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392Y1 -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 Google Patents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392Y1
KR200157392Y1 KR2019970019108U KR19970019108U KR200157392Y1 KR 200157392 Y1 KR200157392 Y1 KR 200157392Y1 KR 2019970019108 U KR2019970019108 U KR 2019970019108U KR 19970019108 U KR19970019108 U KR 19970019108U KR 200157392 Y1 KR200157392 Y1 KR 200157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inding
support
cargo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739U (ko
Inventor
정보문
Original Assignee
정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문 filed Critical 정보문
Priority to KR2019970019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39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Tensioning by repetetiv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56Winding of hanks or skeins
    • B65H54/58Swifts or reels adapted solely for the formation of hanks or skeins
    • B65H54/585Reels for rolling tape-like material, e.g. flat hose or strap, into flat spiral form; Means for retaining the roll after removal of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결속용 밸트권취기에 관한 것이며 화물차량에서 화물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밸트를 사용과 보관을 간편하게 권취할 수 있는 밸트권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물차량에 사용하는 밸트를 트럭이 적재함의 저부 또는 상부에 구성한 지지대에 감아서 보관하고 풀어서 사용하게 되므로 이는 밸트를 감고 푸는 작업이 불편하여 적재함에 실은 상태로 방치하게 되므로 밸트간에 엉키게 되는 결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밸트권취기 본체에 핸들을 구비한 밸트권취로울러를 착탈 할 수 있게 하며 밸트를 간편하게 권취하고 보관과 사용을 편리하게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권취로울러를 발췌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도의 A-A선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본체에 권취로울러 결합부를 발췌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본체 1a : 취부대
1b, 1b': 지지대 2, 2a : 가이드로울러
2c : 축봉 3 : 지지관
3a, 4a : 나선 4 : 체결관
4b, 5a : 단턱 5 : 지지관
6 : 스프링 6a : 원판캡
7 : 핀 8 : 권취로울러
8a : 장홈 8b : 통공
9 : 지지대 9a: 핸들
본 고안은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에 관한 것이며, 각종의 화물을 트럭에 실어서 옮길때에 화물이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묶어주는 밸트를 사용하기 간편하게 권취하여 주는 밸트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트럭에 각종의 화물을 실어서 이를 묶을때 사용하는 밸트는 트럭의 적재물 저부에 밸트를 감을 수 있는 지지대를 구성하여 밸트를 풀고 감거나 또는 차량의 적재물 상부에 밸트 지지대를 구성하여 밸트를 풀어 사용하고, 사용후 감아 보관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할때마다 풀어내어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밸트를 되감아야 하는 불편이 있어 적재함위에 방치하게 되므로 밸트간에 엉키는 등의 불편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위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밸트권취기 본체의 권취로울러에 밸트일연을 끼워 권취하므로서 밸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이 편리한 상태로 감을 수 있도록 한 밸트권취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는 취부대(1a)가 구비되고 좌우 대칭되는 지지대(1b)(1b')가 구비되는 본체(1)의 지지대(1b)(1b')상하에는 가이드로울러(2)(2a)를 축봉(2c)으로 결합하고 중앙의 일방지지대(1b)에 나선(3a)를 갖는 지지관(3)을 구성하여 내면에 나선(4a)을 갖는 체결관(4)으로 결합하고 체결관(4) 외측의 단턱(4b)에 지지관(5)의 단턱(5a)으로 지지시키고 스프링(6)상하에 원판캡(6a)으로 지지시켜 지지관(5)내에 핀(7)으로 결합하고, 이에 권취로울러(8)에는 장홈(8a)과 일단에는 통공(8b)을 구비하고 타단의 지지대(9)에는 핸들(9a)을 구비하여 본체(1)의 지지관(5)의 원판캡(6a)외측에 권취로울러(8)의 통공(8b)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밸트를, 11은 취부공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화물차량의 적재함 일단에 본고안 밸트 권취기를 구성하는 본체(1) 상부의 취부대(1a)를 위치시켜 취부공(11)을 통하여 나사등으로 취부시키고,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고정에 사용되는 밸트(10)의 일연을 권취로울러(8)의 장홈(8a)에 끼워 핸들(9a)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밸트(10)는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로울러(2)(2a)에 가이드 되면서 권취로울러(8)에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밸트(10)가 밸트권취기에서 권취가 완료되어 권취로울러(8)의 지지대(9)를 당기면 권취로울러(8)의 선단은 본체(1)에 지지되어져 있던 원판캡(6a)에서 권취로울러(8)의 통공(6a)이 빠지면서 분리되고, 권취로울러(8)의 장홈(8a)에 끼워지고 권취된 밸트(11)는 장홈(8a)을 따라 선단으로 이동시키면 밸트(10)는 권취된 상태로 본체(1)와 권취로울러(8)가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분리되어 권취된 밸트(10)는 감겨져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가 되고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또, 본체(1)에서 분리되어진 권취로울러(8)는 본체(1)에 다시 끼우면서 선단을 지지관(5)의 스프링(6)상하에 위치하는 원판캡(6a)외측으로 끼우면 원판캡(6a)이 권취로울러(8)의 통공(8b)지점에서 스프링(6)의 탄력으로 인한 탄발로 고정이 되면서 핸들(9a)의 회전시 지지관(5)과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다른 밸트(10)의 선단을 권취로울러(8)의 장홈(8a)에 끼워 앞에서와 같이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하는 화물을 고정시키는 밸트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어 밸트의 엉킴을 해소할 수 있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에는 취부대(1a)를, 좌우에는 대칭되는 지지대(1b)(1b')를 구비한 본체(1)의 지지대(1b)(1b') 상하에는 가이드로울러(2)(2a)를 축봉(2c)으로 결합하고, 중앙지점에는 나선(3a)을 갖는 지지관(30)을 구성하여 내면에 나선(4a)을 갖는 체결관(4)으로 결합하고, 체결관(4)의 외측의 단턱(4b)에 지지관(5)의 단턱(5a)으로 지지시키고 스프링(6) 상하에 원판캡(6a)으로 지지시켜 지지관(5)에 핀(7)으로 결합하고, 이에 권취로울러(8)에는 장홈(8a)과 일단에는 통공(8b)을 구비하고, 타단의 지지대(9)에는 핸들(9a)을 구비하여 본체(1)의 지지관(5)의 원판캡(6a)외측으로 권취로울러(8)의 통공(8b)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고, 본체(1)에서 권취로울러(8)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한 화물결속용 밸트권취기.
KR2019970019108U 1997-07-14 1997-07-14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KR200157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108U KR200157392Y1 (ko) 1997-07-14 1997-07-14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108U KR200157392Y1 (ko) 1997-07-14 1997-07-14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39U KR19990005739U (ko) 1999-02-18
KR200157392Y1 true KR200157392Y1 (ko) 1999-09-15

Family

ID=1950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108U KR200157392Y1 (ko) 1997-07-14 1997-07-14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3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071B1 (ko) * 2018-04-26 2020-02-11 손철수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39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0769A (en) Wire packaging and handling device
EP1024720B1 (en) Retraction reel for keys and the like
US5179991A (en) Receptacle cover
US5322234A (en) Telescoping core plug and support therefor
US20030141399A1 (en) Tape locking device for tape measure
CA2228713A1 (en) Cord reel and storage device
US4007887A (en) Strap rolling device
US201302068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up and storing a belt-like object, in particular a tightening strap
US200300591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coilable elongated product
US5887840A (en) Pick-up truck tie down anchor
KR200157392Y1 (ko) 화물결속용 밸트 권취기
US5076510A (en) Automatically retractable thread bobbin
US2987267A (en) Transfer tail anchoring device
US20020030133A1 (en) Container for tie down strap
US3502281A (en) Thread canister
US5722613A (en) Easy reel device
CA2538893A1 (en) Cord holder apparatus
US5855085A (en) Fishing line spool holder
FI76030B (fi) Bandmagasin med ankarband.
KR100205182B1 (ko) 화물자동차의 화물 고정벨트
KR960031047A (ko) 와이어권체 및 그 용기
JP2002171888A (ja) ロッドケース
JP3128681U (ja) 新聞配達用の雨避けカバー装置
KR200410225Y1 (ko) 트럭용 짐칸 고정장치
JPS63165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