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718Y1 - Supplementary car headrest - Google Patents

Supplementary car head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718Y1
KR200154718Y1 KR2019960040372U KR19960040372U KR200154718Y1 KR 200154718 Y1 KR200154718 Y1 KR 200154718Y1 KR 2019960040372 U KR2019960040372 U KR 2019960040372U KR 19960040372 U KR19960040372 U KR 19960040372U KR 200154718 Y1 KR200154718 Y1 KR 200154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plate
auxiliary
hole
head re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3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7438U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0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718Y1/en
Publication of KR19980027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43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718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시트의 상단 중앙부에 보조 머리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이곳에 리어 시트의 머리받침대로부터 분리한 보조 머리받침대를 설치하여 시트 가운데 앉는 탑승자에게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리어 시트의 가운데 앉게 되는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동시에 차량 후방충돌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ead restraint of an automobile seat, comprising a support means for fixing the auxiliary head restraint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rear seat, and installing an auxiliary head restraint separated from the head restraint of the rear seat. By providing a means to support the head sitting in the middle of the seat,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middle of the rear seat can provide a comfortable ride, while also ensuring the safety of the rear collision.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Secondary headrest of car sea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 시트의 상단 중앙부에 보조 머리받침대를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시트 가운데에 앉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ead restraint of an automobile seat, and in particular, an auxiliary head restraint of an automobile seat provided with a means for installing an auxiliary head restraint in the upper center of the rear seat to provide convenience to a passenger sitting in the middle of the seat. It is about.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는 보통 2명이 앉도록 되어 있지만 간혹 3명이 앉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는 시트 양옆으로 각각 1명씩 앉고 시트 가운데 1명이 앉게 된다.In the rear seat of a car, usually two people are seated, but sometimes three people are seated. At this time, one person sits on each side and one of the seats sits.

그러나, 시트 가운데 앉는 탑승자는 머리를 기댈 만한 받침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차량 후방충돌시에는 뒷쪽으로 젖혀지는 머리부위를 받칠 만한 별도의 보호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해를 입을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occupant sitting in the seat has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because there is no support means to lean the head, especially in the case of rear collision, there is no possibility of injury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protection means to support the head to be folded back. There was a high issu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 시트의 상단 중앙부에 보조 머리받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이곳에 리어 시트의 머리받침대로부터 분리한 보조 머리받침대를 설치하여 시트 가운데 앉는 탑승자에게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리어 시트의 가운데 앉게 되는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동시에 차량 후방충돌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has a support means for fixing the auxiliary head restraint to the upper center of the rear seat, and installs an auxiliary head rest separate from the head restraint of the rear seat. By providing a means to support the head of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middle of the seat, to provide a comfortable ride to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middle of the rear seat,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ar of the vehicle, the purpose of the draft. .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머리받침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a,2b도는 제1도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2a,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제3a,3b도는 제1도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3a and 3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받침면 11 : 훅10: support surface 11: hook

12 : 머리받침대 13 : 보조 머리받침대12: headrest 13: auxiliary headrest

14 : 가이드 홀 15 : 시트 등받이14: guide hole 15: seat back

16 : 가이드 레일 17 : 리벳 구멍16: guide rail 17: rivet hole

18 : 핀 구멍 19 : 지지판18: pin hole 19: support plate

20 : 훅 구멍 21 : 핀20: hook hole 21: pin

22 : 지지편 23 : 판 고정구22: support piece 23: plate fixture

24 : 스프링 25 : 위치 고정홈24: spring 25: position fixing groove

26 : 손잡이 27 : 스프링 걸림홈26: handle 27: spring locking groov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전면의 받침면(10)과 후면의 훅(11)을 가지면서 시트 머리받침대(12)의 후면에 착탈가능한 보조 머리받침대(13)와, 폭 중심을 따라 길게 절개된 가이드 홀(14)을 가지면서 시트 등받이(15)의 한쪽 측부에 내장된 가이드 레일(16)과, 후면의 훅(11)과 두께를 관통하는 리벳 구멍(17) 및 그 일측의 핀 구멍(18)을 가지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6)상에 슬라이드 조합되는 동시에 등받이 측부로부터 인출/수납가능한 띠편형의 지지판(19)과, 상기 보조 머리받침대(13)의 훅(11)을 끼울 수 있는 훅 구멍(20)과 상기 핀 구멍(18)에 끼워질 수 있는 핀(21)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판(19)에 조합되어 상방 90° 회전가능한 지지편(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xiliary headrest (13) detachable to the rear of the seat headrest (12) having a front support surface (10) and a rear hook (11), and a guide hole (14) long cut along the center of the width While having a guide rail (16) built in one side of the seat back (15), a hook (11) at the rear and a rivet hole (17)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and a pin hole (18) at one side thereof A hook hole 20 which can be fitted on the guide rail 16 and at the same time can be fitted with a strip-shaped support plate 19 which can be pulled out and received from the backrest side, and the hook 11 of the auxiliary head rest 1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upport piece 22 that is rotatable upward 90 °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plate 19 while having a pin 21 that can be fitted into the pin hole 18.

특히, 상기 보조 머리받침대(13)는 시트 머리받침대(12)의 전후 폭 중심을 수직으로 절단한 반쪽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auxiliary headrest 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half cut vertically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seat headrest 12.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6)이 설치되는 등받이 측부의 맞은편에는 인출된 지지판(19)의 끝을 걸어놓을 수 있는 판 고정구(23)가 부착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fastener 23 which can hang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9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ckrest side is installed, the guide rail 16 is attached.

또한, 상기 지지판(19)과 지지편(22) 사이에는 지지편(22)의 세원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24)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support plate 19 and the support piece 2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24 for maintaining the triangular state of the support piece 22 is connected.

또한, 상기 지지편(22)의 핀 구멍(18)은 리벳 구멍(17)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의 90° 구간에 걸쳐 절개된 원호형태의 장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n hole 18 of the support piece 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rc-shaped long hole cut through a 90 ° section around the rivet hole 17.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첨부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머리받침대와 이것을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재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component of the auxiliary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ort member for fixing it.

여기서, 도면부호 13은 보조 머리받침대를 나타낸다.Here,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n auxiliary head restraint.

상기 보조 머리받침대(13)는 리어 시트의 등받이에 있는 머리받침대를 전후폭 중심에서 수직으로 절단하여 떼어낸 뒷쪽의 반쪽 형상을 하고 있다.The auxiliary head rest 13 has a rear half shape in which the head restraint in the backrest of the rear seat is vertically cut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idths and removed.

이에 따라 보조 머리받침대(13)를 리어 시트 등받이의 머리받침대 뒷쪽에 갖다 붙이면 하나의 온전한 시트 머리받침대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uxiliary head restraint 13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rear seat back, one full seat head restraint can be made.

이러한 보조 머리받침대(13)의 전면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면(10)이 되며, 후면에는 끝에 걸림단을 갖는 양쪽 2개의 훅(11)이 갖추어져 있다.The front of the auxiliary headrest 13 is a support surface 10 that can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rear is equipped with two hooks 11 having both ends at the end.

이때의 상기 훅(11)은 리어 시트 등받이에 있는 머리받침대의 후면이나 후술하는 지지편(22)에 있는 훅 구멍(20)에 선택적으로 각각 끼워지면서 보조 머리받침대(13) 전체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hook 11 is selectively fitted to the rear of the head restraint in the rear seat back or the hook hole 20 in the support piece 22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serves to fix the entire auxiliary head rest 13. Do it.

특히, 상기 훅 구멍(20)은 훅(11)의 끝에 있는 걸림단을 끼울 수 있는 원형구멍과 이것과 통하면서 한쪽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훅(11)의 걸림단을 원형 구멍을 통해 끼운 다음, 슬롯 구멍을 따라 한쪽으로 밀게 되면 슬롯 구멍의 폭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단이 앞쪽으로 걸려질 수 있게 되므로 보조 머리받침대(13)가 탈거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hook hole 20 is made up of a circular hole that can be fitted to the end of the hook 11 and a slot hole cut in one s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hook hole, the hook end of the hook 11 is a circular hole Inserted through, and then pushed to one side along the slot hole can be caught in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e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hole can be fixed without being removed.

또한, 도면부호 16은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guide rail.

상기 가이드 레일(16)은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형 단면을 갖는 절곡형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는 체결을 위한 날개부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rail 1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ent rod having an overall U-shaped cross-s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wing for fastening.

이때의 레일 폭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가이드 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홀(14)의 한쪽 끝에는 이곳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지지판(19)의 후면 훅(11)을 걸 수 있는 위치 고정홈(25)이 윗쪽으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guide hole 14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ail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guide hole 14 is fitted to the rear side of the back hook 11 of the support plate 19 to slide therein. The position fixing groove 25 which can be hooked is formed upward.

즉, 상기 지지판(19)을 한쪽으로 완전히 밀게 되면, 상기 위치 고정홈(25)에 훅(11)이 걸려지게 되므로서, 지지판(19)의 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 plate 19 is pushed completely to one side, the hook 11 is caught in the position fixing groove 25, so that the drawn state of the support plate 19 can be maintained.

이러한 가이드 레일(16)은 먼저, 리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 측면에서부터 그 안쪽으로 레일의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홈을 수평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안에 가이드 레일(16)을 나란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그 바깥쪽 끝을 홈의 입구 가장자리와 일치되게 하면서 상단과 하단에 있는 날개부를 등받이 프레임에 나사등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guide rail 16 firstly forms a groove horizontally long with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ail from th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seat back, and arranges the guide rail 16 in parallel therewith. While the outer end is aligned with the inlet edge of the groove, the upper and lower wing parts are fastened to the backrest frame with screws, etc.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6)의 전면과 이 가이드 레일(16)이 삽입되어 있는 등받이 홈의 앞쪽 벽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을 이용하여 지지판(19)과 후술하는 지지편(22)이 자리할 수 있게 된다.Since a predetermined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16 to be installed in this way and the front wall surface of the backrest groove into which the guide rail 16 is inserted, the support plate 19 and the supporting piece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is space. (22) becomes available.

또한, 도면부호 19는 지지판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support plate.

상기 지지판(19)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편형의 막대로 이루어져 있다.The support plate 19 is composed of a strip of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막대의 길이를 이등분 한 한쪽 구간에는 후면에 2개의 훅(11)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한쪽 구간에는 두께를 관통하는 2개의 리벳 구멍(17)과 그 주위의 핀 구멍(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 하단에는 스프링(24)의 한쪽 끝을 걸 수 있는 2개의 스프링 걸림홈(27)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Two hooks (11)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back section in two sections of the length of the bar, and two rivet holes (17) and pin holes (18) around them are formed in the other section. Each is formed,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is formed with two spring engaging grooves 27 which can hang one end of the spring 2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의 상기 리벳 구멍(17)은 리벳으로 지지편(22)을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며, 상기 핀 구멍(18)은 지지편(22)에 있는 핀(21)이 끼워져 유동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rivet hole 17 is a hole for fastening the support piece 22 with a rivet, and the pin hole 18 means a path through which the pin 21 in the support piece 22 can be inserted and flow. do.

특히, 상기 핀 구멍(18)은 리벳 구멍(1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장공이며, 이때 장공의 길이는 90°구간에 걸쳐 이루어져 있고 이 장공내 끼워져 움직이는 핀(21)도 그 움직임이 90° 구간내로 제한을 받게 된다.In particular, the pin hole 18 is an arc-shaped long hole centered on the rivet hole 17, wherein the length of the long hole is made over a 90 ° section, and the pin 21 inserted into the long hole moves 90 degrees. ° will be restricted within the interval.

이러한 지지판(19)은 상기 가이드 레일(16)의 전면에 배치되면서 그 후면의 훅(11)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6)의 가이드 홀(14)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조합되므로서, 가이드 레일(16)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된다.The support plate 19 is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16 while being fitted to slide in the guide hole 14 of the guide rail 16 using the hook 11 at the rear thereof, thereby providing a guide rail. It is possible to move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16).

여기서, 미설명부호 26은 지지판(19)을 인출하거나 수납시킬 때 잡는 손잡이다.Here, reference numeral 26 is a handle that is held when the support plate 19 is drawn out or stored.

또한, 도면부호 22는 지지편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support piece.

상기 지지편(22)은 실질적으로 보조 머리받침대(13)를 고정시켜 주는 부재로서, 길이 중간이 한번 꺽어져 잇는 띠편형태로 이루어져 있다.The support piece 22 is a member for substantially fixing the auxiliary head rest 13,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band piece in which the middle of the length is bent once.

이러한 지지편(22)의 꺽인 부위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에는 상기 보조 머리받침대(13)의 훅(11)을 걸어 끼울 수 있는 훅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이 지지편(22)의 회전중심축 역할을 하는 리벳을 체결할 수 있는 리벳 구멍(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지지편(22)이 상기 지지판(19)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The hook hole 20 which can hook the hook 11 of the said auxiliary headrest 13 is formed in one side centering on the bending part of this support piece 22, and this support piece 22 in the other side. The rivet hole 17 is formed to fasten the rivet, which serves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on, so that the support piece 22 can be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19 in a rotatable structure.

특히, 상기 리벳 체결부위의 일측에는 뒷쪽으로 상기 지지판(19)에 있는 핀 구멍(18)에 끼워져 유동되는 핀(21)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핀(21)이 핀 구멍(18)내에서 유동제한을 받게 됨에 따라 지지편(22)의 회전범위가 90°로 제한될 수 있게 되고, 리벳 구멍(17)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판(19)의 스프링 걸림홈(27)에 한쪽 끝이 걸려지게 되는 스프링(24)의 다른 한쪽 끝을 걸 수 있는 스프링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다.Particularly, at one side of the rivet fastening portion, a pin 21 which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18 in the support plate 19 and flows backward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pin 21 at this time is in the pin hole 18. Under the flow restriction in the rotation range of the support piece 22 can be limited to 90 °, one end is caught in the spring engaging groove 27 of the support plate 19 at the bottom of the rivet hole 17 A spring engaging groove 27 is formed to ha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4 to be lost.

이와 같은 지지편(22)은 상기 지지판(19)상에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보조 머리받침대(13)의 양편을 동시에 지지해 줄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piece 22 is capable of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auxiliary head rest 13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support plate 19.

이때 상기 지지편(22)과 지지판(19) 사이에는 각각의 스프링 걸림홈(27)을 통해 스프링(24)이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편(22)은 항상 수직으로 세워지려는 힘을 받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pring 24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iece 22 and the support plate 19 through the respective spring engaging groove 27, so that the support piece 22 can always receive the force to stand vertically. .

여기서, 미설명부호 23은 가이드 레일(16), 지지판(19), 지지편(22) 등이 설치되어 있는 쪽의 맞은편에 설치되는 판 고정구이며, 이곳에 밖으로 인출된 지지판(19)의 한쪽을 걸어 줌으로써 지지판(19)을 통해 지지되는 보조 머리받침대(13)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Here,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plate fastener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guide rail 16, the support plate 19, the support piece 22, and the like are installed, and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9 drawn out there. By walking the auxiliary headrest 13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plate 19 can be firmly fixed.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첨부한 도 2a는 보조 머리받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2A shows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headrest is not used.

이때의 보조 머리받침대(13)는 시트 등받이(15)의 머리받침대(12) 후면에 부착되어 있게 되며, 가이드 레일(16), 지지판(19), 지지편(22)은 반대쪽 시트 등받이(15)에 내설되어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headrest 13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eadrest 12 of the seat back 15, the guide rail 16, the support plate 19, the support piece 22 is the opposite seat back 15 It is implied in.

미설명부호 23은 판 고정구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plate fixture.

첨부한 도 2b는 보조 머리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2b shows the case of using the auxiliary head restraint.

시트 등받이(15)의 측면부에 나와 있는 지지판(19)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지지판(19)은 가이드 레일(16)의 안내를 받으면서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눕혀져 있던 지지편(22)이 스프링(24)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When pulling the handle of the support plate 19 shown in the side portion of the seat back 15, the support plate 19 is drawn out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rail 16,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iece 22 that has been laid down is spring 24. Can be erected vertically.

즉, 첨부한 도 3a에서는 지지판(19)과 지지편(22)이 시트 등받이(15)의 홈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의 지지편(22)은 홈내의 천정부에 눌려져 눕혀진 자세로 있게 되고, 스프링(24)은 최대한 늘어나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That is, in the attached FIG. 3A, the support plate 19 and the support piece 22 are stored in the groove of the seat back 15, and the support piece 22 is pressed against the ceiling in the groove. It will be in a posture, and the spring 24 will be in the extended state as much as possible.

이와 같은 수납상태에서 지지판(19)을 인출하면, 첨부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4)이 지지편(22)을 당겨주게 되므로 지지편(2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지게 되고, 핀(21)에 의해 정확히 수직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upport plate 19 is pulled out in such a storage state, as shown in FIG. 3B, the spring 24 pulls the support piece 22 so that the support piece 22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a result, the pin 21 can maintain the vertical position accurately.

계속해서, 인출한 지지판(19)의 한쪽 즉, 손잡이가 있는 쪽을 맞은편에 있는 판 고정구(23)에 걸어 지지판(19)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시트 등받이(15)의 머리받침대(12)에서 떼어낸 보조 머리받침대(13)의 훅(11)을 세워져 있는 지지편(22)의 훅 구멍(20)에 걸어 고정시키면, 보조 머리받침대(13)의 설치가 완료된다.Subsequently, the support plate 19 is firmly fixed to one side of the pulled support plate 19, ie, the side with the handle, on the plate holder 23 on the opposite side, and then the headrest 12 of the seat back 15 is secured. When the hook 11 of the auxiliary head rest 13 removed from the hook is fixed to the hook hole 20 of the support piece 22 on which it stands,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head rest 13 is completed.

이렇게 리어 시트의 가운데에 별도의 보조 머리받침대를 갖춤에 따라 시트가운데 앉는 탑승자도 편안하게 머리를 받칠 수 있게 된다.By having a separate auxiliary head restraint in the center of the rear seat, the occupant sitting in the seat can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에 있는 머리받침대의 일부를 이용하여 시트 중앙에 보조 머리받침대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가운데 앉은 탑승자에게도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 후방충돌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subsidiary head restraint to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at using a part of the head restraint on the seat,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even for a passenger sitting in the middle of the se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lanned.

Claims (5)

전면의 받침면(10)과 후면의 훅(11)을 가지면서 시트 머리받침대(12)의 후면에 착탈가능한 보조 머리받침대(13)와, 폭 중심을 따라 길게 절개된 가이드 홀(14)을 가지면서 시트 등받이(15)의 한쪽 측부에 내장된 가이드 레일(16)과, 후면의 훅(11)과 두께를 관통하는 리벳 구멍(17) 및 그 일측의 핀 구멍(18)을 가지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6)상에 슬라이드 조합되는 동시에 등받이 측부로부터 인출/수납가능한 띠편형의 지지판(19)과, 상기 보조 머리받침대(13)의 훅(11) 끼울 수 있는 훅 구멍(20)과 상기 핀 구멍(18)에 끼워질 수 있는 핀(21)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판(19)에 조합되어 상방 90°회전가능한 지지편(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Auxiliary head restraint (13) detachable to the rear of the seat head restraint (12) having a backing surface (10) and a hook (11) at the front, and a guide hole (14) long cut along the center of the width The guide rail has a guide rail 16 embedded in one side of the seat back 15, a hook 11 at the rear side, a rivet hole 17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and a pin hole 18 at one side thereof. (1) a strip-shaped support plate (19) which can be slide-assembled on the back and can be pulled out / received from the backrest side; 18. An auxiliary headrest of an automobile seat, comprising a support piece (22) rotatable upward 90 [deg.]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plate (19) having a pin (21) that can be fitted into the support plate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머리받침대(13)는 시트 머리받침대(12)의 전후폭 중심을 수직으로 절단한 반쪽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2. The auxiliary head restrai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ead rest is formed in a half shape vertically cut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seat head restra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6)이 설치되는 등받이 측부의 맞은편에는 인출된 지지판(19)의 끝을 걸어놓을 수 있는 판 고정구(2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2.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ate fixing member (23) capable of hanging the end of the drawn support plate (19)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ckrest side on which the guide rail (16) is installed. Auxiliary headr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9)과 지지편(22) 사이에는 지지편(22)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24)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The auxiliary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 (24) for maintaining the standing state of the support piece (22)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9) and the support piece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2)의 핀 구멍(18)은 리벳 구멍(17)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의 90°구간에 걸쳐 절개된 원호형태의 장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보조 머리받침대.2. The motor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hole (18) of the support piece (22) is an arc-shaped long hole cut through a 90 degree section around the rivet hole (17). Secondary headrest of the seat.
KR2019960040372U 1996-11-15 1996-11-15 Supplementary car headrest KR2001547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372U KR200154718Y1 (en) 1996-11-15 1996-11-15 Supplementary car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372U KR200154718Y1 (en) 1996-11-15 1996-11-15 Supplementary car head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38U KR19980027438U (en) 1998-08-05
KR200154718Y1 true KR200154718Y1 (en) 1999-08-16

Family

ID=1947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372U KR200154718Y1 (en) 1996-11-15 1996-11-15 Supplementary car head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71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38U (en)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903B1 (en) Portable automobile partition
JP5999726B2 (en) Child seats and impact shields for vehicle child seats
KR20140031142A (en)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US3393938A (en) Headrest
CN108688521B (en) Vehicle seat
WO2016038718A1 (en) Automobile seat
EP1669239A2 (en) Safety seat tether system
JP2002308016A (en) Baggage room cover device for automobile
US10183596B2 (en) Vehicle seat
US20080150340A1 (en) Backrest Unit for a Motor Vehicle Seat
US8613480B1 (en) Child restraint system
KR200154718Y1 (en) Supplementary car headrest
KR200436650Y1 (en) Structure of seat cover for mounting headrest for vehicle
AU2015252052B2 (en) Towel Holding Device
JP2002514486A (en) Pivotable armrest with restraining spring
JP2022147823A (en) Vehicle sea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seat
KR0138786Y1 (en) Headrest fixing device of a seat
JP6898154B2 (en) Vehicle seat
KR0138217Y1 (en) Head rest of car seat
JPH0223481Y2 (en)
JPH1016707A (en) Mechanism for adjusting height of headrest and seat belt on vehicle seat
KR100373260B1 (en) an infant rear seat of a car
JP2005145167A (en) Seat belt device in automobile
JPH0727934U (en) Rear seat slide lock structure
JP3731837B2 (en) Slide rail structure for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