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345Y1 -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345Y1
KR200159345Y1 KR2019970021949U KR19970021949U KR200159345Y1 KR 200159345 Y1 KR200159345 Y1 KR 200159345Y1 KR 2019970021949 U KR2019970021949 U KR 2019970021949U KR 19970021949 U KR19970021949 U KR 19970021949U KR 200159345 Y1 KR200159345 Y1 KR 200159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iper
adapter
fasten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808U (ko
Inventor
이춘배
리 알버트
Original Assignee
이춘배
리 알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배, 리 알버트 filed Critical 이춘배
Priority to KR2019970021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34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adapter)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훅크형 암과 사이드핀형 암 및 바닛트형 암에 임의로 장착하게 된 와이퍼 어뎁터에 있어서, 어뎁터 본체의 하부측에 훅크형 암과 사이드핀형 암을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을 구성하고, 본체의 상부측에는 바닛트형 암의 삽입홈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삽입홈의 상부측에 바닛트 암을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임의 모델의 와이퍼암에 와이퍼를 장착할 때 어뎁터에 의하여 용이하게 끼워 결합되는 동시 암의 모델별로 제1체결수단, 또는 제2체결수단에 의하여 암과 어뎁터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사용중 와이퍼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어 와이퍼의 기능이 보다 향상되고 또 간편하게 와이퍼를 교체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와이퍼를 훅크형 암, 바닛트형 암, 사이드 핀형 암에 공통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와이퍼 모델에 따른 암은 직선형으로 된 바닛트형 암, 암의 선단부가 고리로 된 훅크형 암, 및 두부 측면에 핀이 형성된 사이트핀형 암의 3종류가 있다.
종래 상기한 3가지 모델의 와이퍼 암에, 와이퍼를 공통으로 적용하여 장착하기위한 몇 종류의 범용 어뎁터가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의 대상으로 하는 선행기술인 실용신안 공고번호 92-1672호(1992. 3. 9공고)의 제3a도가 제19도에 표시되고 상기 제3b도가 제20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0도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어뎁터는, 어뎁터(D)의 본체(b)의 상부측에 훅크형 암(ha)을 삽입하는 만곡된 결합홈(g)과, 바닛트형 암(ba)을 삽입하는 직선형 삽입홈(g')이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b)의 중간부에는 유착공(sh)과 사이트핀형 암(sa)의 핀을 끼우는 핀공(ph)이 일부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 어뎁터(D)를 와이퍼의 지지구에 유착공(sh)을 이용하여 유착한 다음 자동차의 와이퍼 모델에 따라 훅크형 암(ha)인 경우에는 제19도에 표시된 바와 가이 만곡된 결합홈(g)에 암(ha)을 걸어 장착하면 홈(g)의 만곡부 내외측에 측방으로 약간 돌출형성된 걸림턱(t)에 의하여 암(ha)이 걸리어 결합유지하게 되어 있다.
또 바닛트형 암(ba)을 삽입홈(g')에 끼워 장착하면 암(ba)에 형성된 돌기(f)가 상부측에 형성된 결합공(fh)에 결합하게 되어 있다.
또 사이드핀형 암(sa)의 사이드핀을 핀공(ph)의 개방된 틈으로 눌러 끼워 장착 하게 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된 종래의 범용 와이퍼 어뎁터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으로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① 제1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어뎁터(D)에 훅크형 암(ha)을 걸어 장착할 때, 어뎁터의 구조상 암(ha)의 고리(h)부분에 어뎁터의 결합홈(g)을 대고 삽착해야하는데 이때 만곡된 결합홈의 좌우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턱(t)때문에 암의 삽입을 방해하고 강압적으로 암을 삽입하면 억지로 장착되나 후에 와이퍼의 교체를 위하여 암을 분리할 때 매우 힘이 든다.
② 또 어뎁터(D)에 결합된 훅크형 암(ha)은 내외측의 걸림턱(t)에 의해서 체결되나 걸림턱(t)자체는 협지력이 없기 때문에 암의 유극이 심하다.
③ 따라서 와이퍼의 암이 좌우로 작동할 때 와이퍼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변위(變位)되거나 비틀어질 우려가 있으며 고무 브레이드와 유지면과의 접촉불량으로 와이퍼의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진눈개비가 오는 악천후의 겨울철에는 와이퍼에 보다 큰 하중이 걸리게 됨으로 이때 와이퍼의 기능은 더욱 문제가 된다.
④ 제2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어뎁터를 바닛트형 암(ba)을 삽입홈(g')에 삽착할 때 암(ba)에 형성된 돌기(f)가 삽입홈에 걸리어 삽착하기 어렵고 강제로 삽입하면 돌기가 망가지거나 삽입홈(g')이 확장되어 암(ba)의 유극이 커서 어뎁터가 흔들거리기 쉽다. 어뎁터가 암에 견고하게 결착되지 못하고 유극 때문에 흔들거리면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퍼의 기능이 떨어지고 수명이 단축된다.
⑤ 또 삽입홈(g')이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 지지구(S)의 지축(sx)에 어뎁터(D)의 유착공(sh)을 유착한 다음 암에 장착하면 어뎁터(D)는 경사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어뎁터의 하단 일부만이 와이퍼에 접촉유지되어 와이퍼의 작동시 와이퍼의 자세가 불안정하며 잘 닦이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어뎁터에서 암의 삽입 및 분리하는데 힘이 많이 들어, 와이퍼의 교체시에 운전의 초보자나 부녀자들은 거의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훅크형 암과, 바닛트 암 및 사이드핀형 암에 장착하게된 범용 와이퍼 어뎁터에 있어서, 각종 모델의 암에 어뎁터를 힘 안드리고 간편하게 장착 할 수 있고 정착된 후에는 암과 어뎁터가 체결수단에 의하여 견고하게 체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어뎁터에는 훅크형 암과, 사이드핀형 암을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과 비닛트형 암을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이 결합구성되어 있다. 제1체결수단은, 본체의 하부에 탄동부를 가진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동부에는 삼각형의 걸림턱과 요홈이 형성되어 훅크형 암이나 사이드핀형 암에 체결하게 되어 있다. 또 제2체결수단은, 본체의 상부측에 암의 삽입홈이 본체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삽입홈의 천정부에 결합공을 가진 탄편이 형서되어 바닛트형 암의 삽입시에 탄편의 탄동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장착후에는 암을 체결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훅크형 암, 또는 사이드핀형 암에 와이퍼 어뎁터를 결합하는 경우, 극히 용이하게 결합되는 동시 제1체결수단에 의하여 암과 어뎁터가 견고하게 체결유지되어 와이퍼 암의 동작중 와이퍼의 자세가 안정되고 유동되거나 빠지는 일이 없다. 또 바닛트형 암에 어뎁터를 삽입하는 경우, 제2체결수단에 의하여 삽입의 용이성과 암과 어뎁터의 견고한 체결유지에 의해서 와이퍼 암의 작동시에 와이퍼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고 와이퍼 기능이 보다 향상된다.
또 제1체결수단이 체결편을 벌리면 어뎁터의 체결이 해정되어 암에서 간단하게 어뎁터가 분리되므로 운전의 초보자나 부녀자들이라도 용이하게 다른 와이퍼를 교체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모델의 암에 구분 없이 어뎁터를 결합하여 와이퍼를 장착할 수 있어 종래 지정 모델의 암에 맞는 와이퍼를 구입하던 페단을 시정하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어뎁터를 와이퍼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와이퍼 어뎁터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의 제1체결수단과 제2체결수단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의 저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의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의 배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를 훅크형 암에 장착하기 전의 측단면도.
제10도는 동 어뎁터를 동 암을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제11도는 동 어뎁터의 제1체결수단이 동 암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를 사이드핀형 암에 장착하기 전의 평단면도.
제13도는 동 어뎁터를 동 암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제14도는 동 어뎁터의 핀공에 동 암의 사이드핀이 삽입될 때의 측단면도.
제15도는 동 어뎁터의 제1체결수단이 동 사이드핀에 체결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동 어뎁터를 바닛트형 암에 장착하기 전의 측단면도.
제17도는 동 어뎁터를 동 암에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제18도는 동 어뎁터의 제2체결수단이 동 암의 돌기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19도는 종래의 와이퍼 어뎁터를 훅크형 암에 장착한 측면도.
제20도는 종래의 동 어뎁터를 바닛트형 암에 장착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결합홈
3 : 유착공 4 : 핀공
5 : 절결홈 6 : 체결편
6a : 탄동부 6b : 누름편
6c : 걸림턱 7 : 삽입홈
7' : 접동홈 7a : 삽입구
7b : 안내편 8 : 천정부
8a : 탄편 8b : 경사부
8h : 결합공 9 : 절결홈
D : 어뎁터 ha : 훅크형 암
sa : 사이드핀형 암 ba : 바닛트형 바
h : 훅크 h' : 체결공
p : 사이드 핀 f : 돌기이다.
제2도 및 제8도는 본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와이퍼 어뎁터(D)의 본체(1) 상부에서 선단 하부에 이르러 훅크형 암(ha)을 결합하는 만곡된 결합홈(2)이 좌우 측판(2a)을 두고 형성되고 본체(1)의 중간부에는 유착공(3)과 핀공(4)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본체(1)의 하부측에는 훅크형 암(ha)과 사이드핀형 암(sa)을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L1)이 구성되고 본체(1)의 상부에는 바닛트형 암을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L2)이 구성되어 있다.
제1체결수단(L1)은, 제3도 및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 본체(1)의 하부측에 절결홈(5)에 의하여 절결된 체결편(6)이 구성되어 있다. 동 체결편(6)의 일단부(6')는 본체(1)에 일체로 연결되고 동 체결편(6)의 타단부는 자유단(6'')으로 되어 있어, 절결홈(5)내에서 상하로 탄동가능하다. 체결편(6)의 탄동부(6a)는 본체(1)에 형성된 결합홈(2)의 하단부에서 본체(1)의 후단부측(도면의 우측)으로 연장되어 그 자유단(6'')에는 해정용 누름편(6b)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동 탄동부(6a)의 하부에는 경사진 삼각형의 걸림턱(6c)이 형성되어 암(ha)의 훅크(h)에 형성된 체결공(h')에 결합하여 훅크형 암(ha)을 체결하게 되어 있다.
동 체결편(6)의 탄동편(6a)은, 암(sa)의 사이드핀(p)의 요입부(pg)에 삽입할 수 있는 폭(w)으로 되어 있고 탄동부(6a)의 상면에는 사이드핀(p)에 접촉할 수 있는 만곡된 요홈(6d)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편(6)의 탄동부(6a)가 암(sa)의 사이드핀(p)의 요입부(pg)에 삽입되어 체결하게 되어 있다.
제2체결수단(L2)은, 제3, 4도 및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바닛트형 암(ba)을 삽입하는 직선형 삽입홈(7)이 핀공(4)의 중심을 향하여 결합홈(2)과 나란하게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 삽입홈(7)의 양측벽에 암(ba)이 유도되는 접동홈(7')이 형성되어 있다. 동 삽입홈(7)의 천정부(8)의 일부, 즉 삽입구(7a)의 안내편(7b)과 근접한 부위에 결합공(8h)을 가진 탄편(8a)이 ㄷ자형의 절결홈(9)에 의하여 상하 탄동가능하게 천정부(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편(8a)의 외단에 경사부(8b)가 형성되어 안내편(7b)에서 바닛트형 암(ba)을 삽입할 때 암의 돌기(f)와 경사부(8b)의 미끄럼작동에 의해서 절결홈(9)내에서 탄편(8a)이 위로 처들리면서 용이하게 삽입홈(7)에 삽입되고 삽입후에는 암의 돌기(f)가 결합공(8h)에 결합되어 암을 체결하게 된 것이다.
또한 유착공(3)은 하부가 절결된 개방형으로 되고 핀공(4)은 개방형이 아니며 핀공(4)의 구멍안으로 상기한 체결편(6)의 탄동부(6a)가 자기 탄발력에 의해서 들어와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어뎁터(D)는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지한 와이퍼의 지지대(S)중간부에 형성된 핀(sp)에 유착공(3)의 개방부를 통하여 눌러 끼워 결합한 다음 3종류의 임의 와이퍼 암(ha)(sa)(ba)에 공통으로 장착하여 사용한다.
(훅크형 암에 장착)
제9, 11도는 본 고안의 와이퍼 어뎁터(D)를 훅크형 암(ha)에 장착하는 사용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어뎁터(D)가 결합된 와이퍼를 훅크형 암(ha)에 장착하는 경우,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의 본체(1)의 선단부를 암(ha)의 훅크(h)의 안쪽으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제1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를 그대로 암(ha)의 훅크(h)안으로 밀어 넣어 본체(1)에 형성된 결합홈(2)에 암(ha)의 훅크(h)를 삽입시킨다. 이때 결합홈에는 암의 삽입을 방해하는 어떠한 걸림턱이나 장해물이 없으므로 힘 안드리고 가볍게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되는 과정에서 훅크(h)의 단부(he)가 상기 체결편(6)의 탄동부(6a)에 형성된 걸림턱(6c)의 경사면에 접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본체(1)를 더욱 전진시키면 걸림턱(6c)의 경사면과 훅크(h)의 단부(he)와의 접동작용으로 체결편(6)의 탄동부(6)는 본체의 안쪽으로 밀리어 들어가면서 훅크의 통로가 열리어 그대로 삽입된다. 제1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가 암의 훅크에 결합 완료되면 본체(1)의 안쪽으로 밀리던 제1체결수단(L1)인, 체결편(6)의 탄동부(6a)는 외측으로 탄발력에 의하여 복귀되면서 상기 걸림턱(6c)은 암의 훅크(h)가 형성된 체결공(h')에 체결되어 암(ha)과 어뎁터의 본체(1)는 견고하게 장착유지된다.
이렇게 암의 훅크(h)가 측판(2a)내측 결합홈(2)에 전 길이 범위로 삽착되므로 결합강도가 커서, 어뎁터에 의한 와이퍼는 암(ha)에 안정상태로 장착되어 사용중 와이퍼의 자세가 변위되거나 이탈될 우려가 없다. 또 와이퍼의 교체시에는 제1체결수단(L1)인, 체결편(6)의 누름편(6b)을 본체(1)의 안쪽으로 누르면 걸림턱(6c)과 체결공(h')은 해정되므로 간단하게 암에서 어뎁터가 분리되어 와이퍼를 교체할 수 있다.
(사이드핀형 암에 장착)
제12, 15도는 본 고안의 어뎁터(D)를 사이드핀형 암(sa)에 장착하는 사용 예시도이다.
제1체결수단(L1)인, 체결편(6)의 탄동부(6a)가 핀공(4)의 안쪽에 들어가 있으나 암(sa)의 사이드 핀(p)의 두부(ph)는 구면(球面)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대로 어뎁터(D)본체(1)의 핀공(4)에 측방에서 삽입하면,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핀(p)의 두부(ph)에 의하여 체결편(6)의 탄동부(6a)는 핀공(4)의 외측으로 밀리면서 핀공(4)이 개방되어 용이하게 삽입된다. 사이드핀(p)이 본체(1)의 핀공(4)에 삽입완료되면 제13도 및 제1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핀(p)의 요입부(pg)에 탄동부(6a)의 요홈(6d)이 자기 탄발력에 의하여 압접되면서 체결된다.
이렇게 제1체결수단(L1)인, 체결편(6)의 탄동부(6a)가 사이드핀(p)의 요입부(pg)에 삽입되면, 체결편(6)을 외측으로 벌리지 않는 한, 사이드핀(p)은 탄동부(6a)에 체결유지되어 본체(1)가 핀에서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또한 핀공(4)에 삽입된 사이드핀(p)의 양단부가 본체의 측판에 형성된 핀공(4)에 지지되고 사이드핀의 중간 요입부(pg)는 탄동부(6a)의 요홈(6d)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퍼의 어뎁터가 안정된 자세로 장착유지되고 와이퍼 암이 좌우로 작동할 때 와이퍼가 흔들거리는 일이 없으며, 와이퍼의 바른 자세에 의하여 와이퍼의 고무 브레이드가 유리면에 직각으로 접촉되어 그만큼 와이퍼의 기능이 향상되고 사용중 와이퍼가 이탈되는 일이 없다.
또한 와이퍼를 교체할 경우에는 체결편(6)의 누름편(6d)을 이용하여 탄동부(6a)를 핀공(4)의 외측으로 당기어 해정하면 암(sa)의 사이드핀(p)에서 와이퍼의 어뎁터(D)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바닛트형 암에 장착)
제16, 18도는 본 고안의 와이퍼 어뎁터(D)를 바닛트형 암(ba)에 장착하는 사용 예시도이다.
제1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D)의 본체(1)에 형성된 삽입구(7a)를 바닛트형 암(ba)에 횡직선 방향으로 밀어 끼운다. 이때, 제1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암(ba)의 선단부가 삽입홈(7)의 내측 좌우의 접동홈(7')으로 안내되어 거의 다 들어 갔을때, 암(ba)에 형성된 돌기(f)가 안내편(7b)하방으로 삽입되면서 탄편(8a)의 경사부(8b)에 닿게 된다. 여기에서 본체(1)를 약간의 힘을 주어 진행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제2체결수단(L2)인, 탄편(8a)의 경사부(8b)와 돌기(f)의 캠 작용으로 탄편(8a)은 절결홈(9)사이에서 제18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로 들리면서 삽입홈(7)내부로 암(ba)과 돌기(f)가 동시에 삽입된다. 어뎁터의 본체(1)가 삽입돤료되면 암(ba)의 돌기(f)는 정확하게 탄편(8a)에 형성된 결합공(8h)에 위치되면서 탄편(8a)에 대한 압력이 소실 되므로 위로 들렸던 탄편(8a)은 자기탄발력으로 아래로 복귀되어 암(ba)의 돌기(f)는 제2체결수단(L2)인, 탄편(8a)의 결합공(8h)에 삽입되어 자동으로 체결된다.
본 고안의 어뎁터에는 암의 삽입구(7)가 본체(1)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뎁터와 암은 같은 직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 와이퍼 암과 와이퍼와도 같은 방향으로 유지됨으로 종래 경사방향으로 결합된 어뎁터에 비하여 와이퍼의 안정성이 보다 높다. 따라서 와이퍼의 암이 작동할 때 와이퍼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어 와이퍼의 고유기능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의 교체시에는, 핀이나 이쑤시개같은 간단한 기구를 삽입구(7a)에 끼우면 탄동편(8a)이 위로 들리면서 결합공(8h)에서 돌기(f)가 빠져나와 해정되므로 어뎁터를 당기면 간단하게 분리되어 와이퍼를 교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와이퍼 어뎁터는 훅크형 암과 사이드핀형 암을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과 바닛트형 암을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결합 형성하였기 때문에 각종 모델의 와이퍼 암에 와이퍼 어뎁터를 장착할 때, 암의 삽입동작에 장해되는 요소가 없어, 힘 안드리고 간편하게 와이퍼를 암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어뎁터를 암에 장착한 후에는 암의 모델별로 제1체결수단, 또는 제2체결수단에 의하여 암과 와이퍼 어뎁터가 견고하게 체결유지됨으로 와이퍼의 작동중 와이퍼가 유동되거나 자세의 변동이 없어 와이퍼의 고유기능이 보다 향상되는 동시 종래의 범용 어뎁터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와이퍼의 훅크형 암(ha)을 결합시키는 결합홈(2)과, 사이드핀형 암(sa)의 핀(ph)를 끼우는 핀공(4) 및 유착공(3)이 형성된 와이퍼 어뎁터(D)에 있어서, 본체(1)의 하부측에 절결홈(5)에 의하여 절결된 체결편(6)이 형성되고 체결편(6)에는 일단부가 자유단(6'')으로 된 탄동부(6a)가 형성되며, 동 탄동부(6a)에는 와이퍼 암(ha)의 훅크(h)에 형성된 체결공(h')에 체결되는 삼각형의 걸림턱(6c)과 요홈(6d) 및 탄동편을 조작하는 누름편(6b)이 형성되어 훅크형 암(ha) 및 사이드핀형 암(sa)을 체결하게 된 제1체결수단(L1)과, 본체(1)의 상부측 삽입홈(7)의 삽입구(7a)측 천정부(8)에 탄편(8a)이 절결홈(9)에 의하여 형성되고 탄편(8a)에는 결합공(8h)이 형성되며, 탄편(8a)의 자유단에 상기 암의 돌기를 유도하는 경사부(8b)가 안내편(7b)에 근접되게 형성되어 바닛트형 암(ba)을 체결하게 된 제2체결수단(L2)이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KR2019970021949U 1997-08-12 1997-08-12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KR200159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49U KR200159345Y1 (ko) 1997-08-12 1997-08-12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49U KR200159345Y1 (ko) 1997-08-12 1997-08-12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08U KR19990008808U (ko) 1999-03-05
KR200159345Y1 true KR200159345Y1 (ko) 1999-10-15

Family

ID=1950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949U KR200159345Y1 (ko) 1997-08-12 1997-08-12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74B1 (ko) * 2008-07-11 2009-06-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08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6953B2 (en) Wiper blade
US4989290A (en) Wiper arm equipment
US4527925A (en) Angle joint
US5039040A (en) Snap-fastener
US20070192984A1 (en) Wiper arm adaptor for car
US4980944A (en) Universal wiper blade pin connector
US7341396B2 (en) Connection device of windshield wiper of motor vehicle
JP2002541009A (ja) 自動車の板ガラス用のワイパ装置
US4948085A (en) Internal mirror for motor vehicles
KR200159345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CN219312718U (zh) 一种多功能雨刮器连接座
CN220842472U (zh) 一种分体式雨刷连接器
CN219044316U (zh) 一种雨刮器连接座
CN220929932U (zh) 一种球销组件及包括该球销组件的前下横臂总成
CN214565203U (zh) 一种新型的刮臂刮片连接结构及雨刮器
CN220465425U (zh) 保险杠结构及车辆
CN210734313U (zh) 一种汽车门槛连接结构
JP3050800B2 (ja) ワイパーの連結保持具
KR200170832Y1 (ko) 윈도우 와이퍼의 아암 체결구
KR200327354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어뎁터의 복합체결장치
JPS5831723Y2 (ja) 自動車用ワイパ−装置
CN219727767U (zh) 拖车钩盖板及车辆
CN215980278U (zh) 一种紧固防松动型卡扣
KR200327355Y1 (ko) 와이퍼 어뎁터의 체결장치
JP2003136967A (ja) 車両のボディとハードトップを解除可能に結合するための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