습을 행할 수 있는 천정걸이형 가습기이다.

Description

천정걸이형 가습기
가습기 기술은 현대에 들어와서 인간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어 부적절한 외기의 습도는 인체에 호흡기 질환과 갈은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며, 화훼나 버섯등을 하우스로 재배하는 고소득 농작물의 경우에는 생산성을 감소시키그, 목재등의 흡습성 재료로 만들어진 각종 목재제품들은 과습으로 인하여 그 재질이 열화(劣化)되는등 부적절한 습도는 그외 여러븐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위와 같이 외기의습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식 가습고와 회전원반식 가습기로 대별하여 사용해왔으며, 이중 초음파 진동자식 가습기는 물통으로 부터 공급된 물이 가습조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안개형태로 된 후, 이 안개형태로 된 물질입자가 가습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무화통(霧化桶) 및 노즐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토출되게 한 구조로서, 장시간 사용시 초음파 진동자가 열화(劣化)됨으로써 그 진동기능이 떨어질 경우 이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가습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 됨으로써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 회전원반식 가습기는 첨부도면중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의 축단부에 장착한 고속회전되는 원반(2)위로 공급판(3)을 통해 물이 공급되고, 이 공급된 물이 회전원반(2)의 원심력에 의해 원반(2) 외측으로 밀려나가 상기 원반(2)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돌설된 다수개의 배플치(baffle teeth)(4)에 부딪혀 안개형태된 후, 안개형태된 물입자가 가습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토출구를 통하여 외기속으로 분무되게 한 구조로서, 분무되는 물입자의 굵기가 굵어 정밀한 가습을 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별도의 물 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함으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갈은 종래 가습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츨한 것으로써, 일단은 기 출원한 가습기(95-27870)에서 상기와 같은 회전원반식 가습기를 개량하기 위해 분무장치와 물탱크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하부 물탱크의 물을 상부의 분무장치의 모터에 부착된 상하 회전판의 고속회전으르 중공관속으로 끌어올린 물은 다수개의 슬릿으로 형성된 금속테에 부딪쳐 미세하게되면 가까이에 있는 송풍팬의 작용으로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한 방식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인은 종래 가습기의 단점을 개선한 기 출원된 상기 가습기(95-27870)를 토대로 하여 보다 그 성능이 향상된 가습기를 고안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본 고안을 안출하게된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의 물탱크에서 상부의 상·하 회전판의 고속 회전에 의한 기압차로 중공관속으로 물을 끌어올리는 방식이었는데 이 중공관의 하단부에 송풍팬을 직접 착설하여 이 송퐁팬이 중공관과 같이 회전하면 중공관 속으로 끌어올려진 물이 물방울로 형성되어 회전판 외주연에 부착된 금속테의 다수개의 슬릿에 부딪쳐서 미세한 물입자로 변하기 때문에 단순히 끌어올려진 물자체가 금속테에 부딪치는 것보다 더 미세한 물입자를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안개형태로 된 물입자가 토출되는 토출부에 완만한 원추형의 분산원판을 뒤집어서 올려놓고 상부에 걸이용 고리를 만들어서 본 고안의 가습기를 사용하면 주어진 공간으로 물입자가 골고루 퍼질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종래 가습기의 분무장치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부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부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습기 본체 11 : 토출부
15 : 분산원판 16 : 걸이용 고리
21 : 송풍팬 22 : 중공관
23 : 회전하판 24 : 회전상판
25 : 금속테 26 : 결합링
27 : 축결합부재 30 : 모터
100 : 분무장치부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습기를 걸 수 있는 두 개의 환봉으로 된 걸이용 고리(16), (16')를 부착하고 그 고리에 지지되어 토출부(11)의 위로 또 있는 분산원판(15)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2)는 원형철망(17)의 중간에 얹혀지고 다시 상부케이스(12)와 함께 원형철망(17)이 하부케이스(13)에 얹혀져 형성된 가습기 본체(10)는 본체(10) 내측의 공간부(14)에 분무장치부(100)를 삽입하여 상기 분무장치부(100)의 모터재치대(29) 외주연에 형성한 돌기(30)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내향돌기부(32)에 형성된 너트공(미도시)을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50)로 결합시킴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분무장치부(100)는, 나홈이 요설된 다수개의 돌기(30)를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돌기(30)의 하측으로 슬릿이 다수개 가공된 원형의 금속테(25)를 장착하며 내측의 하면중앙에 모터축공을 천설한, 모터재치대(29)의 개구부를 통하여 모터(31)를 상기 재치대(29)에 장착하되 모터축(28)의 단부가 상기 재치대(29)의 하방으로 돌츨되게 장착하여, 상기 모터(거)의 축단부와 원형판(61)의 일측면에 가로길이가 상기 원형판(61)의 직경보다 작은 사각 또는 사다리꼴의 격벽(62)이 서로 등간격되게 교차되어 방사상 형태로 다수개 입설되고 그 타측면 중앙에 모터축 결합공(63)이 형성된 축결합부재(27)의 상기 결합공(63)을 결합하고, 평평부(42)의 중앙에 관통공(44)이 천설되고 그 후면(後面)에 상기 관통공(44)과 연통되게 다수개의 홈(43)이 요설된 접시형 회전상판024)의 상기 관통공(44)에 상기 축 결합부재(27)의 격벽(62)을 삽입하여 나합하며, 평평부(42a)의 중앙에 관통공(44a)이 천설된 접시형 회전하판(23)과 상기 회전상판(24)과의 사이에, 중앙에 관통공(44')이 천설되고 상기 관통공(44')과 연통되게 다수개의 홈(43')이 후면상에 요설된 결합링(26)을 개재하여 나합하고, 상단부에 플랜지(65)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송풍팬(21)이 착설된 원추형의 중공관(22)을 상기 회전하판의 평평부(42a) 후면에 나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결합부재(27), 회전상판(24), 결합링(26), 그리고 회전하판(23)은 일체로 나합할 수도 있고, 상기의 돌기(30)와 내향돌기부(32)에는 각각 너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천정걸이형 가습기를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본 고안의 가습기의 내부에 모터(31)를 구동하게 되면, 접시형의 회전상판(24)과 회전하판(23)이 회전도어 모터축(28) 부위의 압력이 강하되고 상대적으로 높아진 주위의 압력이 수면에 작용되어 원추형의 중공관(22)속으로 물이 흡입되는데, 이때 중공관(22) 하단부에 착설된 송풍팬(21)에 의해 물이 물방울로 변하고 이 물방울이 중공관(22)의 내벽을 따라 상승되어 접시형 회전상판(24)과 결합링(26)에 요설된 홈(43), (43')으로 토출되어 상기 회전상판(24) 및 회전하판(23) 사이의 유동 공간부(70)를 지나서 모터재치대(29)에 장착된 다수개의 슬릿을 가진 금속테(25)에 분사되며, 상기 금속테(25)의 슬릿 벽체에 물방울이 부딪쳐 기 출원된 가습기 형태 에서보다 더욱더 미세한 안개형태로 된 물입자로 되어 토츨부(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안개형태로 된 물입자가 외부로 토출될 때 기 출원된 상기 가습기는 토츨부(11)가 관형태로 되어 있어 가습의 확산 효과를 주어진 공간에 골고루 누리는데 미흡한 점이 있어서 본 고안의 가습기에서는 토출부(11)에 완만한 원추형의 분산윈판(15)을 뒤집어서 올려놓으면 토츨되는 물입자가 이판에 부딪쳐 방사상으로 골고루 가습의 확산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덧붙여 가습된 물입자는 위에서 아래로 하강하기 때문에 분산원판(15) 위에 걸이용 고리(16), (16')을 달면 높은 곳에 가습기를 매달 수 있으므로 더욱더 완벽한 가습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산원판(15)과 걸이용 고리(16), (16')를 사용하면 가습뿐만 아니라 물탱크에 소독제를 넣어 주어진 공간을 골고루 소독할 수 있으며, 수입품(TDK)을 대체하여 외화낭비를 막고 많은 가습량이 요구될 때 초음파 가습기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가습기이다.
본 고안은 물입자를 안개형태(霧化)로 만들어서 건조한 외기속으로 분무하게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속회전되는 접시형 회전판으로 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슬릿(slit)이 형성된 금속테를 모터재치대의 외주연에 장차고, 종래보다 물입자를 더 미립화 시킴으로써 정밀가습이 가능하게된 가습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인이 기 출원하였던 가습기(95-27870)의 성능개량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원형철망(17)위에 얹혀져 상부가 토출부(11)인 상부케이스(12)와, 상단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내향돌기부(32)가 형성된 가습기 본체의 하부케이스(13)가 이루는 본체(10) 내측의 공간부(14)에 분무장치부(100)를 삽입하여 상기 분무장치부(100)의 모터재치대(29) 외주연에 형성한 돌기(30)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내향 돌기부(32)에 형성된 너트공을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50)로 결합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11)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습기를 걸수 있는 두 개의 환봉으로 된 걸이용 고리(16), (16')와 그 고리에 지지되어 토츨부(11)의 위로 떠 있는 분산원판(15)과 상기 중공관(22)의 하단부에 착설된 송풍팬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걸이형 가습기.
KR2019970033559U 1997-11-24 1997-11-24 천정걸이형 가습기 KR200159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59U KR200159896Y1 (ko) 1997-11-24 1997-11-24 천정걸이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59U KR200159896Y1 (ko) 1997-11-24 1997-11-24 천정걸이형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07U KR19980055607U (ko) 1998-10-07
KR200159896Y1 true KR200159896Y1 (ko) 1999-11-01

Family

ID=1951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559U KR200159896Y1 (ko) 1997-11-24 1997-11-24 천정걸이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92Y1 (ko) 2013-04-12 2013-11-05 김남숙 하우스 농업용 초미립자 방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78B1 (ko) * 2016-03-09 2019-02-14 장은경 가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92Y1 (ko) 2013-04-12 2013-11-05 김남숙 하우스 농업용 초미립자 방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07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6053A (en) Fan guard mounted mister having plurality of spaced nozzles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JP5004728B2 (ja) 遠心噴霧装置
KR101670464B1 (ko) 가습기용 낙수 소음 방지구
US6117219A (en) Arrangement for air humidification and for air washing
KR200159896Y1 (ko) 천정걸이형 가습기
JP3429263B2 (ja) 加湿装置
KR101569062B1 (ko) 천연 약초 향 발산기
JP7067701B2 (ja) 超音波霧化栽培装置
KR0132123Y1 (ko) 배풍식 가습기
JP5825406B1 (ja) 加湿器
CN107388381B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JP5209452B2 (ja) 遠心噴霧装置
KR200315427Y1 (ko) 농업용 분무장치
JP2004017038A (ja) 卓上型噴水装置
KR100452127B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KR100434885B1 (ko) 상온 연무기
KR200302270Y1 (ko) 농축산용 연무기
KR200406806Y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0242883Y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JP3728379B2 (ja) 超音波式殺虫装置
WO2021074849A1 (en) Aeroponic system and misting device
KR100342074B1 (ko) 농작물용 가습장치
KR100713232B1 (ko) 분무형 재배기
KR200260778Y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