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906Y1 -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906Y1
KR200153906Y1 KR2019970002852U KR19970002852U KR200153906Y1 KR 200153906 Y1 KR200153906 Y1 KR 200153906Y1 KR 2019970002852 U KR2019970002852 U KR 2019970002852U KR 19970002852 U KR19970002852 U KR 19970002852U KR 200153906 Y1 KR200153906 Y1 KR 200153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ever
bidet
shaf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439U (ko
Inventor
문태국
Original Assignee
이세용
주식회사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주식회사삼홍사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2019970002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9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비데(bidet)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좌변기 수조 내의 물을 자동으로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는 외부의 전원공급으로 몸체 내부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의 구동력을 기어전동으로 수조내의 급수변과 연결된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수조내의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비데에 있어서, 케이스(30) 전면부의 회전손잡이(311) 조작에 의해서 배면부 레버(312)가 상. 하로 작동될 수 있게 축(313)으로 연결한 조작부(31); 상기 조작부(31)의 레버(312)가 회전손잡이(311) 조작으로 앞쪽 부분이 소정각도 상향으로 들려질 수 있도록 레버(312)의 뒤쪽 부분을 분할하여 축으로 연결하고, 상기 레버(312)의 하부측에는 조작부(31)의 축(313) 상에 결합된 받침대(320)를 구비한 링크부(32)와; 상기 링크부(32)가 구비된 레버(312)가 동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게 케이스(30)내부에 모터(331)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331)의 회전축(331A)에는 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외곽을 따라 이가 형성된 기어B(332B)에 치합되게 기어A(332A)를 축설하고, 상기 기어B(332B)에서 조작부(31)의 축(313)에 설치된 기어E(332E) 사이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C(332C) 및 기어D(332D)가 상호 치합되게 설치된 구동부(33)와; 상기 구동부(33)의 기어D(332D)가 조작부(31)의 회전손잡이(311) 조작에 의한 기어E(332E)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지 않게 기어D(332D)의 이의 일부를 제거하여 공간부(34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341)가 상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기어D(332D) 하부측에 스프링(342)을 탄력 설치한 복원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Description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본 고안은 여성용 국부 자동 세척기인 비데(bidet)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비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변기(10)에 설치되고, 비데몸체(20)의 일측 조작부(21) 조작으로 내부의 온수를 노즐(24)을 통해서 분사시켜 항문세정 및 비데세정 또는 맛사지 세정으로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상기 항문세정은 용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온수로 휴지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것이고, 비데세정은 상기의 온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것이며, 맛사지 세정은 온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이의 운동으로 맛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세정이다.
제2도는 비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된 물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도록 비데몸체(20) 내부에 구비되는 물통(22)과, 상기 물통(22)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펌프(23)와, 상기 펌프(23)에 의해서 공급된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24)과, 상기 노즐(24)과 펌프(23) 사이에 위치되고 노즐(24)에 의한 세정의 기능적인 선택에 따라 급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25)과, 상기 수로변환부(25)에서 노즐(24)을 통해 분사되어 신체에 묻은 잔존 물기를 온풍으로 건조시켜 제거하는 건조기(26)로 구성된다.
한편, 좌변기 수조에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서 수조 내의 물을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작구가 구비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상기 조작레버를 회전시켜 사용해 왔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좌변기 수조 내의 물을 자동으로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는 외부의 전원공급으로 몸체 내부의 모터를 구성시키고, 이의 구동력을 기어전동으로 수조내의 급수변과 연결된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수조내의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비데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비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5a도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도이고,
제5b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링크부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레버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a도는 소변 사용 상태도이고,
b도는 대변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케이스 31 : 조작부
32 : 링크부 33 : 구동부
34 : 복원부 311 : 회전손잡이
312 : 레버 313 : 축
320 : 받침대 331 : 모터
331A : 회전축
332A, B, C, D, E : 기어A, B, C, D, E
341 : 공간부 342 : 스프링
제1도는 일반적인 비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비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제3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30) 전면부에 회전손잡이(311)가 구비되고, 케이스(30) 배면부에는 좌변기 물통 내의 급수변과 끈으로 연결되는 레버(312)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312)가 회전손잡이(311)의 조작에 의해서 좌변기 물통내의 급수변을 열고 닫을 수 있게 축(313)으로 연결하여 조작부(31)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급수변은 절수를 위해 근래에 제작 및 판매되고 있는 2단 급수변으로서, 대소변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의 레버(312)는 상기에서와 같은 2단 급수변의 작동을 위해, 특히 소변에 필요한 물의 양만큼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레버(312)의 뒤쪽 부분을 분할하여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레버(312)의 하부측에는 조작부(31)의 축(313) 상에 결합된 받침대(32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회전손잡이(311)이 조작으로 상기 레버(312)의 앞쪽부분이 상기 받침대(320)의 턱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상향으로 들려지게 링크부(32)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312)가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한 기계적인 작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케이스(30) 내부에 모터(331)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331)의 회전축(331A)에 기어A(332A)를 축설하고, 상기 기어A(332A)에서 수직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외곽을 따라 이가 형성된 기어B(332B)를 상기 기어A(332A)에 치합되게 설치하며, 상기 기어B(332B)에서 조작부(31)의 축(313)에 설치된 기어E(332E) 사이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C(332C) 및 기어D(332D)가 상호 치합되어 구동부(33)를 구성한다.
이와함께 상기 구동부(33)의 기어D(332D)의 하부측에는 스프링(342)이 탄력설치되고, 상기 기어D(332D)는 회전손잡이(311)의 조작에 의한 기어E(332E)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지 않게 이의 일부를 제거한 공간부(341)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342)의 탄성력에 의해서 공간부(341)의 위치가 항상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부(34)를 구성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고안은 사용자의 회전손잡이(311)를 회전시켜 수동으로 좌변기의 물을 내려사용할 수도 있고, 비데의 스위칭 조작에 의한 구동부(33)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물을 내려사용할 수 있다.
수동조작은 회전손잡이(311)의 회전방향에 따라 대소변 물 사용이 구분되는 것으로, 소변시에는 회전손잡이(3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고, 대변 사용시에는 상기 회전손잡이(311)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회전손잡이(3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손잡이(311)와 케이스(30) 후방측 레버(312)를 연결하는 조작부(31)의 축(3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의 회전으로 레버(312)의 앞쪽 부분이 링크부(32)의 받침대(320) 턱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소정각도 들려져 좌변기 물통 내의 2단급수변()을 소량의 물만 배출되도록 개방시키게 됨으로써 소변 사용에 필요한 물을 내려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대변 사용시에는 회전손잡이(311)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레버(312) 전체가 큰 각도로 들려지게 함으로써 대변 사용에 필요한 다량의 물을 내려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계적인 작동은 구동부(33)의 모터(331) 정. 역회전에 따라 대소변에 필요한 물의 사용량을 전술한 바와같이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331)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331)의 구동으로 기어A(332A)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기어A(332A)의 회전에 따라 기어A(332A)에 치합된 기어B(332B)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터(331)의 구동력이 수직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구동력은 다시 기어B(332B)에 치합된 기어C(332C) 및 기어D(332D)를 통해 조작부(31)의 축(313)에 설치된 기어E(332E)로 전달되어 상기 축(313)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레버(312)의 작동에 의한 좌변기 물통 내의 2단 급수변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동조작에 의한 소변 사용시 회전손잡이(311)의 조작에 의해서 소정범위로 조작부(31)의 축(313)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부(33)의 기어E(332E)는 기어D(332D)에 형성된 공간부(341)에서 공회전되므로 기어D(332D)를 간섭하지 않게 되고, 대변 사용에 따른 기어D(332D)의 회전시에는 상기 기어D(332D)에 탄력설치된 복원부(34)의 스프링(342)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공간부(341)가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어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한 기계적인 작동으로 좌변기 내의 물을 자동으로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비데에 있어서, 케이스(30) 전면부에 회전손잡이(311) 조작에 의해서 배면부 레버(312)가 상.하로 작동될 수 있게 축(313)으로 연결된 조작부(31)와; 상기 조작부(31)의 레버(312)가 회전손잡이(311) 조작으로 앞쪽 부분이 소정 각도 상향으로 들려질 수 있도록 레버(312)의 뒤쪽 부분을 분할하여 축으로 연결하고, 상기 레버(312)의 하부측에는 조작부(31)의 축(313) 상에 결합된 받침대(320)를 구비한 링크부(32)와; 상기 링크부(32)가 구비된 레버(312)가 동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게 케이스(30) 내부에 모터(331)를 설치하되 상기 모터(331)의 회전축(331A)에는 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외곽을 따라 이가 형성된 기어B(332B)에 치합되게 기어A(332A)를 축설하고, 상기 기어B(332B)에서 조작부(31)의 축(313)에 설치된 기어E(332E) 사이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C(332C) 및 기어D(332D)가 상호 치합되게 설치된 구동부(33)와; 상기 구동부(33)의 기어D(332D)가 조작부(31)의 회전손잡이(311) 조작에 의한 기어E(332E)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지 않게 기어D(332D)의 이의 일부를 제거하여 공간부(34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341)가 상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기어D(332D) 하부측에 스프링(342)을 탄력 설치한 복원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KR2019970002852U 1997-02-22 1997-02-22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KR200153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852U KR200153906Y1 (ko) 1997-02-22 1997-02-22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852U KR200153906Y1 (ko) 1997-02-22 1997-02-22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439U KR19980058439U (ko) 1998-10-26
KR200153906Y1 true KR200153906Y1 (ko) 1999-08-02

Family

ID=1949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852U KR200153906Y1 (ko) 1997-02-22 1997-02-22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9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25B1 (ko) * 2007-11-30 2009-07-29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0915901B1 (ko) * 2007-10-09 2009-09-07 (주) 스카이시스템 벽걸이형 양변기의 물내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01B1 (ko) * 2007-10-09 2009-09-07 (주) 스카이시스템 벽걸이형 양변기의 물내림장치
KR100909725B1 (ko) * 2007-11-30 2009-07-29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439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553A (en) Toilet with folding lid
CN108005196B (zh) 一种洁身器底座及洁身器
KR200153906Y1 (ko) 비데의 물내림 조작장치
CN100458029C (zh) 一体式可折叠卫浴装置
CN101105051B (zh) 一种旋转式小便器
KR200335795Y1 (ko) 비데의 노즐 구조
CN111962627A (zh) 一种小便器
JP3124193U (ja) 収納式衛生器具
KR200218920Y1 (ko) 좌변기 비데장치
JP4302995B2 (ja) 流し台用給水栓及び流し台
CN217974655U (zh) 一种球形阀门式折叠马桶
JPH022788Y2 (ko)
CN219315924U (zh) 一种采用蒸汽清洗的拼接式自清洁马桶及其清洁系统
JPH0333810Y2 (ko)
CN214245979U (zh) 一种喷水体的水路切换结构和具有该结构的马桶
JPH04144Y2 (ko)
KR100779196B1 (ko) 좌변기 세척 기능을 갖는 비데
JPH0137013Y2 (ko)
JPH026147Y2 (ko)
KR19980063295U (ko) 양변기의 2단배수밸브 개폐장치
JP2007016438A (ja) 便器用の身体洗浄ユニット
CN118007765A (zh) 一种喷水口呈隐藏式的智能马桶
KR930001637Y1 (ko) 온수세정장치의 온수온풍조절장치
JPH07292739A (ja) 洗浄方式改良型洋風便器
CN2157237Y (zh) 轴臂式手动冲洗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