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840Y1 -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 Google Patents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840Y1
KR200156840Y1 KR2019960045039U KR19960045039U KR200156840Y1 KR 200156840 Y1 KR200156840 Y1 KR 200156840Y1 KR 2019960045039 U KR2019960045039 U KR 2019960045039U KR 19960045039 U KR19960045039 U KR 19960045039U KR 200156840 Y1 KR200156840 Y1 KR 200156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ice
spraying machine
hot water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267U (ko
Inventor
김재서
Original Assignee
김재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서 filed Critical 김재서
Priority to KR2019960045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8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40Dissolving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being dissolved
    • B01F21/403Solid carbon dioxide or dry 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분무의 배출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얼음조각대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 관한 것인바,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되며, 상단 개구부에는 분무관이 형성된 뚜껑이 결합되며, 온수순환용 펌프와 격판 및 히터가 부설된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 있어서, 상기 격판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배수공이 형성된 유입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체에는 상기 펌프로부터 유도되는 온수토출관이 상향 접속되며, 상기 유입관체의 개방된 상부에는 온수를 일차로 차단하여 측방으로 유도하는 차단캡이 구비되며, 상기 증발실의 일측벽에는 상기 수조로 통하는 오버플로우와, 상기 뚜껑을 제거하고 둘레에 다수의 분무공이 형성된 얼음조각대로 이루어지며,
드라이아이스와 더운물의 접촉이 층분하여 분무량을 지속적으로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뚜껑을 분리한 후, 얼음조각대를 결합함으로써 얼음 조각 주변에도 연무가 피어오르도록 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라이아이스 분무 연출기
본 고안은 드라이아이스 분무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무의 배출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얼음조각대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는 용기내에 드라이아이스를 담아 놓고 여기에 더운물을 부어서 드라이아이스가 증발할 때 생기는 연무를 이용하여 안개나 구름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으로서, 예식장이나 사진관, 유흥업소나 공연장 기타 연회장에서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제 4 도와 제 5 도는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의 구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분무연출기(1)는 대체로 외통(2)과 내통(3)으로 구성된 본체의 상부에는 분무관(5)이 형성된 뚜껑(4)이 장착된다. 내통(3)과 외통(2) 사이에는 펌프(6)가 설치되고, 내통(3)의 하부에는 히터(9)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공격판(7) 위에는 드라이아이스(17)가 놓인다. 히터(9)에 의해 가열된 더운물이 펌프(6)에 의해 압송되어 내통(3) 상단의 노즐관(14)을 통해 하향 분사되면, 더운물과 드라이아이스가 접촉되어 연무가 발생되고, 이 연무는 뚜껑(4)의 분무관(5)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콘트롤판넬은 전원스위치나 온도 및 시간조절용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는 초기의 분무발생량은 충분하지만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분무발생량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이는 더운물이 바로 다공격판(7)의 여러 구멍을 통해 급속히 배출되어 드라이아이스와 더운물과의 접촉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연회장에서 얼음 조각을 설치하는 경우에 드라이아이스 분무기와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연출할 수 없어서 얼음 조각 주변이 단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드라이아이스와 더운물과의 접촉을 증대시켜서 분무발생량이 장시간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 얼음 조각을 올려놓은 얼음조각대를 간편하게 착탈하도록 하여 얼음 조각의 분위기를 멋있게 연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는 외통과 내통으로 이루어지며 내통에 유입관체를 설치하여 구조를 더욱 간단히 하고, 뚜껑을 분리한 후 얼음조각대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의한 드라이아이스 분무 연출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얼음조각대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얼음조각대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제 4 도는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의 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무 연출기 2 : 외통
3 : 내통 4 : 뚜껑
18 : 콘트롤판넬 30 : 증발실
32 : 격판 34 : 유입관체
35 : 배수공 38 : 오버플로우
40 : 얼음조각대 44 : 분무공
46 : 램프공 51 : 램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를 도시한 단면구성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얼음조각대의 구성도이고, 제 3 도는 본 고안의 얼음조각대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이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는 외통(2)과 내통(3)으로 구성되며, 상단 개구부(8)에는 분무관(5)이 형성된 뚜껑(4)이 분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통(3)과 외통(2) 사이에 온수순환용 펌프(6)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3)은 격판(32)에 의해 드라이아이스가 놓이는 상부의 증발실(310)과 하부의 수조(20)로 구획되며, 상기 수조(20)에는 히터(9)가 부설되고, 펌프(6)에는 흡입관(12)과 온수토출관(37)이 접속된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1)에 있어서, 상기 격판(32)에는 상단이 개발되고 하단에 배수공(35)이 형성된 유입관체(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체(34)에는 상기 펌프(6)로부터 유도되는 온수토출관(37)이 상향 접속되며, 상기 증발실(30)의 일측벽에 상기 수조(20)로 통하는 오버플로우(38)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판(32)의 중앙부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는 배수공(35)이 형성된 유입관체(34)가 형성된다. 이 유입관체(34)에는 전술한 펌프(6)의 온수토출관(37)이 관통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향하도록 구비된다. 유입관체(34)의 개방된 상부에는 온수를 일차로 차단하여 측방으로 유도하는 차단캡(39)이 구비된다. 유입관체(34)의 배수공(35)은 온수토출관(37)에 비해 그 크기가 작아서, 온수토출관(37)에서 토출된 온수는 대부분 유입관체(34)를 통해 증발실(30) 상부로 유도되어 격판(32) 위로 차 올라서 그 위에 쌓인 드라이아이스(17)를 침수시키게 된다.
격판(32)보다 높은 위치의 내통(3)의 내측에는 오버플로우(38)가 형성되어, 온수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에 넘쳐흘러서 수조(20)로 순환되도록 한다. 콘트롤판넬(18)은 작동스위치나 도시 안된 온도조절기구 또는 타이머 등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뚜껑(4)은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뚜껑(4) 대신에 본 고안에 따른 얼음조각대(4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얼음조각대(40)의 저면에는 상기 외통(2)의 상단 개구부(8)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41)가 형성되고, 그 둘레에는 다수의 분무공(44)이 형성되어, 증발실(30)에서 발생된 연무가 이 분무공(44)을 통해 얼음 조각의 둘레에서 피어오르도록 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무공(44)의 외측에 램프(51)가 설치된 램프공(46)이 형성되어 이 램프공(46)을 통해 불빚이 세어 나와 분위기를 더욱 멋있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 의하면,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에서와 같이 더운물을 위에서 분사시켜서 급속히 배출시키는 대신에, 격판의 하부에서 더운물이 토출되어 드라이아이스가 완전히 침수되도록 함으로써 드라이아이스와 더운물의 접촉이 충분하여 분무량을 지속적으로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을 분리한 후, 얼음조각대를 결합함으로써 얼음 조각 주변에도 연무가 피어오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연회장의 분위기를 더욱 멋있게 연출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서비스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외통(2), 내통(3) 및 뚜껑(4)으로 구성된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1)에 있어서, 상기 내통(3)의 격판(32)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배수공(35)이 형성된 유입관체(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체(34)의 개방된 상부에는 차단캡939)이 구비되며, 상기 뚜껑(4)은 저면에는 상기 외통(2)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41)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다수의 분무공(44)이 형성되며, 상기 분무공(44)의 외측에는 램프(51)가 설치된 램프공(46)이 형성된 얼음조각설치용 얼음조각대(4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분무 연출기.
KR2019960045039U 1996-12-02 1996-12-02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KR200156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039U KR200156840Y1 (ko) 1996-12-02 1996-12-02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039U KR200156840Y1 (ko) 1996-12-02 1996-12-02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267U KR19980032267U (ko) 1998-09-05
KR200156840Y1 true KR200156840Y1 (ko) 1999-09-01

Family

ID=1947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039U KR200156840Y1 (ko) 1996-12-02 1996-12-02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8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1917B (zh) * 2017-04-24 2023-09-12 广州市创韦电子科技有限公司 干冰烟雾机
CN114073862A (zh) * 2020-08-14 2022-02-22 广州市创韦照明灯具有限公司 使用干冰的烟雾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267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A43856C2 (uk) Пральна або посудомийна машина
KR200156840Y1 (ko) 드라이아이스 분무연출기
CN210180028U (zh) 试剂瓶洁净烘干装置
KR960000616Y1 (ko) 관상어용 수조
CN202981639U (zh) 一种自动除水接水盒
CN109431408A (zh) 具有干燥功能的洗碗机
KR102304648B1 (ko) 컵자동 세척장치의 컵세척장치부
KR1004638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CN103006068A (zh) 一种自动除水接水盒
CN215781537U (zh) 一种干冰烟雾机
KR0164173B1 (ko) 가습기
SU154119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преснени воды
KR100558072B1 (ko) 습식 세정장치
CN220541482U (zh) 一种氨水冷却器
KR200281666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JP2596487Y2 (ja) スチーム式加湿器
KR200157776Y1 (ko) 가습기
CN218220142U (zh) 一种洗碗机
CN220695203U (zh) 家用电器
CN220862277U (zh) 冲洗装置
CN208458357U (zh) 一种水冲霜制冷风机
JP2010190525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水散水器
CN211632789U (zh) 一种蒸汽锅
KR200254704Y1 (ko) 절수형 수세식변기
JPS60842Y2 (ja) 食器洗い機の排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