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61Y1 - 파이프렌치 - Google Patents

파이프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61Y1
KR200159061Y1 KR2019960021673U KR19960021673U KR200159061Y1 KR 200159061 Y1 KR200159061 Y1 KR 200159061Y1 KR 2019960021673 U KR2019960021673 U KR 2019960021673U KR 19960021673 U KR19960021673 U KR 19960021673U KR 200159061 Y1 KR200159061 Y1 KR 200159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pipe
wrench
moving ja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798U (ko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실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실조 filed Critical 박실조
Priority to KR2019960021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61Y1/ko
Publication of KR980008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25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 B25B13/504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with movable or adjustable jaws
    • B25B13/5058Linearly moving or adjustable, e.g. with an additional small tilting or rock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부에 고정조오가 형성되어 있는 렌치몸체에서 이동조오의 개폐폭이 커지도록 구성된 파이프렌치를 구성함으로서, 고정조오와 이동조오와의 개폐폭이 대폭 커져서 풀거나 조이게 되는 파이프 및 볼트, 넛트등의 대상물의 직경이 작은 것 부터 큰 것까지 용이하게 풀고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렌치는, 전방에 고정조오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렌치몸체의 전방에 이동조오가 개폐량이 조절되게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또는 조일 수 있도록 된 파이프렌치에 있어서, 상기 렌치몸체의 고정조오 후단에는 전방내벽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이 통공에는 수직부 전방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이동조오가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이 이동조오의 말단부에는 이동조오가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가 설치되어 있고, 렌치몸체의 전방상부 소정위치에는 일측단이 렌치몸체의 전방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타측자유단은 이동조오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렌치몸체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렌치몸체 하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누름손잡이가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누름손잡이 전방과 이동조오 말단부 사이에는 일측단이 누름손잡이 상단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이동조오의 수직부 후방하단부를 눌러주도록 지렛대 형태의 레버가 힌지설치되어 누름손잡이를 누름에 따라 이동조오와 고정조오 사이가 벌어져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렌치
본 고안은 파이프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부에 고정조오가 형성되어 있는 렌치몸체에서 이동조오의 개폐폭이 커질 수 있도록 파이프렌치를 구성함으로서, 고정조오와 이동조오와의 개폐폭이 대폭 커져서 풀거나 조이게 되는 파이프 및 볼트등의 대상물의 직경이 작은 것 부터 큰 것까지 용이하게 풀고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렌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이프렌치는 전방에 고정조오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된 렌치몸체의 선단부 소정위치에 이동조오가 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이프렌치의 고정조오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조오는 통상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파이프렌치로서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조일수 있는 것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동조오와 고정조오와의 벌어진 내각사이로 파이프를 삽입시키면, 이동조오는 파이프의 직경에 크기에 따라 힌지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 들면서 파이프 외주연을 클램핑하여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조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렌치는 고정조오 상측에서 이동조오가 힌지식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이동조오가 벌어지는 각도가 한정되어, 이 종래의 파이프렌치로서는 폭 넓게 다양한 크기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를 풀거나 조이기에는 그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때에 작업자가 힘을 주면서 풀거나 조일때에만 고정조오와 이동조오가 파이프를 물고있고, 반대방향으로 공회전 복귀할때는 파이프가 풀려서 헐거워진 상태이므로 파이프를 물지 말아야하는데, 스프링의 탄력이 항상 동일하여 파이프를 계속 물고있게 되어 원활하게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조오가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고정조오와 이동조오와의 간격이 멀어지고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여서, 직경이 작은파이프와 직경이 큰 파이프와의 직경크기가 폭 넓게 가변조절하면서 파이프를 풀고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때에 작업자가 힘을 주면서 풀거나 조일때에만 고정조오와 이동조오가 파이프를 물고 있고, 반대방향으로 공회전 복귀할때는 파이프의 클램핑상태가 해제 되도록 하여서, 반대방향으로 공회전 복귀시에 파이프가 회전하지않아 효과적으로 파이프를 풀고 조일 수 있는 파이프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이프렌치는, 전방에 고정조오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렌치몸체의 전방에 이동조오가 개폐량이 조절되게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또는 조일 수 있도록 된 파이프렌치에 있어서, 상기 렌치몸체(1)의 고정조오(11) 후단에는 전방내벽에 톱니 형태의 적어도 한개이상의 걸림턱(14)이 형성된 통공(13)이 관통형성되고, 이 통공(13)에는 수직부(21) 전방에 상기 걸림턱(14)에 걸리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걸림부(22)가 형성된 이동조오(2)가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이 이동조오(2)의 말단부에는 이동조오(2)가 통공(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23)가 설치되어 있고, 렌치몸체(1)의 전방상부 소정위치에는 일측단이 렌치몸체(1)의 전방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타측자유단은 이동조오(2)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3)이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렌치몸체(1)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렌치몸체(1) 하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누름손잡이(4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누름손잡이(41) 전방과 이동조오(2) 말단부 사이에는 일측단이 누름손잡이(41) 상단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이동조오(2)의 수직부 후방하단부를 눌러주도록 지렛대 형태의 레버(43)가 힌지설치되어 누름손잡이(41)를 누름에 따라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가 벌어져 파이프의 클램핑상태를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렌치의 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평면도로서, 판스프링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렌치의 제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렌치의 제 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렌치의 제 사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렌치의 주요구성요소인 판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렌치의 제 오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치몸체 11 : 고정조오
12 : 손잡이부 13 : 통공
14 : 걸림턱 15 : 나사부재
2 : 이동조오 21 : 수직부
22 : 걸림부 23 : 이탈방지구
24 : 장공 3 : 판스프링
41 : 누름손잡이 42 : 스프링
43 : 레버 44 : 가이드
10 : 파이프렌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렌치(10)는, 전방에 고정조오(1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12)를 구비한 렌치몸체(1)의 전방에 이동조오(2)가 개폐량이 조절되게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또는 조일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파이프렌치(10)에 있어서, 상기 렌치몸체(1)의 고정조오(11) 후단에는 전방내벽에 톱니 형태의 걸림턱(14)이 하향경사지게 적어도 한개이상 형성된 통공(13)이 관통형성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13)에는 수직부(21) 전방에 상기 통공(13) 내측의 걸림턱(14)에 걸리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걸림부(22)가 다수 형성된 이동조오(2)가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 된다.
또한, 상기 이동조오(2)의 말단부에는 이동조오(2)가 통공(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23)가 설치되는데, 이 이탈방지구(23)는 통공(13)보다 외경이 큰 볼트나 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렌치몸체(1)의 전방상부 소정위치에는 일측단이 렌치몸체(1)의 전방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타측자유단은 이동조오(2)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3)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판 스프링(3)은 일측단이 나사고정되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회동시킬 수 있어서 이동조오(2)를 통공(13)에 삽탈이 용이하다.
제3도에 도시된 제 이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렌치(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렌치(10)에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를 벌려서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에서 물고있던 파이프의 클래핑상태를 해제 시키는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몸체(1)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렌치몸체(1) 하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누름손잡이(41)가 스프링(42)을 개재 시킨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누름손잡이(41) 전방과 이동조오(2) 말단부 사이에는 일측단이 누름손잡이(41) 상단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이동조오(2)의 수직부(21) 후방하단부를 눌러주도록 지렛대 형태의 레버(43)가 힌지설치되어 누름손잡이(41)를 누름에 따라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가 벌어져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 삼 실시예로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파이프렌치(10)에 또다른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이 제 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은, 제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렌치(10)에서 판스프링(3)을 제거하고 길이가 대폭 길어진 판스프링(3a)을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판스프링(3a)의 절곡된 말단부를 렌치몸체(1)의 손잡이부(12)에 나사로서 고정설치하고, 타측자유단은 이동조오(2)의 상측을 누르도록 설치되어서, 손잡이부(12)와 함께 판스프링(3a)의 중앙부를 움켜잡으면 이동조오(2)를 눌러주는 탄력이 강해지고, 판스프링(3a)을 누르지 않으면 이동조오(2)를 눌러주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치몸체(1)의 선단부상측 소정위치에는 판스프링(3a)을 안내하는 가이드(44)가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44)는 일측이 개구되어 제2도에서와 같이 판스프링(3a)이 측방으로 출몰될 수 있다.
한편, 제5도에 도시된 제 사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렌치(10)는 렌치몸체(1)의 고정조오(11)에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의 전방내벽에는 적어도 한 개이상의 걸림턱(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에 삽입안착되고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조오(2)의 수직부(21)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24)을 통해 나사부재(15)를 상기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의 중앙부에 체결하여 이동조오(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 전방의 걸림턱(14)과 이동조오(2)의 걸림부(22)와의 걸림상태의 록킹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장공(24)의 내경폭이 나사부재(15)의 직경보다 커야하며, 나사부재의 머리부의 크기는 장공의 내경폭 보다는 물론 커야한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제 오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렌치몸체(1)의 선단부 상측에는 하우징(54)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54)에는 하측에 이동조오를 누르는 누름구(53)가 스프링(51)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상측에는 스프링을 눌러주어 이동조오(2)를 눌러주는 누름구(53)의 누름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52)가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조오(11)의 후방에는 전방내벽에 걸림턱(14)을 구비한 통공(13)이 관통형성되고, 이 통공(13)에는 하단수직부에 상기 걸림턱(14)에 나사식으로 걸리는 걸림나사부(22a)가 형성된 이동조오(2)가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이 이 통공(13) 하측으로 관통되어 나온 걸림나사부(22a)에는 이동조오(2)를 승하강 시키는 회전노브(55)가 체결되며, 렌치몸체(1)의 하측전방 소정위치에는 회전노브(55) 하측을 지지하여 이동조오(2)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노브지지대(56)가 설치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 일 실시예부터 제사 실시예에 의한 모든 판 스프링(3)(3a)은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을 겹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을 두 개 이상으로 겹쳐서 설치하되, 하측 스프링은 길게 설치하고, 상측 스프링을 짧게 설치하면 이동조오(2)가 벌어질때도 균일한 탄력으로 이동조오(2) 상측을 눌러줄 수 있어서, 이런 방법으로 판스프링(3)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파이프렌치(10)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때에는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사이에 파이프를 삽입시킨다. 이렇게 파이프를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로 밀어 넣으면, 이동조오(2)가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밀리면서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가 벌어져 파이프가 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조오(2)는 판스프링(3)(3a)(51)에 의해서 눌리고 있기 때문에 이동조오(2)가 뒤로 제켜지지 않고 파이프나 볼트, 넛트를 탄력적으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사이에 파이프나 볼트, 넛트가 물리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파이프나 볼트, 넛트 등을 풀거나 조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파이프렌치(10)는 통공(13) 내측의 걸림턱(14)과 이동조오(2)의 수직부(21)전방에 형성된 걸림부(22)가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파이프나 볼트등을 풀거나 조일때 이동조오(2)가 밀려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파이프렌치(10)는 이동조오(2)가 고정조오(11)의 통공(13)에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되어서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와의 개방 폭이 대폭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 이동조오(2)를 승하강이동 시킬때는 이동조오(2)의 수직부(21)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22)가 통공(13) 내측의 걸림턱(14)에서 걸림상태를 해제 시킨뒤에, 이동조오(2)를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승하강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이 이동조오(2)를 대폭 상승시킬때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스프링(3)을 옆으로 회전시킨뒤에 이동조오(2)를 끌어 올리면 용이하게 이동조오(2)를 대폭 상승 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이동조오(2)를 대폭 상승시킬 경우에는 직경이 큰 파이프나 볼트 등을 풀고 조일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렌치(10)로서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 경우에, 파이프렌치(10)를 돌리면 파이프렌치(10)를 돌린만큼 파이프를 풀거나 조이게 되는데, 계속적으로 파이프를 풀거나 조이려면 돌렸던 파이프렌치(1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야하는데, 판스프링(3)에 의해 파이프를 이동조오(2)가 계속 물고 있어서 반대방향으로 파이프렌치(10)를 돌릴 때 파이프가 따라 돌아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때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조오(2)를 벌리면 파이프가 따라 돌아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은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때는 누름손잡이(41)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 파이프렌치(10)를 돌리면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에 파이프가 빡빡하게 물리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돌릴 경우에는 누름손잡이(41)를 손잡이부(12)와 함께 움켜잡고 돌리게 되면, 누름손잡이(41)가 눌림에 따라 레버(43)의 일측단이 누름손잡이(41)와 함게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타측단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내려가면서 이동조오(2)의 수직부(21) 하단을 내려밀게 된다.
이렇게, 이동조오(2)의 수직부하단 후방을 내려밀면 이동조오(2)의 수직부(21) 전방의 걸림부(22)가 통공(13)의 전방내벽의 걸림턱(14)을 중심으로 이동조오(2)의 상측 조임부는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가 벌어져 파이프렌치(10)를 반대방향으로 돌릴때도 파이프가 따라 돌아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은, 손잡이부(12)와 함게 판스프링(3a)의 중앙부를 움켜잡으면 이동조오(2)를 눌러주는 탄력이 강해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 수 있고, 판스프링(3a)을 누르지 않으면 이동조오(2)를 눌러주는 탄력이 약해져서 파이프렌치(10)를 반대방향으로 돌릴 때 파이프가 따라 돌아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렌치는, 이동조오가 고정조오 후단의 통공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서, 이동조오와 고정조오 사이와의 개방 폭이 대폭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한 개의 파이프렌치로서 직경이 작은 파이프나 볼트, 넛트부터 직경이 대폭 큰 파이프 및 볼트, 넛트까지 파이프를 풀거나 조일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의 파이프렌치에는 파이프의 클램핑 해제수단이 설치되어서, 파이프나 볼트, 넛트 등을 풀거나 조이기 위하여 파이프렌치를 반대방향으로 돌릴경우에 파이프나 볼트, 넛트등이 함께 따라 돌아 가는 일이 없어서 효과적으로 파이프나, 볼트, 넛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방에 고정조오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렌치몸체의 전방에 이동조오가 개폐량이 조절되게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또는 조일 수 있도록 된 파이프렌치에 있어서, 상기 렌치몸체(1)의 고정조오(11) 후단에는 전방내벽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턱(14)이 형성된 통공(1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통공(13)에는 수직부(21) 전방에 상기 걸림턱(14)에 걸리는 다수의 톱니 형태의 걸림부(22)가 형성된 이동조오(2)가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렌치몸체(1)의 전방상부 소정위치에는 일측단이 렌치몸체(1)의 전방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타측자유단은 이동조오(2)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판스프링(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몸체(1)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렌치몸체(1) 하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누름손잡이(4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누름손잡이(41) 전방과 이동조오(2) 말단부 사이에는 일측단이 누름손잡이(41) 상단에 안착되고 타측단은 이동조오(2)의 수직부 후방하단부를 눌러주도록 지렛대 형태의 레버(43)가 힌지설치되어 누름손잡이(41)를 누름에 따라 이동조오(2)와 고정조오(11) 사이가 벌어져 파이프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은 말단부가 절곡되고, 이 절곡된 말단부가 렌치몸체(1)의 손잡이부(12) 후방상측에 설치되며, 선단부는 이동조오(2)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누르도록 설치되었으며, 렌치몸체(1)의 전방상측에는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44)가 판스프링(3a)을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몸체(1)의 고정조오(11)에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의 전방 내벽에는 적어도 한 개이상의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이동조오 삽입안착용 안착홈(13a)에 삽입안착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조오(2)의 수직부(21)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4)이 형성되어있고, 이 장공(24)을 통해 나사부재(15)를 상기 안착홈(13a)의 중앙부에 체결하여 이동조오(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3a)은 두 장 이상이 겹쳐지게 설치되며, 상측 판스프링은 짧고, 하측 판스프링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오(2)의 말단부에는 통공(13)의 폭보다 머리부의 직경이 큰 이탈방지구(23)가 설치되어 통공(13)에서 이동조오(2)가 이탈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7. 전방에 고정고오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렌치몸체의 전방에 이동조오가 개폐량이 조절되게 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파이프부터 직경이 큰 파이프까지 풀거나 또는 조일 수 있도록 된 파이프렌치에 있어서, 렌치몸체(1)의 선단부 상측에는 하우징(54)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54)에는 하측에 이동조오를 누르는 누름구(53)가 스프링(51)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상측에는 스프링을 눌러주어 이동조오(2)를 눌러주는 누름구(53)의 누름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52)가 설치되었으며, 그리고, 고정조오(11)의 후방에는 전방내벽에 걸림턱(14)을 구비한 통공(13)이 관통형성되고, 이 통공(13)에는 하단수직부에 상기 걸림턱(14)에 나사식으로 걸리는 걸림나사부(22a)가 형성된 이동조오(2)가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이 통공(13) 하측으로 관통되어 나온 걸림나사부(22a)에는 이동조오(2)를 승하강 시키는 회전노브(55)가 체결되고, 렌치몸체(1)의 하측전방 소정위치에는 회전노브(55) 하측을 지지하여 이동조오(2)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노브지지대(5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렌치.
KR2019960021673U 1996-07-18 1996-07-18 파이프렌치 KR200159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673U KR200159061Y1 (ko) 1996-07-18 1996-07-18 파이프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673U KR200159061Y1 (ko) 1996-07-18 1996-07-18 파이프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98U KR980008798U (ko) 1998-04-30
KR200159061Y1 true KR200159061Y1 (ko) 1999-10-15

Family

ID=1946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673U KR200159061Y1 (ko) 1996-07-18 1996-07-18 파이프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73A1 (ko) * 2016-03-25 2017-09-28 김태구 만능 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73A1 (ko) * 2016-03-25 2017-09-28 김태구 만능 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98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1853A (en) Device for holding a screw or the like
US4384389A (en) Rope-chaining device
US4762030A (en) Fastener collar removal tool
US4307635A (en) Locking plier and adapter
CA2268947A1 (en) Screw for fastening metal or plastic sections or plates onto a base
US3026368A (en) Conductor clamp assembly for use on pole top insulators
US6471457B2 (en) Screw retention device having a hook
US5016503A (en) Adjustable open end wrench
KR200159061Y1 (ko) 파이프렌치
MXPA04008952A (es) Prisionero con punta giratoria.
US20020157507A1 (en) Automatic and variable grip locking pliers
US4913011A (en) Self-adjustable ratchet wrench
JPH10264056A (ja) 間接活線用把持具
US5040439A (en) Adjustable wrench
US2793550A (en) Strap wrench
KR102038018B1 (ko) 다기능 체결 공구
US4095765A (en) Adjustable cable clamp
US3924507A (en) Fastener apparatus
EP0704368B1 (en) Operation lever turn-stop and unlocking mechanisms in lever device
US778048A (en) Rope or cable clamp.
EP0130012B1 (en) Clamp
US7210379B1 (en) Rigging tool
US4594922A (en) Closed end jaw wrench
US4005623A (en) Fastener apparatus
AU689760B2 (en) An adjustable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