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716Y1 -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716Y1
KR200154716Y1 KR2019960029696U KR19960029696U KR200154716Y1 KR 200154716 Y1 KR200154716 Y1 KR 200154716Y1 KR 2019960029696 U KR2019960029696 U KR 2019960029696U KR 19960029696 U KR19960029696 U KR 19960029696U KR 200154716 Y1 KR200154716 Y1 KR 200154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abl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terminal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383U (ko
Inventor
정철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29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7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6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between battery post and clamping member, e.g. uneven interior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에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 단자의 내부에 조작이 가능한 핀 조합형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손조작에 의해 단자를 손쉽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블 단자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에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보울트 체결방식을 배제하고 핀조합을 이용한 압착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체결용 공구 없이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케이블 단자를 연결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에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0)의 윗면에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11)에 케이블(12)의 아이형(Eye Type) 케이블 단자(13)를 끼운 다음, 이것의 후단을 보울트 및 너트로 체결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연결구조에서는 단자 연결/분리시 보울트 체결용 공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 단자의 내부에 조작이 가능한 핀 조합형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손조작에 의해 단자를 손쉽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블 단자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11 : 배터리 단자
12 : 케이블13 : 케이블 단자
14 : 수직구멍15 : 수평구멍
16 : 원뿔면 17 : 조작핀
18 : 구배면 19 : 압착핀
20: 핸들21 : 곡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13)의 후단부에는 서로 직교하는 수직구멍(14)과 수평구멍(15)을 형성하고, 각각의 구멍에는 하단에 원뿔면(16)을 갖는 조작핀(17)과 후단에 구배면(18)을 갖는 압착핀(19)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각 핀의 원뿔면(16)과 구배면(18)은 상시 맞닿게 하는 동시에 조작핀(17)은 수직구멍(14)에 나사체결되고 압착핀(19)을 수평구멍(15)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조작핀(17)의 체결에 따라 상기 압착핀(19)이 전ㆍ후 유동되면서 배터리 단자(11)의 바깥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작핀(17)의 상단에는 비전도체로 된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핀(19)의 선단은 안쪽으로 오목한 곡면(21)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단자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4 와 15 는 케이블 단자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수직구멍과 수평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수직구멍(14)은 단자의 두께를 폭중심에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후술하는 조작핀(17)을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평구멍(15)은 상기 수직구멍(14)의 길이중간에서 단자의 아이부 안쪽까지 수평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 구멍내에서 후술하는 압착핀(19)이 슬라이드 유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7 은 조작핀을 나타낸다.
상기 조작핀(17)은 전체적으로 나사부로 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구멍(14)에 체결되면서 설치되고, 하단과 상단에는 압착핀(19)의 구배면(18)과 맞닿으면서 접동가능한 원뿔면(16)과 조작시 손으로 잡는 부위인 핸들(2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원뿔면(16)은 상기 구배면(18)의 구배정도와 일치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두 면은 상시 접촉될 수 있게 되며, 구배면(18)이 갖는 구배길이의 약 1/2 정도되는 경사길이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핀 하단 꼭지부가 상기 수평구멍(15)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면 압착핀(19)의 후단이 수직구멍(14)을 완전히 벋어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원뿔면(16)이 구배면(18)의 전체 구배구간에 걸쳐 접촉하게 되면, 압착핀(19)이 최대 전진한계위치까지 밀려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9 는 압착핀을 나타낸다.
상기 압착핀(19)은 배터리 단자(11)의 바깥면을 실질적으로 눌러주는 핀이다.
이러한 압착핀(19)은 상기 수평구멍(15)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후단 구배면(18)을 통하여 상기 조작핀(17)과 접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선단 곡면(21)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11)를 압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케이블 단자를 배터리 단자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 단자(13)의 아이부를 배터리 단자(11)에 끼운 다음 상기 조작핀(17)의 핸들(20)을 손으로 돌리면, 조작핀(17)이 체결되면서 이와 접동되는 압착핀(19)이 배터리 단자(11)쪽으로 밀려나 단자를 눌러주게 되므로서, 케이블 단자(13)와 배터리 단자(11)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핀(17)의 핸들(20)을 반대방향 즉, 나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압착핀(19)에 가해진 압착력이 없어져 헐거워지게 되므로 케이블 단자(11)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호 접동가능한 핀 조합형 구조를 갖춘 케이블 단자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단자의 연결/분리작업을 공구없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13)의 후단부에는 서로 직교하는 수직구멍(14)과 수평구멍(15)을 형성하고, 각각의 구멍에는 하단에 원뿔면(16)을 갖는 조작핀(17)과 후단에 구배면(18)을 갖는 압착핀(19)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각 핀의 원뿔면(16)과 구배면(18)은 상시 맞닿게 하는 동시에 조작핀(17)은 수직구멍(14)에 나사체결되고 압착핀(19)을 수평구멍(15)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조작핀(17)의 체결에 따라 상기 압착핀(19)이 전ㆍ후 유동되면서 배터리 단자(11)의 바깥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핀(17)의 상단에는 비전도체로 된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핀(19)의 선단은 안쪽으로 오목한 곡면(21)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KR2019960029696U 1996-09-17 1996-09-17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KR200154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696U KR200154716Y1 (ko) 1996-09-17 1996-09-17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696U KR200154716Y1 (ko) 1996-09-17 1996-09-17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383U KR19980016383U (ko) 1998-06-25
KR200154716Y1 true KR200154716Y1 (ko) 1999-08-16

Family

ID=1946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696U KR200154716Y1 (ko) 1996-09-17 1996-09-17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383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4829A (en) Tap connector
US7037124B2 (en) Junction box for vehicle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4627759A (en) Screw type connector set
KR200246718Y1 (ko) 커넥터체결장치
US20090197455A1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discontinuous conductors
KR200154716Y1 (ko) 자동차의 케이블 단자 연결구조
JPH0935812A (ja) プラグ継手
US1082620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6193565B1 (en) Splicing connector
US4243285A (en) Clamp-plug type connector
CA2126273A1 (en) Electrical connector
GB2319402A (en) Two-part connector to join conductors
US6303861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ductor to a structural member
EP0896388A3 (de) Elektrischer Verbinder
CN217121616U (zh) 一种耐磨损锻压冲头结构
JPH09123069A (ja) 端子金具矯正板用取外具
US20230283015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Assembly
KR19980056065A (ko) 컨넥터 결합 구조물
SU1096720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19990009250U (ko) 컨넥터의 단자
US20030073356A1 (en) Self-crimping solderless connector
JP3164260B2 (ja) 電力ケーブル用接続装置
SU1640759A2 (ru) Набор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с нулевым усилием стыковки
KR200226299Y1 (ko) 통신장비용 쉘프의 피씨비 착탈장치
JPH01307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