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185Y1 - 창문틀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창문틀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185Y1
KR200153185Y1 KR2019970020514U KR19970020514U KR200153185Y1 KR 200153185 Y1 KR200153185 Y1 KR 200153185Y1 KR 2019970020514 U KR2019970020514 U KR 2019970020514U KR 19970020514 U KR19970020514 U KR 19970020514U KR 200153185 Y1 KR200153185 Y1 KR 200153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ndow frame
horizontal
vertica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19U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19970020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8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틀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구에 의해 결합시키는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는 창틀이 삽입설치되는 제1 부재(61)와, 방충망틀이 삽입되는 제2 부재(63)로 나누어져,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늬와 색상이 다른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와 상기 연결구의 한쪽만 제작하여 창문틀을 조립하게 되므로, 창문틀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틀의 연결구
본 고안은 창문틀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틀(1)이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창문틀(1)의 내부에는 창틀(3, 3')이 개폐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창틀(3)의 내부에는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이 투시되도록 창유리(5, 5')가 삽입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창문틀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가 연결구(30)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의 내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창틀이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도록 다수의 안내레일부(11)(21)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각 안내레일부(11)(21)사이에는 다수의 요입공간(12)(22)이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재(10)와 수지부재(20)의 내부에는 중량을 줄임과 동시에 상기 연결구(30)의 후술하는 돌출코어가 삽입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0)의 안내레일부(11)에는 그 내부에 흘러든 물을 유입시키도록 다수의 배수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0)의 측부에는 상기 수평부재(10)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 코어(31a, 31b, 31c, 31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다수의 돌출코어(31a, 31b, 31c, 31d)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30)와 수평부재(10)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39)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멍(3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30)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부재(20)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33a, 33b, 33c, 33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33a, 33b, 33c, 33d)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30)와 수직부재(20)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39)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구멍(3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코어(31b, 31c)와 돌출코어(33b, 33c)가 이루는 내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안내레일부(11)와 안내레일부(21)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안내레일부(11)와 안내레일부(21)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높이 및 폭으로 된 돌출부(35a, 3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수직부재(10, 20)를 외측에서 밀착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30)의 측부 및 상부에는 상기 돌출코어(31a, 31c)(33a, 33c)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36a, 36b)(37a, 3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39)는 비스(VIS)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10) 및 수직부재(20)는 균일한 단면의 긴 부재이므로, 일정한 색상의 안료가 혼합된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함에 의해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0)는 금형에 일정한 색상의 안료가 혼합된 원료를 사출함에 의해 성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창문틀의 조립은, 상기 수평부재(10) 및 수직부재(20)의 단부의 저면이 상기 돌기(36a, 36b)의 상측면 및 상기 돌기(37a, 37b)의 우측면에 밀착하도록 수평부재(10) 및 수직부재(20)의 단부를 상기 연결구(30)의 돌출코어(31a, 31b, 31c, 31d) 및 돌출코어(33a, 33b, 33c, 33d)에 외삽한 후, 연결구(30)의 관통구멍(32)을 통해 체결부재(39)를 삽입하여 체결함과 동시에 연결구(30)의 관통구멍(34)을 통해 다른 체결부재(39)를 삽입하여 체결하면, 간단히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 창문틀은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무늬와 색상으로 제작되고 있으므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무늬와 색상이 바뀌면 이에 따라 연결구의 무늬와 색상도 바꾸어야 한다. 따라서, 무늬와 색상이 다른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이미 제작된 연결구를 폐기처분하고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와 같은 무늬와 색상의 연결구를 다시 제작해야 하므로 제조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늬와 색상이 다른 종류의 창문틀을 제작할 때에 이미 제작된 연결구를 활용하므로써, 제조비를 절감하는 창문틀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창문을 나타내는 입면도.
제2도는 종래 연결구가 적용된 창문틀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틀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구가 적용된 창문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연결구 61 : 제1 부재
63 : 제2 부재
본 고안에 의한 창문틀의 연결구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구에 의해 결합시키는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창틀이 삽입설치되는 제1 부재와, 방충망틀이 삽입되는 제2 부재로 나누어져,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면에는 서로 물려 이탈하지 않도록 사다리꼴 단면형의 삽입돌출띠과 삽입요입띠가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서로 밀착하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걸려 구속되도록 ㄷ형의 걸림턱과 구속요입부가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도시안됨)와 수직부재(도시안됨)을 연결하는 연결구(60)는 창틀이 삽입설치되는 제1 부재(61)와, 방충망틀이 삽입되는 제2 부재(63)가 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부재(61)의 수평부 측면에는 상기 수평부재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611, 612, 6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611, 612, 613)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부재(61)와 수평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멍(61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재(61)의 수직부 측면에는 상기 수직부재에 삽입되도록 다수의 돌출코어(615, 616, 6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코어(615, 616, 617)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부재(61)와 수직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멍(6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코어(612, 613)와 돌출코어(616, 617)가 이루는 내각의 모서리에는 수평, 수직부재의 안내레일부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이 안내레일부와 동일한 폭 및 높이로 된 돌출부(6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19)의 하측부에는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수구멍(6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수직부재를 외측에서 밀착지지하여 그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높이도록 상기 제1 부재(61)의 수평부 측면 및 수직부 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돌출코어(612, 613)(616, 617)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띠(621)(6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부재(61)의 앞면에는 상기 제2 부재(63)의 후술하는 삽입돌출띠가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요홈띠(623, 624)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63)의 후술하는 걸림턱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부재(61)의 앞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구속요입부(625)가 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63)의 수평부 측면에는 상기 제2 부재(63)와 수평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멍(631)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부재(61)의 수직부 측면에는 상기 제1 부재(63)와 수직부재를 서로 고정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멍(6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가 이루는 내각의 모서리에는 수평, 수직부재의 안내레일부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이 안내레일부와 동일한 폭 및 높이로 된 돌출부(6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33)의 하측부에는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수구멍(6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수직부재를 태그에서 밀착하여 그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밀착력을 높이도록 상기 제2 부재(63)의 수평부 측면 및 수직부 측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띠(635)(6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띠(635)(636)에는 방출망틀 등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요입홈(6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63)의 후면(제3도에서는 우측면)에는 상기 제1 부재(61)의 삽입요홈띠(623, 624)에 삽입되도록 삽입돌출띠(638)(639)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63)의 구속요입부(625)에 걸리도록 걸림턱(640)이 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요홈띠(623)(624) 및 삽입돌출띠(638)(639)은 서로 결합시에 창문틀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사다리꼴 단면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문틀의 연결구에서, 상기 제2 부재(63)의 삽입돌출띠(638)(639)를 제1 부재(61)의 좌측에서 상기 삽입요홈띠(623)(624)에 밀어 넣으면, 상기 걸림턱(640)이 구속요입부(625)에 걸려,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3)가 일체로 된다.
상기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3)의 수평부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띠(621)(635)는 상기 수평부재을 잡아주게 되어 그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상기 제1 부재(61) 및 제2 부재(63)의 수직부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띠(622)(636)는 상기 수직부재를 잡아주게 되어 그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창문틀의 연결구에 의하면, 무늬와 색상이 다른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와 상기 연결구의 한쪽만 제작하여 창문틀을 조립하게 되므로, 창문틀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구에 의해 결합시키는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는 창틀이 삽입설치되는 제1 부재(61)와, 방충망틀이 삽입되는 제2 부재(63)로 나누어져,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3)가 서로 밀착하는 면에는 서로 몰려 이탈하지 않도록 사다리꼴 단면형의 삽입돌출띠과 삽입요입띠가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3)가 서로 밀착하는 면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걸려 구속되도록 ㄴ형의 걸림턱과 구속요입부가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연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부재를 외측에서 밀착하여 그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밀착력을 높이도록 상기 제1, 제1 부재(61)(63)의 수평부 측면 및 수직부 측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띠(621)(622)(635)(6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연결구.
KR2019970020514U 1997-07-30 1997-07-30 창문틀의 연결구 KR200153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14U KR200153185Y1 (ko) 1997-07-30 1997-07-30 창문틀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14U KR200153185Y1 (ko) 1997-07-30 1997-07-30 창문틀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19U KR19990007019U (ko) 1999-02-25
KR200153185Y1 true KR200153185Y1 (ko) 1999-08-02

Family

ID=1950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514U KR200153185Y1 (ko) 1997-07-30 1997-07-30 창문틀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71B1 (ko) * 2017-11-06 2019-10-31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19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1984C (en) Waterproof slide fastener
US8105128B1 (en) Injection molded toy building element
CA2495701A1 (en) Waterproof slide fasten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SK7152000A3 (en) Window unit for mounting in a predefined opening of motor vehicles and such like
WO1997016353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6398003B1 (en) Escalator step
KR100438349B1 (ko) 버클
KR200153185Y1 (ko) 창문틀의 연결구
CA2153566A1 (en) Modular Shutter and Retention Assembly
KR200144935Y1 (ko) 창문틀의 연결장치
KR0144519B1 (ko)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분리형 하단 정지 조립체
KR200153305Y1 (ko) 창문틀의 연결장치
KR102201957B1 (ko) 도어트림과 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2034918B1 (ko) 하이브리드형 차량용 루프랙
JP3055106U (ja) テープ付き雌スナップ
KR0140473Y1 (ko) 통신기기의 분리형 가이드 레일
EP1245758B1 (en) Grating for overflow edge of swimming pools
CN216353079U (zh) 显示设备
KR102203055B1 (ko) 도어트림과 그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US20050133440A1 (en) Filt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86496B1 (ko) 냉장고용 강화유리선반
KR200144936Y1 (ko) 창틀
KR100427452B1 (ko) 파친코기
KR0134058Y1 (ko) 스마트 카드 케이스의 장착구조
KR200175017Y1 (ko) 양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