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456Y1 - 이음관 - Google Patents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456Y1
KR200157456Y1 KR2019960011338U KR19960011338U KR200157456Y1 KR 200157456 Y1 KR200157456 Y1 KR 200157456Y1 KR 2019960011338 U KR2019960011338 U KR 2019960011338U KR 19960011338 U KR19960011338 U KR 19960011338U KR 200157456 Y1 KR200157456 Y1 KR 200157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joint pipe
cut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151U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2019960011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456Y1/ko
Publication of KR970063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이음관의 접속부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따라서 시공작업공수가 절감될 수 있고,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된 이음관에 관한 것인바,
삽입되는 관을 협지 할 수 있도록 관 삽입구를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제공하고,
단순 나사 결합에 의한 가압접속구조에 의거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음관을 제공하고자,
관체를 내삽입 할 수 있도록 적의의 직경을 갖으며 기밀 유지용 패킹을 갖는 이음관의 단부에 절개단부를 형성하여 이 절개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관을 분기하거나 이을 수 있도록된 이음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음관
제1도는 본 고안을 도시한 일실시예로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도시한 다른실시예로써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발췌 결합상태 평면도,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부 11 : 돌조
12 : 절개단부 13 : 돌턱
14 : 밴드
본 고안은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이음관의 접속부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따라서 시공작업공수가 절감될 수 있고,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된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관은 직선 또는 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사출성형된 적의의 관체로 형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음관은 제5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에 관을 삽입하고 이 삽입된 관과 이음관의 결합부위(×)를 상호 열융착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관의 이음작업이 매우 어렵고 그 작업공수가 많으며 일단 결합시킨 관은 그 보수 및 교체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이음관과 관 사이에 패킹의 탄성력에 의하여 단순삽입결합 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패킹의 탄성력에만 의존하는 구조이어서 약간의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거나 적은 내압을 걸릴 때 쉽게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삽입되는 관을 협지 할 수 있도록 관 삽입구를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가압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단순 나사 결합에 의한 가압접속구조에 의거 조립 시공이 용이하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음관을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관체를 내삽입할 수 있도록 적의의 직경을 갖으며 기밀 유지용 패킹을 갖는 이음관의 단부에 절개단부를 형성하여 이 절개단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관을 분기하거나 이을 수 있도록 된 이음관을 이루는 것에 의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은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직선 또는 분기구조를 갖으며 적의의 직경을 갖는 관체로써 사출성형되고 그 내경 일단에 기밀 유지용 패킹이 형성된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단부(10)내주연으로 다수의 돌조(11)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로는 돌턱(13)을 돌설하며 절개단부(12)를 대향시켜 절개형성하여 상기 단부(10)의 외주연을 감싸는 가압체결용 밴드(14)를 감아붙여 이루는 것이다.
미설명된 부호로써 16은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효과를 이하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관을 접속하거나 또는 분기 접속함에 있어서 접속되는 관은 이음관의 내경으로 삽입된다.
이때 접속되는 관은 이음관 내의 패킹(16)에 압입되면서 이음관과 관 사이의 기밀유지는 달성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이음관단부(10)에 형성한 밴드(14)로써 가압하게 되면 절개단부(12)가 협착되면서 실질적으로 단부(10)의 내경이 줄어들게 되고 삽입된 관을 협지하는 가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동시에 단부(10) 외주에 형성한 돌턱은 밴드(14)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단부(10)내경에 형성된 다수의 돌조(11)에 의하여 삽입된 관의 외경과 긴밀한 결합압력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음관과 관은 패킹(16)에 의한 기밀유지와 절개단부(12)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호 기밀성 및 결합력이 부여됨으로써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단부(12)는 대향 형성함을 기본으로 설명하였으나 체결 직업성과 결합력을 보완하는 범주 내에서 3개소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이음관과 삽입되는 관의 결합단부를 융착시키지 아니하고 단순히 나사 결합력에 의거 단부가 오므라들면서 관의 외경을 가압협지하도록 이룸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부수적인 도구를 배제시키면서도 작업후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등의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직선 또는 분기구조를 갖으며 적의의 직경을 갖는 관체로써 사출성형되고 그 내경 일단에 기밀 유지용 패킹이 형성된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단부(10)내주연으로 다수의 돌조(11)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로는 돌턱(13)을 돌설하며 절개단부(12)를 대향시켜 절개형성하여 상기 단부(10)의 외주연을 감싸는 가압체결용 밴드(14)를 감아붙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KR2019960011338U 1996-05-10 1996-05-10 이음관 KR200157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338U KR200157456Y1 (ko) 1996-05-10 1996-05-10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338U KR200157456Y1 (ko) 1996-05-10 1996-05-10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151U KR970063151U (ko) 1997-12-11
KR200157456Y1 true KR200157456Y1 (ko) 1999-09-15

Family

ID=1945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338U KR200157456Y1 (ko) 1996-05-10 1996-05-10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4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006A (ko) 2018-12-26 2020-07-06 (주)와이디아이 편수관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28B1 (ko) * 2018-04-26 2020-10-08 양성훈 수직배관 내부의 동파방지용 열선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006A (ko) 2018-12-26 2020-07-06 (주)와이디아이 편수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151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32810Y2 (ko)
US5149108A (en) Multi-piece gasket joint
CA2277455A1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grip ring to be used in such a coupling device
KR200157456Y1 (ko) 이음관
CN100436918C (zh) 液压接头、制造该接头的方法及液压互联件和软管的组件
KR200157457Y1 (ko) 이음관
PT1413400E (pt) Ferramenta para aperto ou desaperto de conectores de cabos
EP0716260A3 (ko)
FR2672373A1 (fr) Perfectionnements dans la realisation des elements de raccordement utilises dans les installations a faire le vide.
JPH0650481A (ja) 真空配管継手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0321511Y1 (ko) 원 터치 배관 연결구
KR200201532Y1 (ko) 스테인레스 블라인드 리벳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220053Y1 (ko) 관 연결구
KR200409133Y1 (ko) 이음관
KR930004987Y1 (ko) 관 이음구
KR200179521Y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KR200260584Y1 (ko) 농약분무용 호스 조인트
KR910004767Y1 (ko) 관 연결구
KR970009015B1 (ko) 배관용 이음쇠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KR100318009B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KR200378300Y1 (ko) 금속제 배관 보수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