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478Y1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478Y1
KR200159478Y1 KR2019970031246U KR19970031246U KR200159478Y1 KR 200159478 Y1 KR200159478 Y1 KR 200159478Y1 KR 2019970031246 U KR2019970031246 U KR 2019970031246U KR 19970031246 U KR19970031246 U KR 19970031246U KR 200159478 Y1 KR200159478 Y1 KR 200159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conditioner
cover
control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058U (ko
Inventor
강도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31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47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콘트롤박스는 메인바디와 커버의 결합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며, 벤틸레이션기구의 조작을 위한 조작레버 어셈블리를 내장함으로써 그 조작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내장된 제어부품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공기조화기의 생산성과, 조작편의성 그리고 작동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부와 실외부를 차단하는 격막패널(22)에 부착되고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품이 내장되는 메인바디(60)와, 상기 메인바디(60)의 개방된 측면을 덮어 씌우며 메인바디(60)에 내장된 제어부품으로부터의 콘트롤노브가 돌출되는 노브홀(70b)이 형성된 커버(7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60)는 전면부(61)와 하면부(62) 및 좌 우 측면부(63)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63)의 격막패널(22) 대향부위에는 격막패널(22)에 일정폭으로 접하는 절곡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절곡편에는 돌기(63c)가 형성되고, 커버(70)의 선단에는 메인바디(60)의 절곡편에 형성된 돌기(63c)와 대향되며 형합되는 요홈부(7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본 고안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각종 제어부품이 내장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높은 계절에 실내의 더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작용을 통해 냉각시킨 다음 다시 분출함으로써 실내의 기온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에서 실내공기를 냉각 순환시키는 실내부와 실외에서 상기 실내부에 공급되는 냉매를 식히는 실외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내부와 실외부가 실내기 및 실외기로 분리되어 각각 실내와 실외에 따로 설치되는 구분형과, 실내부와 실외부가 일체로 구성된 통합형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 통합형은 실내부가 실내에 위치되고 실외부가 실외에 위치되도록 창문에 주로 설치되므로 창문형이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가압된 냉매를 응축시켜 그 온도를 낮추는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12)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 작용을 이루는 증발기(14)와, 실내공기를 케이스로 흡입하여 증발기(14)를 거치도록 한 다음 토출시키는 크로스플로우팬(16)과, 실외공기를 케이스로 흡입함으로써 응축기(12)의 작동효율을 높이는 송풍팬(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부품은 케이스(미도시) 내의 저면에 위치된 베이스패널(20)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응축기(12)와 송풍팬(18)은 케이스 내의 실외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증발기(14)와 크로스플로우팬(16)은 케이스의 실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 내에는 실내측 공간과 실외측 공간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격막패널(22) 또한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케이스 내에는 각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과 같은 제어부품이 내장된 콘트롤박스(3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콘트롤박스(30)는 격막패널(22)에 취부되는 메인바디(40)와, 상기 메인바디(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30)의 상면은 증발기(14)의 전방의 프론트그릴(15)에 형성된 콘트롤박스홀(15a)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크로스플로우팬(16)이 회전하여 실내의 더운공기가 케이스 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더운공기가 케이스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증발기(14)에 의해 냉각된 다음 배출됨으로써 실내의 기온이 적절하게 조절되는 바, 증발기(14)에서 더운공기와 접하여 온도가 높아진 냉매는 응축기(12)를 거치는 순환과정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콘트롤박스(30)의 메인바디(40)는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서, 격막패널(22)에 부착되는 배면부(41)과, 상기 배면부(41)의 양측단과 직각을 이루는 좌 우 측면부(42)과, 상기 배면부(41) 및 좌 우 측면부(42)의 상 하단에 각각 그 삼면이 직각 연결되는 상 하면부(43, 44)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좌 우 측면부(42)는 상단의 일측 모서리가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41)의 하단과 상면부(43)의 선단에는 각각 걸림편(45)과 결합편(46)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부(44)에는 삽입슬롯(4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 우 측면부(42) 중 어느 한 측면부에는 실내외를 통기시킴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벤틸레이션기구(미도시)의 조작을 위한 조작레버 어셈블리(80)를 지지하는 지지편(47)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부(41)와 결합편(46) 및 지지편(47)에는 볼트결합을 위한 볼트홀(41a)(46a)(4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50)는 메인바디(40)의 개방된 측면을 덮어 씌울 수 있는 절곡된 패널 형태로서, 상기 삽입슬롯(44a)에 삽입체결되는 삽입편(51)이 그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결합편(46)의 볼트홀(46a)에 대응되는 볼트홀(50a)과 메인바디(40) 내에 장착되는 제어부품으로 부터의 콘트롤노브(미도시)가 돌출되는 노브홀(5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는 그 설치 시 우선 메인바디(40)를 격막패널(22)에 부착하고, 상기 메인바디(40)의 내부에 각종 제어부품을 내장한 다음, 커버(50)와 메인바디(40)를 결합하게 되는 바, 커버(50)와 메인바디(40)의 결합구조는 커버(50) 하단의 삽입편(51)이 메인바디(40)의 삽입슬롯(44a)에 끼워진 다음 커버(50)의 상면과 메인바디(40)의 결합편(46)이 볼트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고, 메인바디(40)와 격막패널(22)의 결합구조는 걸림편(45)이 격막패널(22)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3)에 걸린상태에서 메인바디(40) 배면부(41)와 격막패널(22)이 볼트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첫째, 메인바디(40)의 상측면 만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메인바디(40)에 각종 제어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내장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고, 둘째, 커버(50)와 메인바디(40)의 결합 시 커버(50)의 삽입편(51)이 메인바디(40)의 삽입홀(44a)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50)가 좌 우로 흔들리기 때문에 결합편(46)의 볼트홀(46a)과 커버(50)의 볼트홀(50a)을 일치시키기 어려워 커버(50)와 메인바디(40)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으며, 셋째, 메인바디(40)와 커버(5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콘트롤박스가 밀폐된 상태를 이루어 내장된 제어부품의 발열이 가속화됨으로써 전자회로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품의 특성상 작동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 공기조화기의 생산성과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벤틸레이션기구와 연결된 조작레버 어셈블리(8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벤틸레이션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프론트그릴(15)을 열고 조작레버 어셈블리(80)를 조작해야 하는 등 조작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바디와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내장품의 장착작업 및 그 내부로의 통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생산성과 성능 및 조작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부와 실외부를 차단하는 격막패널에 부착되고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품이 내장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개방된 측면을 덮어 씌우며 메인바디에 내장된 제어부품으로부터의 콘트롤노브가 돌출되는 노브홀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전면부와 하면부 및 좌 우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의 격막패널 대향부위에는 격막패널에 일정폭으로 접하는 절곡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절곡편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의 선단에는 메인바디의 절곡편에 형성된 돌기와 대향되며 형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가 격막패널에 취부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격막패널 60 : 메인바디
61 : 전면부 61a : 통기홀
62 : 하면부 63 : 측면부
63a : 절곡편 63b : 볼트홀
63c : 돌기 70 : 커버
70b : 노브홀 70c : 레버홀
80 : 조작레버 어셈블리 81 : 조작레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부터 도 4 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가 격막패널에 취부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콘트롤박스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격막패널(22)에 부착되는 메인바디(60)와, 상기 메인바디(60)와 결합되는 커버(70)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메인바디(60)에는 공기조화기의 조작을 위한 제어부품이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60)는 격막패널(22)과 수직을 이루는 전면부(61)와, 상기 전면부(61)의 하단과 직각을 이루는 하면부(62)와, 전면부(61)의 양측단과 직각을 이루는 좌 우 측면부(63)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전면부(61)의 상단에는 소정의 넓이 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고 볼트홀(64a)을 구비한 결합부(64)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62)의 선단에는 격막패널(22)의 걸림턱(23)에 삽입되는 삽입편(65)이 갖추어지며, 좌 우 양측면부(63)는 상단의 일측 모서리가 절단되어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그 선단은 격막패널(22)과 접하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직각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곡된 좌 우 측면부(63)의 선단에는 격막패널과 일정폭 만큼 대향되는 절곡편(63a)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63a)에는 볼트홀(63b)과 상기 볼트홀(63b)의 상방에 위치된 돌기(63c)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 우 측면부(63)와 전면부(61) 사이의 모서리에는 내장된 제어부품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홀(61a)이 세로로 일렬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바디(60) 내에는 벤틸레이션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어셈블리(80)가 장착된다.
커버(70)는 메인바디(60)를 위에서 덮어씌우는 절곡된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그 일측 선단에는 메인바디(60)의 돌기(63c)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합되는 요홈부(70a)가 형성되며, 타측선단에는 메인바디(60)에 형성된 결합부(64)의 볼트홀(64a)에 대응되는 볼트홀(71a)이 형성된 결합편(71)이 갖추어지고, 그 일면에는 메인바디(60)에 내장된 제어부품으로 부터의 콘트롤노브가 돌출하는 다수개의 노브홀(70b)과 상기 조작레버 어셈블리(80)의 조작레버(81)가 돌출하는 레버홀(70c) 또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콘트롤박스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바디(60)를 격막패널(22)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면부(62)의 삽입편(65)을 격막패널(22)의 걸림턱(23)에 끼우고, 좌 우 측면부(63)의 절곡편(63a)을 격막패널(22)과 볼트연결시킨 후, 메인바디(60)의 내부에 벤틸레이션기구와 연결된 조작레버어셈블리(80)와 제어부품을 비롯한 각종 내장품을 장착한다. 그리고, 메인바디(60) 및 상기 메인바디(60)에 내장되는 각종 제어부품의 설치를 마친 후에 커버(70)를 결합시킬 경우에는 우선, 커버(70)의 요홈부(70a)와 메인바디(60)의 돌기(63c)를 형합시킴으로써 커버(70) 선단의 결합편(71)에 형성된 볼트홀(71a)과 메인바디(60)의 결합부(64)에 형성된 볼트홀(64a)이 일치되는 가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한 다음에 볼트를 이용해 메인바디(60)와 커버(70)를 완전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메인바디(60)와 커버(7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어부품을 조작하는 콘트롤노브 뿐만이 아니라 벤틸레이션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어셈블리(80)의 조작레버(81) 또한 커버(70)의 레버홀(70c)을 통해 외부로 돌출함으로써 프론트그릴(15)(도 1참조)을 열지 않고 벤틸레이션기구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때 조작레버 어셈블리(80)의 조작력을 벤틸레이션기구에 전달하는 작동케이블(82)은 그 일단이 조작레버 어셈블리(80)에 연결되고 타단이 통기홀(61a)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메인바디(60)의 외부로 인출되어 벤틸레이션기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통기홀(61a)은 케이스 내에 유입된 다음 증발기(14)(도 1참조)의 작용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콘트롤박스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롤박스 내의 제어부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면부(61)와 양측면부(63) 사이의 모서리 부위는 통기홀(61a)의 형성으로 인해 다른 부위에 비해서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제어부품의 장착작업 시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좌 우 양측면부(63) 중 어느 하나만을 격막패널(22)에 취부시키고 다른 하나를 펴서 조립공간을 넓힌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콘트롤박스에 의하면 첫째, 메인바디와 커버의 결합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 할 수 있게 되며, 둘째, 벤틸레이션기구의 조작을 위한 조작레버 어셈블리가 메인바디에 내장되어 그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셋째, 메인바디에 통기홀이 형성됨으로써 내장된 제어부품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공기조화기의 생산성과, 조작편의성 그리고 작동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Claims (4)

  1.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부와 실외부를 차단하는 격막패널에 부착되고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품이 내장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개방된 측면을 덮어 씌우며 메인바디에 내장된 제어부품으로부터의 콘트롤노브가 돌출되는 노브홀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전면부와 하면부 및 좌 우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의 격막패널 대향부위에는 격막패널에 일정폭으로 접하는 절곡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절곡편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의 선단에는 메인바디의 절곡편에 형성된 돌기와 대향되며 형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벤틸레이션기구의 작동을 위한 조작레버어셈블리가 내장되며, 커버에는 상기 조작레버 어셈블리의 조작레버가 돌출되는 레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내장부품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홀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홀은 메인바디의 전면부와 측면부 사이의 모서리에 세로로 일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KR2019970031246U 1997-11-06 1997-11-06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KR200159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46U KR200159478Y1 (ko) 1997-11-06 1997-11-06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46U KR200159478Y1 (ko) 1997-11-06 1997-11-06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58U KR19990018058U (ko) 1999-06-05
KR200159478Y1 true KR200159478Y1 (ko) 1999-10-15

Family

ID=1951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246U KR200159478Y1 (ko) 1997-11-06 1997-11-06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4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58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9478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JPH081459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2081679A (ja) 空気調和機
JPH0384344A (ja) 熱交換ユニット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20030042713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조립체
KR100436928B1 (ko) 적층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
CN220793296U (zh) 窗式空调器
KR100296799B1 (ko) 공기조화기
EP0887598B1 (en) Air conditioner
JPH0861692A (ja) 空気調和機
KR20000006431U (ko) 공기조화기
KR100871496B1 (ko) 공기조화기의 사이드 커버 체결구조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KR19990012770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98136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용콘트롤패널결합장치
KR100436269B1 (ko) 공기조화기
JP3163025B2 (ja) 空気調和機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JPH0731057Y2 (ja) 熱交換ユニット
KR0120865Y1 (ko) 캐비넷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84560Y1 (ko) 에어컨디셔너의 프런트패널 결합구조
KR20018084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판넬구조
KR0128730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구조
KR200228647Y1 (ko)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