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783Y1 -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783Y1
KR200151783Y1 KR2019960043071U KR19960043071U KR200151783Y1 KR 200151783 Y1 KR200151783 Y1 KR 200151783Y1 KR 2019960043071 U KR2019960043071 U KR 2019960043071U KR 19960043071 U KR19960043071 U KR 19960043071U KR 200151783 Y1 KR200151783 Y1 KR 200151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ignal
end connected
outpu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991U (ko
Inventor
강영재
Original Assignee
조희재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재,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희재
Priority to KR2019960043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7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7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 H03D7/163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the local oscill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derived from a single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41Functional aspec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88Reduction of intermodulation, nonlinearities,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intercept points of harmonics or intermodulation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테나와, 초단 1차 및 2차 증폭기로 구성된 초단 증폭부와, 상기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킨 후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수정 발진기인 국부 발진기와, 90°이상기(phase shifter)와, 복조부로 구성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초단 증폭부를 2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국부 발진수단으로 발진 주파수 조정 및 불요파 제거가 가능한 수정 발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447.2625MHz ∼ 447.8500MHz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질 수 있어 대한민국 전파법의 위반 없이 무선 조정 시스템과 안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국부 발진수단이 수정 공진자와 온도 보상용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30℃ ∼ 80℃의 넓은 동작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발진을 할 수 있어 차량과 같이 동작 온도 범위가 넓은 곳에도 작동 에러의 유발 없이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본 고안은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47.2625MHz ∼ 447.8500MHz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고, -30℃ ∼ 8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조정 시스템은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 송신장치에서 송출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수신장치와, 상기 무선 수신장치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피 조정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피 조정장치로는 자동 문 제어장치, 점등 제어장치, 차량 시동장치 등이 있는데, 예를 들어 차량 시동장치의 경우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던 무선 송신장치를 작동시키면 차량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있던 무선 수신장치가 무선 송신장치에서 송출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차량 시동장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은 자동으로 걸리게 된다.
또한, 안전 시스템은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 송신장치에서 송출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수신장치와, 상기 무선 수신장치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위험 발생을 알려주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장치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안전 시스템은 귀중품 보관 장소 등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장치에서 송출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가 침입자에 의해 차단될 때 경보음 발생장치가 무선 수신장치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음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중 하나인 직접 변환(direct conversion) 무선 수신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출되는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1)와, 상기 안테나(51)를 통해 수신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초단 증폭기(52)와, 발진 모드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국부 발진기(53)와, 상기 국부 발진기(5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90°만큼 늦춰서 출력하는 90°이상기(phase shifter, 54)와, 상기 국부 발진기(53)와 90°이상기(54)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초단 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변조신호를 기저대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한 다음 복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조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복조부(60)는 초단 증폭기(52)의 출력 신호와 국부 발진기(53)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I - 신호(기저대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혼합기(61)와, 상기 초단 증폭기(52)의 출력 신호와 90°이상기(54)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Q - 신호(기저대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혼합기(62)와, 상기 제 1 혼합기(61)에서 출력되는 I -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채널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1 채널 여파기(63)와, 상기 제 2 혼합기(62)에서 출력되는 Q -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채널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2 채널 여파기(64)와, 상기 제 1 채널 여파기(6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하여 증폭시키는 제 1 제한 증폭기(limiting amplifier, 65)와, 상기 제 2 채널 여파기(6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하여 증폭시키는 제 2 제한 증폭기(66)와, 상기 제 1, 2 제한 증폭기(65, 6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상을 참조하여 복조하는 검파기(detector, 67)와, 상기 검파기(6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 증폭시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제한 증폭기(6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무선 송신장치에서 변조신호가 송출되면 안테나(51)가 그 신호를 수신하여 초단 증폭기(52)로 출력하고, 상기 초단 증폭기(52)는 안테나(51)를 통해 수신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제 1, 2 혼합기(61, 62)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에서 제 1 혼합기(61)는 초단 증폭기(52)의 출력 신호와 국부 발진기(53)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I - 신호를 제 1 채널 여파기(63)로 출력하고, 제 2 혼합기(62)는 초단 증폭기(52)의 출력 신호와 국부 발진기(53)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Q - 신호를 제 2 채널 여파기(64)로 출력한다.
그 후, 상기 제 1, 2 채널 여파기(63, 64)는 I - 신호와 Q -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설정된 채널의 주파수 신호만 통과시켜 제 1, 2 제한 증폭기(65, 66)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2 제한 증폭기(65, 66)는 제 1, 2 채널 여파기(63, 64)의 출력 신호를 각각 제한 증폭시켜 검파기(67)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검파기(67)는 제 1, 2 제한 증폭기(65, 66)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상을 참고하여 복조한 다음 제 3 제한 증폭기(68)로 복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3 제한 증폭기(68)는 검파기(67)의 출력 신호를 제한 증폭시켜 피 조정장치(도시되지 않음)나 경보음 발생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무선 조정 시스템과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는 대한민국 전파법에 할당된 특정 주파수 대역 즉, 무선 조정 시스템의 경우 447.6000MHz∼447.8500MHz 주파수 대역, 안전 시스템의 경우 447.2625MHz∼447.5625MHz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는 447.2625MHz∼447.85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적절한 기능블록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며, 특히 협대역 주파수 변조 통신을 실현하지 못하여 대한민국 전파법에 위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는 -30℃∼8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등과 같이 동작 온도 범위가 넓은 장소에 적용될 경우 온도에 따라 작동 에러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447.2625MHz ∼ 447.8500MHz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고, -30℃ ∼ 8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주파수대 온도 특성을 가지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접 변환(direct conversion) 무선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정 발진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초단 증폭부
2a: 초단 1차 증폭기 2b: 초단 2차 증폭기
3 : 수정 발진기 4 : 90°이상기(phase shifter)
10: 복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는 무선 송신장치에서 송출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초단 증폭부와, 발진 모드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국부 발진기와, 상기 국부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90°만큼 늦춰서 출력하는 90°이상기(phase shifter)와, 상기 국부 발진기와 상기 90°이상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초단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변조신호를 기저대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한 다음 복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조부로 구성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단 증폭부는 상기 국부 발진기의 출력 신호가 상기 안테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초단 1차 증폭기와, 상기 안테나와 상기 초단 1차 증폭기를 거쳐 입력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복조부로 출력하는 초단 2차 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국부 발진기는 상기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킨 후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수정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단 1차 증폭기는 7dB의 순방향이득 특성과 -20dB의 역방향이득 특성을 가지고 LNA로 구성되며, 상기 초단 2차 증폭기는 13dB의 순방향이득 특성과 -10dB의 역방향이득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정 발진기는 수정 공진자와 온도 보상용 소자와 발진 주파수 조정용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발진 모드를 결정하는 부하부와, 상기 부하부에 의해 결정된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에서 발생된 고조파 중 3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필터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조파 중 총 4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출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와, 상기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초단 증폭부(2)와,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킨 후 불요파를 제거하여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정 발진기(3)와, 상기 수정 발진기(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90°만큼 늦춰서 출력하는 90°이상기(4)와, 상기 수정 발진기(3)와 90°이상기(4)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초단 증폭부(2)에서 출력되는 변조신호를 기저대 신호로 변환한 다음 복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조부(10)로 구성된다.
상기 초단 증폭부(2)는 LNA로 구성되어 수정 발진기(3)의 출력 신호가 안테나(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초단 1차 증폭기(2a)와, 상기 안테나(1)와 상기 초단 1차 증폭기(2a)를 거쳐 입력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복조부(10)로 출력하는 초단 2차 증폭기(2b)로 구성된다.
상기 복조부(10)는 초단 2차 증폭기(2b)의 출력 신호와 수정 발진기(3)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I - 신호(기저대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혼합기(11)와, 상기 초단 2차 증폭기(2b)의 출력 신호와 90°이상기(4)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Q - 신호(기저대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혼합기(12)와, 상기 제 1 혼합기(11)에서 출력되는 I -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채널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1 채널 여파기(13)와, 상기 제 2 혼합기(12)에서 출력되는 Q - 신호 중 설정된 주파수 채널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제 2 채널 여파기(14)와, 상기 제 1 채널 여파기(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하여 증폭시키는 제 1 제한 증폭기(15)와, 상기 제 2 채널 여파기(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하여 증폭시키는 제 2 제한 증폭기(16)와, 상기 제 1, 2 제한 증폭기(15, 1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상을 참조하여 복조하는 검파기(17)와, 상기 검파기(1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 증폭시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제한 증폭기(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정 발진기(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에 따른 주파수 특성이 -30℃ ∼ 80℃에서 Q10PPM 이하인 수정 공진자(X1)와 온도 보상용 소자(C1)와 발진 주파수 조정용 소자(TC1)를 포함하여 발진 모드를 결정하는 부하부(3a)와, 상기 부하부(3a)에 의해 결정된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발진부(3b)와, 상기 발진부(3b)에서 발생된 고조파 중 3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필터부(3c)로 구성되어 상기 고조파 중 총 4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90°이상기(4)와 제 1 혼합기(11)로 각각 출력한다.
즉, 상기 수정 발진기(3)는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데 상기 고조파 중 복조부(10)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고조파는 모두 잡음이기 때문에 상기 잡음(불요파)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부(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부하부(3a)는 일단이 접지와 연결된 코일(L1)과, 상기 코일(L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방지하는 온도 보상용 커패시터(C1)와, 상기 온도 보상용 커패시터(C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발진 주파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조정용 가변 커패시터(TC1)와, 상기 주파수 조정용 가변 커패시터(TC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발진부(3b)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수정 공진자(X1)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발진부(3b)는 부하부(3a)의 출력단 즉, 수정 공진자(X1)의 타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1)와, 전원(Vcc)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저항(R1)과, 상기 제 1 저항(R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2 저항(R2)과, 상기 제 1 저항(R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1 코일(L2)과, 상기 제 1 코일(L2)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커패시터(C2)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2 커패시터(C3)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제 2 코일(L3)과, 상기 제 2 코일(L3)과 병렬로 연결된 제 3 커패시터(C4)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3c)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4 커패시터(C5)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필터부(3c)는 발진부(3b)의 출력단 즉, 제 4 커패시터(C5)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제 1 코일(L4)과, 상기 제 1 코일(L4)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커패시터(C6)와, 상기 제 1 코일(L4)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90°이상기(4)의 입력단과 제 1 혼합기(11)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2 코일(L5)과, 상기 제 2 코일(L5)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커패시터(C7)와, 상기 제 2 코일(L5)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제 3 코일(L6)과, 상기 제 3 코일(L6)과 병렬로 연결된 제 3 커패시터(C8)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초단 증폭부(2)와 수정 발진기(3) 및 90°이상기(4)의 기능블록 특성은 아래 표 1와 같다.
표 1 초단 증폭부, 수정 발진기, 90°이상기의 기능블록 특성
기 능 블 록 초단 1차 증폭기 초단 2차 증폭기 국부 발진기 90°이상기
순방향이득(dB) 7 13 · ·
역방향이득(dB) -20 -10 · ·
입력전력(dBm) -123 -116 -103 -103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조정 시스템이나 안전 시스템의 무선 송신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출된 변조신호는 무선 수신장치의 안테나(1)와 초단 1차 증폭기(2a)를 거쳐 초단 2차 증폭기(2b)로 입력되고, 상기 초단 2차 증폭기(2b)는 입력받은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제 1, 2 혼합기(11, 12)로 각각 출력한다.
한편, 수정 발진기(3)는 부하부(3a)에 의해 결정된 발진 모드에 따라 발진부(3b)가 신호대비 불요파가 약 10dBc 인 고조파를 발생시키면 필터부(3c)가 상기 고조파 중 3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총 40dBc 이상의 불요파가 제거된 신호를 90°이상기(4)와 제 1 혼합기(11)로 각각 출력하므로 결국 수신 감도의 향상을 초래한다.
상기에서 제 1 혼합기(11)는 초단 2차 증폭기(2b)의 출력 신호와 수정 발진기(3)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I - 신호를 제 1 채널 여파기(13)로 출력하고, 제 2 혼합기(12)는 상기 초단 2차 증폭기(2b)의 출력 신호와 90°이상기(4)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Q - 신호를 제 2 채널 여파기(14)로 출력한다. 이 때, 역방향이득 특성이 큰 초단 1차 증폭기(2a)는 수정 발진기(3)의 세력이 안테나(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 후, 상기 제 1, 2 채널 여파기(13, 14)는 I - 신호와 Q -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설정된 채널의 주파수 신호만 통과시켜 제 1, 2 제한 증폭기(15, 16)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2 제한 증폭기(15, 16)는 제 1, 2 채널 여파기(13, 14)의 출력 신호를 각각 제한 증폭시켜 검파기(17)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검파기(17)는 제 1, 2 제한 증폭기(15, 16)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상을 참고하여 복조한 다음 제 3 제한 증폭기(18)로 복조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3 제한 증폭기(18)는 검파기(17)의 출력 신호를 제한 증폭시켜 피 조정장치(도시되지 않음)나 경보음 발생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초단 증폭부(2)와 수정 발진기(3)와 90°이상기(4)가 상기 표 1과 같은 특성을 가지면 447.2625MHz ∼ 447.8500MHz 주파수 대역에서 -123dBm 의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초단 증폭부를 2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국부 발진수단으로 발진 주파수 조정 및 불요파 제거가 가능한 수정 발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447.2625MHz ∼ 447.8500MHz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질 수 있어 대한민국 전파법의 위반 없이 무선 조정 시스템과 안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국부 발진수단이 수정 공진자와 온도 보상용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30℃ ∼ 80℃의 넓은 동작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발진을 할 수 있어 차량과 같이 동작 온도 범위가 넓은 곳에도 작동 에러의 유발 없이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선 송신장치에서 송출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초단 증폭부와, 발진 모드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국부 발진기와, 상기 국부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90°만큼 늦춰서 출력하는 90°이상기(phase shifter)와, 상기 국부 발진기와 상기 90°이상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초단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변조신호를 기저대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한 다음 복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조부로 구성된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단 증폭부는 상기 국부 발진기의 출력 신호가 상기 안테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초단 1차 증폭기와, 상기 안테나와 상기 초단 1차 증폭기를 거쳐 입력된 변조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복조부로 출력하는 초단 2차 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국부 발진기는 상기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킨 후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수정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 1차 증폭기는 7dB의 순방향이득 특성과 -20dB의 역방향이득 특성을 가지고, 상기 초단 2차 증폭기는 13dB의 순방향이득 특성과 -10dB의 역방향이득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 1차 증폭기는 LN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발진기는 수정 공진자와 온도 보상용 소자와 발진 주파수 조정용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발진 모드를 결정하는 부하부와, 상기 부하부에 의해 결정된 발진 모드에 해당되는 주파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에서 발생된 고조파 중 3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필터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조파 중 총 40dBc 이상의 불요파를 제거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부는 일단이 접지와 연결된 코일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방지하는 온도 보상용 커패시터와, 상기 온도 보상용 커패시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발진 주파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조정용 가변 커패시터와, 상기 주파수 조정용 가변 커패시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발진부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상기 수정 공진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상기 부하부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와, 전원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2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1 코일과, 상기 제 1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이미터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제 2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제 3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4 커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발진부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제 1 코일과, 상기 제 1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제 1 코일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90°이상기의 입력단과 상기 복조부의 입력단에 타단이 연결된 제 2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제 2 코일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제 3 코일과, 상기 제 3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제 3 커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KR2019960043071U 1996-11-28 1996-11-28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KR200151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71U KR200151783Y1 (ko) 1996-11-28 1996-11-28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71U KR200151783Y1 (ko) 1996-11-28 1996-11-28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91U KR19980029991U (ko) 1998-08-17
KR200151783Y1 true KR200151783Y1 (ko) 1999-07-15

Family

ID=1947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071U KR200151783Y1 (ko) 1996-11-28 1996-11-28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7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934B1 (ko) * 1999-08-27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에서의 링크 계층의 오류 제어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91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786B1 (en) Adaptive receiver system that adjusts to the level of interfering signals
KR920001946A (ko) 텔레비젼 신호 수신 튜닝방식 및 회로
US5722062A (en) Linear receiver having dual automatic gain control loops
CA2148673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GB2312344A (en) Control of amplifier in spread spectrum receiver in dependence on RSSI and on detection of carrier/packet edge
KR960015573B1 (ko) 시간 영역 듀플렉스 송수신기용 과도현상 억제 회로
US6104745A (en) Transceiver for performing time division full duplex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KR100213301B1 (ko) 휴대전화기의 수신회로용 ic
JP2002094398A (ja) バンドエッジ振幅低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251387B1 (ko) 피드 포워드 리니어라이져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수신회로
KR200151783Y1 (ko)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장치
AU1857999A (en) Radio transmitter/receiver
JPH07231273A (ja) 衛星放送受信用チューナ
US20050143031A1 (en) Multi-band receiver
GB2277650A (en) High frequency amplifier
US20020094796A1 (en) Phase detector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6026114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of time division full-duplex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JP2001119316A (ja)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受信機
JP3753050B2 (ja) 通信装置
US6169447B1 (en) Stabilization of passband active filters
KR100196402B1 (ko) 무선 조정 시스템 및 안전 시스템의 무선 수신기
JPH10276112A (ja) ラジオ受信機
KR0140678B1 (ko) 위성방송용 중계기의 국부발진회로
KR100357858B1 (ko) 주파수천이키잉 변복조 수행 무선통신기기의 송수신 장치
KR19980084235A (ko) 무선 단말기의 송신전력증폭 특성의 선형성 유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