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050Y1 -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050Y1
KR200157050Y1 KR2019960043346U KR19960043346U KR200157050Y1 KR 200157050 Y1 KR200157050 Y1 KR 200157050Y1 KR 2019960043346 U KR2019960043346 U KR 2019960043346U KR 19960043346 U KR19960043346 U KR 19960043346U KR 200157050 Y1 KR200157050 Y1 KR 200157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dot matrix
terminal pins
module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250U (ko
Inventor
이택열
Original Assignee
이택렬
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렬, 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택렬
Priority to KR2019960043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05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의 입, 출력측기 암수 한쌍의 커넥터와 이 암커넥터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접속하도록 하므로서 제조의 어려움 및 접속불량,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이에 따른 본고안은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모듈 상호간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LED모듈의 입, 출력 위치마다 다수의 단자핀이 입설된 플러그 소켓을 설치하되, 이 플러그 소켓의 상호간에 각기 입설되어 있는 단자핀이 판상체로 형성된 케이블 도체편을 협지 하도록 구성하므로서, LED 모듈의 조립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의 협지에 의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져 접속불량을 없앨수 있고, 아울러 그에 따른 제조 단가 또한 현저히 낮아 졌기에 그만큼 유리하여졌다 할 것이며 그 구조가 조립되거나, 접속됨이 없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기에 고장율 또한 극히 저감 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본 고안은 표시장치 및 전광판에 있어서 문자나 그림이 그려지는 도트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 및 이에 관련된 소자 및 부품이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이하LED 모듈이라 약칭함)에 관한 것인데, 특히 LED모듈과 LED모듈간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기위한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 및 전광판을 구성하는 도트 매트릭스 형으로 조립된 발광다이오드 및 이에 관련된 소자와 부품이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LED모듈은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LED모듈은 다수개로 밀집되도록 배열 조판하여 전광판 또는 표시장치를 구현하게 되는데, 이때 표시되는 문자가 고정적이 아닌 이동식으로 표현될 경우 또는 표시문자가 고정식으로 표현되더라도 모듈간과 모듈간에는 전기적인 신호가 직렬 형태로서 전송되도록 하는 접속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즉 표시문자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도록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될 경우 처음 LED모듈의 신호를 다음에 위치하는 LED모듈 측으로 전송하는 접속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관한 종래의 접속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LED모듈(2),(2')의 입, 출력 위치마다 다수 핀이 입설된 수커넥터(15),(15')를 각각 설치하고, LED모듈(2)과 LED모듈(2')간에는 상기 수커넥터(15),(15')의 핀수와 대응하는 수의 와이어(1) 양측으로 상기 수커넥터(15),(15')와 일치하는 암커넥터(11),(11')를 두어 암, 수커넥터(11,11'),(15,15') 상호간에 결합 하도록 하여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접속 장치는 암, 수 한쌍의 커넥터와, 이 암커넥터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접속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어서 전체적인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 방식의 접속장치는 와이어를 암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나, 그 접속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등 작업이 까다롭고,
설령, 까다로운 접속공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하더라도 커넥터를 끼우고 빼는 과정상에는 접속부분이 쉽게 이완(단선)되는 등 접속 신뢰도가 매우 저조하는 한편 그에 따른 LED모듈에도 많은 고장을 유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접속장치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를 커넥터에 접속할 때 와이어의 길이를 어느 정도 길게 하여야 하는 관계로 와이어가 낭비되는 한편, LED모듈 상호간의 수커넥터에 암커넥터를 접속한 상태에서는 와이어의 자체 장력(탄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접속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LED모듈과 LED모듈사이를 접속하는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는데,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에서 협지하는 다수의 단자핀이 탄성적으로 협지하도록 하는 플러그에 탄상체의 케이블을 끼우고 빼도록 한 LED모듈 접속장치를 제공하여 접속불량 내지는 접속 고정율을 없애고, 아울러 제조 단가를 대폭 줄일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모듈 상호간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LED모듈의 입, 출력 위치마다 다수의 단자핀이 입설된 플러그 소켓을 설치하되, 이 플러그 소켓의 상호간에 각기 입설되어 있는 단자핀이 판상체로 형성된 케이블의 도체편을 협지 하도록 구성하여서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의 일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의 실시예도.
제3도는 본 고안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에 적용되는 다중 판상체 케이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판상다중 케이블 31, 31' : 도체편
32, 32' : 절연부 33, 33' : 절연지
34 : 후판지 50, 50' : 플러그 소켓
51 : 핀 케이스 52, 52' : 단자핀
53 : 접속단자 55 : 납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고안 LED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의 실시예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LED모듈(2),(2')의 입력측과 출력측에는 플러그 소켓(50),(50')이 설치된다.
상기한 플러그 소켓(50),(50')은 제2도의 'B' 부분 확대 단면도에 잘 나타나고 있듯이 핀 케이스(51)의 내측에 다수의 단자핀(52)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하되, 각 단자핀(52)의 공통적으로 리이드 단자(53)를 두어 LED모듈 (2),(2')의 인쇄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단자핀(52)은 공통적으로 핀 케이스(51)의 내부에서 두 갈레로 간격을 유지한채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리이드 단자(53)의 타단의 종단이 이후에 설명되는 탄상체의 케이블(30)을 삽입할때 용이하게 끼움되도록 양측으로 벌어져 있으며, 이것의 벌림 작용에 의해 단자핀(52) 전체가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3도는 LED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 장치에 적용되는 다중 판상체 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중 판상체 케이블(30)은 페이퍼(Paper)형 또는 얇은 판상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일정 간격으로 도체편(31)과, 절연부(32)가 교대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도체편(31)과 절연부(32)의 상하면에 외부와 절연, 차폐시키는 절연지(Insulating Paper, 33, 33')로 감착 구성된다.
상기 도체편(31)은 전도성 금속재로 좁고 긴 판상을 하고 있는데, 각각의 도체편(31)은 하나의 신호전송을 행하도록 형성하되, 이것을 플러그 소켓(50)에 삽입할 경우 소켓(50) 내부의 단자핀(52, 52')에 협지 접면되어 상호 통전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연부(32, 32')는 상기 한 바처럼 박막 도체편(31)의 상호 통전을 절연하는 것으로, 도체편(31)의 양 끝단부측 저면에 판상의 절연성 재질로 되고 상당한 탄성 및 강성을 갖는 후판지(厚板紙, (3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지(33), (33'), (33'')는 도체편(31)의 상부면과 저면에 부착되며, 특히 상기 저면에 부착되는 절연지(33'')는 절연부(32, 32')의 저면까지 연장하여 부착되며, 도체편(31)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절연지(33)는 두 절연부(32, 32')까지 연장되지 않고, 일정구간 제거하여 도체편(31, 31')을 어느 정도 노출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우선, 다수개의 단자 핀(52), (52')이 내장된 플러그 소켓(50), (50')을 LED모듈(2), (2')의 입출력측 인쇄회로 기판상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인쇄회로 기판을 통해 LED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하나의 LED모듈(2)에서 다른 LED모듈(2')측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판상체의 다중 케이블(30)의 노출된 도체편(31), (31')을 플러그 소켓(50), (50')의 단자핀(52), (52')에 끼움으로서 상호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플러그 소켓(50), (50')의 단자핀(52), (52')에 판상체에 다중 케이블(30)을 끼움한 상태에서는 단자핀(52), (52')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내측으로 복원할려는 탄성작용을 하게 되어 판상체의 다중케이블(30)을 견고하게 협지 할 수가 있다.
또한 판상체의 다중케이블(30)을 플러그 소켓(50), (50')에 끼울 때 이것의 저면에 탄성 및 강성을 갖는 후판지(34)가 접착되어 있으므로서 플러그 소켓(50), (50')의 단자핀(52), (52')의 벌림을 용이하게 하며, 아울러 단자핀(52), (52')의 입구(상측)측이 판상체 케이블(30)을 수용, 적합하도록 어느정도 양측으로 벌어져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삽입 할 수가 있다.
또한, LED모듈(2), (2')의 상호간에 측면이 긴밀하게 맞닿도록 하는 것인 만큼 판상체의 다중케이블(30)이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유연하게 구부릴수 있으므로 도체편(31), (31')에는 아무런 힘이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소켓(50), (50')의 단자핀(52)이 탄성력으로 판상체케이블(30)의 도체편(31, 31')을 협지 접속하게 되므로서 전기적인 접속력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는 LED모듈과 LED모듈 접속장치는 상기한 바 처럼 케이블이 페이퍼 형태 즉 얇은 판상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케이블의 도체편이 종래와 달리 블록 형태가 아닌 얇은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에, LED모듈의 조립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탄성력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 지므로서 접속불량을 없앨수 있고, 아울러 그에 따른 제조 단가 또한 현저히 낮아졌기에 그만큼 유리하여졌다 할 것이며 그 구조가 조립되거나, 접속됨이 없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기에 고장율 또한 극히 저감 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모듈 상호간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접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LED모듈(2), (2')의 입,출력 위치마다 다수의 단자핀(52), (52')이 입설된 플러그 소켓(50), (50')를 설치하되, 이 플러그 소켓(50), (50')의 상호간에 각기 입설되어 있는 단자핀(52)이 판상체로 형성된 케이블(30)의 도체편(31)을 협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판상체의 케이블(30)은 이면에 플러그소켓(50), (50')의 단자핀(52)에 삽입시 삽입강도를 위한 후판지(34)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KR2019960043346U 1996-11-29 1996-11-29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KR200157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346U KR200157050Y1 (ko) 1996-11-29 1996-11-29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346U KR200157050Y1 (ko) 1996-11-29 1996-11-29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250U KR19980030250U (ko) 1998-08-17
KR200157050Y1 true KR200157050Y1 (ko) 1999-09-15

Family

ID=1947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346U KR200157050Y1 (ko) 1996-11-29 1996-11-29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0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250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254A (en) Jumper for interconnecting dual-in-line sockets
US4992052A (en) Modular connector system with high contact element density
US4331370A (en) Connec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3737833A (en) Ribbon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feed thru connector
US4639054A (en) Cable terminal connector
US11456561B2 (en) Terminal structure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connector and connector thereof
EP0231975B1 (en) Clamping contact element, and edge connector made up of several of such clamping contact elements, for the connection of conductors
US5618202A (en) Connector having strip line structure
GB1350540A (en) Flexible flat cable and electrical assemblies
KR20120022624A (ko) 전기 커넥터 및 회로 보드 어셈블리
US5395249A (en) Solder-free backplane connector
JPH0332187B2 (ko)
EP0907219B1 (en) Punched sheet coax header
US468788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witch
US5421741A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CN1110020A (zh) 印刷电路板用的连接器及印刷电路板的连接方法
JP3331409B2 (ja) 光電複合型コネクタ
EP0643449B1 (en) Cable connector for a ribbon cable
KR200157050Y1 (ko) Led 도트 매트릭스 모듈 접속장치
US4959026A (en) Power distribution adapter
CN1045482A (zh) 一种电缆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US20240079802A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GB209283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s
CN211404856U (zh) 电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