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330Y1 - 철도차량용 완충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330Y1
KR200158330Y1 KR2019970026406U KR19970026406U KR200158330Y1 KR 200158330 Y1 KR200158330 Y1 KR 200158330Y1 KR 2019970026406 U KR2019970026406 U KR 2019970026406U KR 19970026406 U KR19970026406 U KR 19970026406U KR 200158330 Y1 KR200158330 Y1 KR 20015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plate
sided
pa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963U (ko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박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철 filed Critical 박동철
Priority to KR2019970026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330Y1/ko
Publication of KR970061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4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 B61G9/06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with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protection in case of crash, collision, impac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08Buffers with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20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1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inserts or auxiliary extension or exterior elements, e.g. for rig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완충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완충기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완충기는,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차단판(5)의 양면에 고무판(4)을 부착시킨 5개의 양면패드(6)를 밀착 적층시켜서 양면패드결합체(6a)를 구성한뒤에 이 양면패드결합체(6a)의 양측면에 차단판(5)의 일측면에만 고무판(4)을 부착시킨 단면패드(7)를 밀착시킨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를 마련하고,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의 사이에는 중앙플레이트(10)를 개재시키며,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의 각각의 외측에는 측면플레이트(11)를 각각 밀착 접촉시킨 뒤에 4개의 볼트(12)를 상기 일측 측면플레이트(11)와 중앙플레이트(10)와 그리고, 타측 측면플레이트(11)의 각각의 볼트관통공(9)으로 관통시켜서 넛트로서 체결하여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구성하여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중량을 경량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완충기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이하 완충기라 칭함)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생산현장에서 완충기의 생산시 완충기의 무게가 가벼워져 완충기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완충기를 철도차량에 설치할 경우에는 완충기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는, 여러대의 객차가 연결된 철도차량이 발차할 때와 제동시 또는 갑작스런 속도변화시에 발생되는 앞 뒤 객차간의 속도 차이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앞 뒤 객차간의 연결부에서 충돌이 일어나면서 그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커다란 충격을 상기 완충기로서 흡수시켜서 철도차량의 차체 및 주행부 그리고 의장, 전장시스템 등의 주요기능부를 상기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충격력이 3ton 정도로 매우 커다랗게 작용하므로 상기 큰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완충기도 상기 커다란 충격력을 충분히 완충시킬수 있어야 하고, 상기 충격력을 견디어 낼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므로 충격에 강한 금속재로된 구조물과 충격력을 흡수하는 고무판들로 완충기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완충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종래의 완충기는 주물로 주조된 함체형태의 하우징(21)과, 상기 함체형태의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사각쿳션패드(22)와, 후방플랜지부(23)가 하우징(21)의 전방측 내면에 삽입되면서 선단돌출부(24)는 하우징(21)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충격력이 제일 먼저 작용하는 플로워(25)와, 상기 하우징(21)의 후방에 설치되는 네모서리가 모따기 된 다수개의 다이야몬드형 쿳션패드(26)와, 상기 다수개의 다이야몬드형 쿳션패드(26)를 볼트(27)로서 하우징(21)의 후방에 고정설치하는 리어플로워(28)로 이루어 진다.
상기 사각쿳션패드(22)와 다이야몬드형 쿳션패드(26)는 소정두께의 금속판으로된 플레이트(29)의 양측면에 충격흡수용 고무판(30)이 부착된 양면패드와, 플레이트(29)의 일측면에만 고무판(30)이 부착된 단면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쿳션패드(22)와 다이야몬드형 쿳션패드(26)는 모두 5개의 양면패드가 밀착 접촉되면서, 이렇게 5개의 양면패드가 밀착 접촉된 양면패드의 양측면에 한 개씩의 단면패드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완충기는 충격이 일차적으로 작용하는 플로워(4)와 다수개의 사각쿳션패드(22)가 삽입설치되는 하우징(21)이 무거운 주물품으로 제작되어서 완충기의 무게가 무려 180kg이나 나가는 매우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있으며, 완충용량은 3400kgf/m 정도이다.
상기 종래 완충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완충기의 무게가 무려 180kg이나 나가는 매우 무거운 무게를 가지고 있으므로, 생산현장에서 완충기를 제작할 때 주물품으로 제작되어 무게가 무거운 된 하우징(21)을 조립하거나 또는 이동, 적재등과 같이 하우징(21)을 취급하는 작업부터 어려움이 있어 생상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상기 무거운 하우징(21)을 취급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많았다.
상기 종래의 완충기가 무거우므로 생산현장에서 완충기를 제작할 때에 어려움이 있는 것과 마찮가지로 제작완료된 완충기를 철도차량에 설치하거나 보수점검 작업시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상기 사각쿳션패드(22)가 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므로 사각쿳션패드(22)의 크기가 하우징(21)의 두께 만큼 축소되기 때문에 사각쿳션패드(22)의 크기가 축소된 만큼 완충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커다란 주물품으로 제작되는 하우징(21)이 소요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완충기에 있어서 무게도 많이 나가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하우징을 채용하지 않고 쿳션패드와 플레이트만으로 완충기를 구성함으로서, 완충기의 무게를 가볍게하여 완충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완충기의 완충용량은 향상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는,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차단판의 양면에 고무판을 부착시킨 5개의 양면패드를 밀착 적층시켜서 양면패드결합체를 구성한뒤에 이 양면패드결합체의 양측면에 차단판의 일측면에만 고무판을 부착시킨 단면패드를 밀착시킨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를 마련하고,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의 사이에는 중앙플레이트를 개재시키고,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의 각각의 외측에는 측면플레이트를 각각 밀착 접촉시킨 뒤에 4개의 볼트를 상기 일측 측면플레이트와 중앙플레이트와 그리고, 타측 측면플레이트의 각각의 볼트관통공으로 관통시켜서 넛트로서 체결하여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구성하여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중량을 경량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평면도.
도 6은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주요 구성요소인 양면패드와 단면패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융기부 2 : 돌기부 3 : 삽입홈부
4 : 고무판 5 : 차단판 6 : 양면패드
6a : 양면패드결합체 7 : 단면패드 8 : 패드결합체
9 : 볼트관통공 10 : 중앙플레이트 11 : 측면플레이트
100 : 완충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사시도와 정면도 그리고 평면도이며, 도 6은 철도차량용 완충기의 주요 구성요소인 양면패드와 단면패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이다.
즉, 본 고안의 의한 철도차량용 완충기는 외측면에 파형으로 융기부(1)가 형성되고 상하측 융기부(1)에 돌기부(2)와 삽입홈부(3)를 각각 구비한 고무판(4)을 네모서리부가 모따기된 차단판(5)의 양면에 부착시킨 양면패드(6)와 차단판(5)의 일측면에만 고무판(4)을 부착시킨 단면패드(7)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5개의 양면쿳션패드(6)를 돌기부(2)와 삽입홈부(3)에 의해 밀착 적층시켜서 양면패드결합체(6a)를 구성한 뒤에 이 양면패드결합체(6a)의 양측면에 상기 단면패드(7)를 각각 밀착시킨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를 마련한다.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의 사이에는 네모서리에 볼트관통공(9)을 형성한 중앙플레이트(10)를 개재시키고,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의 각각의 외측에는 네모서리에 볼트관통공(9)을 형성한 측면플레이트(11)를 각각 밀착 접촉시킨 뒤에 4개의 볼트(12)를 상기 일측 측면플레이트(11)와 중앙플레이트(10)와 그리고, 타측 측면플레이트(11)의 각각의 볼트관통공(9)으로 관통시켜서 넛트로서 체결하여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완충기(100)를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는 요크(13)에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철도차량에 진동이 발생하여 연결부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일 외측에 설치된 측면플레이트(11)에 충격이 전달되게 되고, 이렇게 제일 외측의 측면플레이트(11)에 충격이 전달된 충격력이 패드결합체(8)의 제일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면패드(7)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제일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단면패드(7)에 전달된 충격은 단면패드(7)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판(4)에서 충격의 일부가 흡수되면서 뒤이어 상기 단면패드(7)의 고무판(4)과 밀착접촉된 양면패드(6)의 고무판(4)으로 잔여 충격력이 전달되면서 흡수되며, 이렇게 일부의 충격력이 흡수된 상태의 충격력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차단판(5)에서 일부가 차단되면서 그 뒷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판(4)에서 또 충격력이 흡수되면서 완화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단면패드(7)와 5개의 양면패드(6)를 거치면서 많은 충격력이 점차적으로 완화되고, 이렇게 많은 충격력이 흡수된 뒤에도 충격력은 남아 있는데, 이렇게 남은 충격력이 다시 중앙플레이트(10)에서 차단되면서 중앙플레이트(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패드결합체(8)에서 점차적으로 충격이 흡수하게 되어 철도차량의 차체 및 주행부 그리고 의장, 전장시스템 등의 주요기능부를 상기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완충기는 초기에 커다란 충격이 완충기에 작용시 완충기의 전체가 압축력을 받아 소정의 폭만큼 수축되게 되는데, 볼트(12)가 관통되는 각각의 볼트관통공(9)이 볼트(12)의 외경 보다 다소 커서 완충기의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완충기는, 종래의 완충기와 비교할 때 종래의 하우징이 없이 동일한 크기의 단면패드 및 양면패드가 밀착되게 적층된 상태이어서 하우징이 제거된 만큼 완충기의 무게가 가벼워져서 완충기를 생산시 완충기의 무거운 부품이 없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 그리고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완충기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그 작업이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단면패드와 양면패드의 크기가 동일하여 완충용량이 향상되는 장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종래의 완충기는 무게가 180kg 이면서 완충용량은 3400kgf/m 인데 비하여, 본 고안의 완충기는 무게가 160kg 이면서 완충용량은 3800kgf/m 로 무게는 가벼워지고 완충용량은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게는 가벼워지고 완충용량은 향상됨에 따라 완충기의 생산원가가 절감되어 타사 제품과의 제품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외측면에 파형으로 융기부(1)가 형성되고 상하측 융기부(1)에 돌기부(2)와 삽입홈부(3)를 각각 구비한 고무판(4)을 네모서리부가 모따기된 차단판(5)의 양면에 부착시킨 양면패드(6)와 차단판(5)의 일측면에만 고무판(4)을 부착시킨 단면패드(7)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5개의 양면쿳션패드(6)를 돌기부(2)와 삽입홈부(3)에 의해 밀착 적층시켜서 양면패드결합체(6a)를 구성한 뒤에 이 양면패드결합체(6a)의 양측면에 상기 단면패드(7)를 각각 밀착시킨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를 마련하고,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의 사이에는 네모서리에 볼트관통공(9)을 형성한 중앙플레이트(10)를 개재시키고, 상기 두무더기의 패드결합체(8)의 각각의 외측에는 네모서리에 볼트관통공(9)을 형성한 측면플레이트(11)를 각각 밀착 접촉시킨 뒤에 4개의 볼트(12)를 상기 일측 측면플레이트(11)와 중앙플레이트(10)와 그리고, 타측 측면플레이트(11)의 각각의 볼트관통공(9)으로 관통시켜서 넛트로서 체결하여 철도차량용 완충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완충기.
KR2019970026406U 1997-09-11 1997-09-11 철도차량용 완충기 KR20015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406U KR200158330Y1 (ko) 1997-09-11 1997-09-11 철도차량용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406U KR200158330Y1 (ko) 1997-09-11 1997-09-11 철도차량용 완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63U KR970061963U (ko) 1997-12-10
KR200158330Y1 true KR200158330Y1 (ko) 1999-10-15

Family

ID=1951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406U KR200158330Y1 (ko) 1997-09-11 1997-09-11 철도차량용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3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28A (ko) * 2001-10-27 2002-01-17 동 철 박 화차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63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2482A (en) End underframe for a railway car
US5850795A (en) Rail car truck damping system
CA2784234C (en) Friction/elastomeric draft gear
WO2006026281A1 (en) Draft gear with arrangement for preventing energy absorbing material degradation
EP2428423B1 (en) Vehicle equipment protection structure for railroad vehicle
CN110733523B (zh) 一种低地板有轨电车浮车端梁及下部铰接安装座结构
CN112977524B (zh) 一种轨道车辆及其车端吸能结构
KR200158330Y1 (ko) 철도차량용 완충기
JP2000006806A (ja) 鉄道車両用排障装置
Oyan Dynamic simulation of Taipei EMU train
US3622015A (en) Railway car cushioning mechanism
WO2021114346A1 (zh) 一种轨道车辆及其车体和端底架
CN105000029A (zh) 一种蜂窝芯内置的金属管-蜂窝芯复合式防爬器
EP2832621B1 (en) Railway vehicle bogie
CN112298257A (zh) 头车前端碰撞吸能结构及轨道车辆
CN107176180B (zh) 一种防偏吸能锁紧装置
US3677198A (en) Draft sill arrangement for high capacity car
US3223051A (en) Cushioned sliding center sill construction
GB2505587A (en) Railroad vehicle with collision energy absorption structure
KR101836519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US3295465A (en) Railway vehicle underframe construction
CN214984808U (zh) 一种拆卸方便的汽车油箱减震垫
CN111361597B (zh) 一种牵引梁及轨道车辆
CA3069725A1 (en) Railroad car coupling system
KR100357376B1 (ko) 철도차량용 드래프트기어의 쿠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28

Effective date: 2009022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