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870Y1 -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 Google Patents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870Y1
KR200156870Y1 KR2019960019666U KR19960019666U KR200156870Y1 KR 200156870 Y1 KR200156870 Y1 KR 200156870Y1 KR 2019960019666 U KR2019960019666 U KR 2019960019666U KR 19960019666 U KR19960019666 U KR 19960019666U KR 200156870 Y1 KR200156870 Y1 KR 200156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astener
belt
screw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817U (ko
Inventor
김복성
Original Assignee
김복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성 filed Critical 김복성
Priority to KR2019960019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870Y1/ko
Publication of KR980008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에 고무호스를 연결시키는 배관작업이나 각종 자재물을 연결시키거나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구로서,
그 체결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밴드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구본체의 하우징 내에 유설된 작동스크류의 몸체에 연접하는 걸림돌부와 볼트두부 사이에 일측방향으로 테이퍼진 이동 경사부를 동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작동스크류의 나사산 일측부에 만곡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다수의 괘지장공을 갖는 밴드를 체결구의 작동스크류로 삽입시킬 시 작동스크류의 이동 경사부가 하우징의 지지공을 타고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틈과 함께 작동스크류의 나사산에 형성된 만곡경사면에 의해 밴드가 전혀 걸리지 않고 작동스크류를 쉽게 관통되게 하여 체결물의 직경에 따라 임시적으로 밴드를 가변 조절하여 체결준비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결이 편리한 밴드체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a)(b)(c)는 밴드체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도는 체결구본체로부터 밴드의 선단부가 분리된 상태의 예시단면도,
(b)도는 체결구 본체의 내외측으로 밴드의 선단부를 통과시키는 상태의 예시단면도,
(c)도는 체결구본체의 작동스크류에 밴드가 괘지된 상태의 예시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타실시예로서, 밴드를 발췌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타실시예로서, 밴드를 발췌한 사시도,
제5도는 밴드의 선단부가 밴드몸체에 유삽된 상태의 예시도,
제6도는 종래 밴드 체결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괘지장공 2 : 돌편
10 : 밴드 11 : 절곡부
12 : 레일편 20 : 하우징
21 : 결착편 22, 22' : 지지공
30 : 작동스크류 31 : 걸림돌부
32 : 볼트두부 33, 33' : 이동경사부
34 : 몸체 35 : 나사산
36 : 만곡 경사면 37 : 수직면
40 : 체결구본체 50 : 밴드체결구
본 고안은 파이프에 고무호스를 연결시키는 배관작업이나 각종 자재물을 연결시키거나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구로서, 그 체결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벨트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구본체의 하우징 내에 유설된 작동스크류의 몸체에 인접하는 걸림돌부와 볼트두부 사이에 일측방으로 이동 경사부를 동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작동스크류의 나사산 일측부에 만곡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다수의 괘지장공을 갖는 밴드를 체결구의 작동스크류를 삽입시킬시 작동스크류의 아동 경사부가 하우징의 지지공을 타고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틈과 함께 작동스크류의 나사산에 형성된 만곡경사면에 의해 벨트가 전혀 걸리지 않고 작동스크류의 나사산에 형성된 만곡경사면에 의해 밴드가 전혀 걸리지 않고 작동스크류를 쉽게 관통되게 하여 체결물의 직경에 따라 임시적으로 밴드를 가변 조정하여 체결준비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밴드체결구에 있어서는,
제6도와 같이, 밴드(10)의 일단부에 하우징(20)이 접착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20)내에는 양단부에 걸림돌부(31)와 볼트두부(32)가 형성된 작동스크류(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스크류(30)의 걸리돌부(31)의 볼트두부(32)에 형성된 요입부(35)가 하우징(20)의 양측면에 형성된 반구상의 지지공(21)에 안내 유지되어 작동스크류(30)가 하우징(20)에서 회전자재 하게 구성된 벨트체결구(40)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밴드체결구(40)는 이미 수년전 부터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오던 것으로, 체결고정코져하는 물체에 밴드(10)를 감아서 벨트(10) 전달부를 체결구의작동스크류(30)에 삽입한 후, 작동스크류(30)의 후면 볼트두부(32)를 드라이버 등으로 돌리게 되면, 작동스크류(30)가 회전하므로서, 이의 나사산(34)이 벨트(10)의 괘지장공(11)에 맞물리면서 벨트(10)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여주게 되는 체결수단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체결구(40)는 벨트(10)의 직경보다 체결물의 직경이 작은 경우 작동스크류(30)를 드라이버로 벨트(10)가 체결물에 조여질 때까지 수회 돌려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체결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며, 체결이 완료된 벨트(10)의 선단부가 벌어지거나 늘어지는 현상으로, 체결된 벨트체결구의 외관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상기한 문제점과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체결코져하는 물체의 크고작은 직경에 관계없이 체결물에 벨트를 누른 후, 벨트의 선단부를 체결구본체의 작동스크류 내, 외측으로 관통되게 손으로 잡아당겨 임시적으로 조인후, 최종적으로 작동스크류의 볼트두부를 드라이버로 돌려서 견고히 조여주는 간단한 체결수단으로, 벨트체결구의 체결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데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벨트체결구의 벨트주연부를 약간 상형 절곡시키고, 벨트의 전남부에 절곡된 레일편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벨트체결시 벨트의 선단부가 벌어지거나 느려지는 현상없이 벨트몸체에 유지되게 하므로서, 체결된 벨트체결구의 외관을 깨끗이 정리된 상태로 보존시킬 수 있도록 한데 있는 것이나,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벨트에 형성된 다수의 괘지장공에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돌편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체결물에 벨ㅌ를 감기위해 벨트의 선단부를 작동스크류로 삽입관통시킬시 작동스크류의 나사산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물과도 미끄러짐 현상없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기술구성과, 그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의 벨트체결구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제2도는 (a)(b)(c)는 벨트체결구의 작동상태로서,
(a)도는 체결구본체로부터 밴드의 선단부가 분리된 상태의 예시단면도.
(b)도는 체결구본체에 벨트의 선단부를 통과시키는 상태의 예시단면도.
(c)도는 체결구본체의 작동스크류에 벨트가 괘지된 상태의 예시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고안의 벨트를 발췌한 타실시예로서, 각각 단면도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다수의 괘지장공(1)을 갖는 밴드(10)의 일단부에 민원통상의 하우징(20)이 점착편(21)에 의해 고정되고, 양측면에 반구상의 지지공(22)(22')이 형성된 하우징(20)내에는 양단에 걸림돌부(31)와 볼트두부(32)를 갖는 작동스크류(30)가 설치된 통상의 밴드체결구(50)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본체(40)의 하우징(20)에 설치된 작동스크류(30)의 걸림돌부(31)의 볼트두부(32)에 각각 일측방향으로 테이퍼진 이동경사부(33)(33')가 작동스크류(30)의 몸체(34)에 동형으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이동경사부(33)(33')는 하우징(20)의 양측면에 형성된 반구상의 지지공(22)(22')에 안내되어 좌,우이동 가능하게 유설되어 있으며, 또한 작동스크류(30)의 몸체(34)에는 벨트(10)의 다수 괘지장공(1)에 맞물려서 괘지토록 한 나사산(35)에 일측으로 경사진 만곡 경사면(36)과 수직면(37)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제3도와 같이 벨트(10)의 괘지장공(1)에 일측방향으로 햐항경사진 돌편(2)을 형성하여 벨트(10)의 선단부가 체결구본체(40)의 작동스크류(30)의 근접하여 형성된 괘지부(41)로 통과할시 작동스크류(30)의 나사산(35)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삽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벨트(10)의 양주연부 전체를 약간 상향 절곡시켜서형의 절곡부(11)를 형성하고, 벨트(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절곡부(11)를 감싼형태로 유삽되도록 절곡된형의 레일편(12)을 형성하여 체결구본체(40)를 관통한 벨트(10)의 선단부가 항시 벨트(10)의 몸체에 유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고안의 벨트체결구(50)로 체결물(도시생략)을 체결할시에는, 먼저, 체결물에 벨트(10)를 감아싼 후, 벨트(10)의 선단부를 체결구본체(40)의 괘지부(41)로 삽입시키게 된다.
즉, 제2도(a)와 같이 체결구본체(40)의 하우징(20)내에 유설된 작동스크류(30)의 이동경사부(33)(33')가 하우징(20)의 양측면 지지공(22)(22')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벨트(10)의 선단부를 제2도(b)와 같은 상태로 괘지부(41) 틈에 침입시켜 밀어 넣으면, 벨트(10)의 선단부가 강압적으로 괘지부(41)틈을 통과함에 따라 작동스크류(30)의 이동경사부(33)(33')가 하우징(20)의 지지공(22)(22')으로 부터 우측으로 이동안내됨과 동시에 이동경사부(33)(33')의 경사각에 의하여 작동스크류(30)가 하우징(20)의 내측상부를 상향 이동하게 되므로서, 괘지부(41)의 틈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벨트(10)의 선단부를 체결구본체(40)의 괘지부(41)를 쉽게 관통하게 되며, 이때 작동스크류(30)의 몸체(34)에 형성된 나사산(35)은 일측면이 만곡경사면(36)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벨트(10)의 삽동시 벨트(10)의 다수 괘지장공(1)에 작동스크류(30)의 나사산(35)이 걸리거나 접촉되는 현상 없이 부드럽게 삽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고안의 벨트체결구(50)는 체결코져하는 체결물에 벨트(10)를 감싼후, 벨트(10)의 선단부를 상술한바와 같이 체결구본체(40)의 괘지부(41)로 관통시켜서 벨트(10)의 선단부를 손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서 1차 임시적으로 적절히 조일수 있는 것이며,
이때, 벨트(10)의 선단부를 놓으면, 제3도(c)와 같이 벨트(1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벨트(10)가 삽동되었던 반대방향으로 복귀되면서, 작동스크류(3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되고 작동스크류(30)이 이동경사부(33)(33')가 하우징(20)의 지지공(22)(22')으로부터 저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작동스크류(30)가 하우징(20)의 내부상부에서 하향이동되므로서, 작동스크류(30)의 몸체(34)에 형성된 나사산(35)의 수직변(37)에 의해 나사산(35)이 벨트(10)의 괘지장공(1)에 걸려서 더이상 후퇴됨이 없이 괘지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작동스크류(30)의 볼트두부(32)를 드라이버로 간단히 회전시켜 조여 주므로서, 그 체결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간편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고안의 다실시예로서 제3도와 같이 벨트(10)의 괘지장공(1)에 일측방향으로 햐향 경사진 돌편(2)을 형성하므로서 체결구본체(40)의 괘지부(41)틈에 벨트(10)를 삽동시킬시 벨트(10)의 하향경사진 돌편(2)에 의해 작동스크류(30)의 나사산(35)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관통시킬 수 있어, 상술한 바와같은 동일한 효과를 얼을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벨트(10)의 구성으로 체결물을 조일시 체결물과 미끄러짐현상 없이 더욱 긴밀하고 견고하게 조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다실시예로서 제4도와 같이 벨트(10)의 양주연부 전체에 약간 성형 절곡된 절곡부(11)를 형성하고, 벨트(10)의 선단부에 레이편(12)을 형성하여 주므로서, 벨트(10)의 선단부를 체결구본체(40)의 괘지부(41)를 관통시켜 체결하더라도, 벨트(10)의 걸림부에 형성된 절곡레일편(12)이 항시 벨트(10)의 전체 주연부에 형성된 절곡부(11)를 감싼 형태로 슬라이드 유지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5도와 같이 벨트(10)의 선단부가 항시 벨트(10) 몸체의 외주면에서 믿어지거나 느려지지 않고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의 외관을 보존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벨트체결구(40)의 체결시 체결물에 벨트910) 선단부를 감아 체결구본체에 끼운후 반드시 처음부터 끝까지 체결물이 조여질 때까지 작동스크류(30)의 볼트두부(32)를 드라이버로 돌여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작업시간이 지연되었더 폐단을 일소한 본고안은 체결물의 크고작은 직경에 관계없이 체결물에 벨트(10)를 감아서 벨트(10)의 선단부를 체결구본체(40)의 괘지부(41)를 관통시킨후, 벨트(10)의 선단부를 손으로 팽팽하게 1차 임시적으로 조여준 다음 최종적으로 작동스크류(30)의 볼트두부(32)를 드라이버로 간단히 몇회 회전시켜 조여주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매우 실용적인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괘지장공(1)을 갖는 밴드(10)의 일단부에 반원통상의 하우징(20)이 결착편(21)에 의해 고정되고 양측면부에 반구상의 지지공(22)(22')이 형성된 하우징(20)내에는 양단에 걸림돌부(31)와 볼트두부(32)를 갖는 작동스크류(30)가 설치된 통상의 밴드체결구(50)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본체(40)의 하우징(20)에 설치된 작동스크류(30)의 걸림돌부(31)와 볼트두부(32)에 각각 일측방향으로 테이퍼진 이동경사부(33)(33')를 작동스크류(30)의 몸체(34)와 연장시켜 동형으로 형성하되 이동경사부(33)(33')가 하우징(20)의 지지공(22)(22')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유설하고 작동스크류(30)의 몸체(34)에는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만곡경사면(36)과 수직면(37)을 갖는 나사산(35)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편리한 밴드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0)에 다수로 형성된 괘지장공(1)내에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진 돌편(2)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편리한 밴드체결구.
  3. 상기 밴드(10)의 양주연부 전체에형으로 사향 절곡된 절곡부(11)를 형성하고, 밴드(10)의 선단부에는형으로 절곡시킨 레일편(12)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이 편리한 밴드체결구.
KR2019960019666U 1996-07-02 1996-07-02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KR200156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666U KR200156870Y1 (ko) 1996-07-02 1996-07-02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666U KR200156870Y1 (ko) 1996-07-02 1996-07-02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17U KR980008817U (ko) 1998-04-30
KR200156870Y1 true KR200156870Y1 (ko) 1999-09-01

Family

ID=1946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666U KR200156870Y1 (ko) 1996-07-02 1996-07-02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8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78B1 (ko) 2007-05-31 2008-10-23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배수관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연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678B1 (ko) 2007-05-31 2008-10-23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배수관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1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690B1 (en) Connection fitting with an attachment projection divided by slits into holding tongues
US4981128A (en) Arrow release device
CA2466539C (en) Clamp
AU2002340628A1 (en) Clamp
US3854767A (en) Rope assembly
KR200156870Y1 (ko) 체결이 편리한 밴드 체결구
US20080060170A1 (en) Adjustable Clamp and Method For Use of Same
GB2481849A (en) Cord clamping device having a push button quick release
US2925977A (en) Pipe hangers and the like
US5148577A (en) Forming tool for wire clamp
US2793550A (en) Strap wrench
JP3757243B2 (ja) ネジ状先端部を有する錨留装置
US4077093A (en) Fastening devices
KR930000982Y1 (ko) 봉상, 관상물의 결속구
KR200321952Y1 (ko) 낚시용 고정구
US4457128A (en) Needle device for splicing
KR200188757Y1 (ko) 체결이 편리한 밴드체결구
CH399096A (fr) Collier pour la fixation de canalisations
JPS5941691Y2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
JPS5852208Y2 (ja) バンド結束具
CN214999993U (zh) 一种新型易扣的金属卡箍
JPH0411730Y2 (ko)
EP1279859A1 (en) Cord End
KR900010057Y1 (ko) 관의 보온재를 감싸는 pvc수지를 고착시키는 리벳
RU1783097C (ru) Захват дл нат жени арматур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