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629Y1 - 절수 장치 - Google Patents

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629Y1
KR200150629Y1 KR2019960017007U KR19960017007U KR200150629Y1 KR 200150629 Y1 KR200150629 Y1 KR 200150629Y1 KR 2019960017007 U KR2019960017007 U KR 2019960017007U KR 19960017007 U KR19960017007 U KR 19960017007U KR 200150629 Y1 KR200150629 Y1 KR 200150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wage
toilet
tank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60U (ko
Inventor
이용국
Original Assignee
이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국 filed Critical 이용국
Priority to KR2019960017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629Y1/ko
Publication of KR980003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또는 허드렛물을 수세식 변기의 세척 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절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수세식 변기는 상수도 관과 직접 연결되어 오물을 세척시키는 세척 수를 식수인 수도물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이는 변기의 세척에 필요 이상으로 깨끗한 물을 사용함은 물론 매사용 시마다 수조 내의 물을 모두 배출시키며 오물을 세척함에 따라 변기의 세척 수로 낭비되는 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였던 바, 본 고안은 생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통(10)과, 집수통에 집수된 하수를 이송시키는 펌프(P)와, 펌프로 부터 이송관(32)를 통하여 공급된 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30)와, 물탱크의 배출관(38)에 연결되어 변기(5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선택 밸브(40)로 구성되는 절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또는 허드렛물을 변기 세척 수로 사용할 수 있어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절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 장치를 도시한 계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저장 탱크 세척 장치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통 20 : 집수 감지수단
21 : 리밋트스위치 30 : 물탱크
31 : 오버플로밸브 32 : 이송관
35 : 분사노즐 38 : 배출관
40 : 세척수선택밸브 50 : 변기
100 : 상수도관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또는 허드렛물을 수세식 변기의 세척 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절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는 산업과 생활의 향상으로 물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고 있으나 날로 심각 해저만 가는 환경의 오염과 기상의 이변 등으로 수자원이 오염되고 고갈되어 가는 실정으로 수자원의 관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상생활 중에 발생되는 생활 하수는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한 하수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면 또는 세수를 한 물, 세탁기를 사용하고 발생되는 물, 샤워를 하면서 욕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 주방에서 설겆이를 하면서 발생되는 물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생활하수중에서도 특히 욕실에서 발생되는 하수는 극히 양호한 수질의 하수로써, 재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은 것이나 이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것은 큰 손실이 않일 수 없다.
종래에 있어서의 수세식 변기는 상수도 관과 직접 연결되어 오물을 세척시키는 세척 수를 식수인 수도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이는 변기의 세척에 필요 이상으로 깨끗한 물을 사용함은 물론 매사용 시마다 수조 내의 물을 모두 배출시키며 오물을 세척함에 따라 변기의 세척 수로 낭비되는 물의 량이 가히 엄청난 량인 것이다. 이에 세척 수를 절약하고자 수조 내부에 벽돌 등을 넣어 수조에 담수되는 물의 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시도되고는 있으나 그 량이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번 사용되고 벌려지는 생활 하수를 변기의 세척 수로 재활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생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통과, 집수통에 집수된 하수를 이송시키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이송 공급된 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와, 물탱크의 배출 관에 연결되어 변기로 공급되는 세척 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선택밸브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생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통(10)과, 집수통(10)에 집수된 하수를 이송시키는 펌프(P)와, 펌프(P)로 부터 이송관(32)을 통하여 공급된 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30)와, 물탱크(30)의 배출관(38)에 연결되어 변기(50)로 공급되는 세척 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선택 밸브(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수통(10)에는 집수되는 생활 하수의 유입을 감지하여 펌프(P)에 구동 신호를 인가시키는 집수감지수단(20)을 설치시키며, 집수 감지 수단(20)으로는 집수통(10)의 하부와 상부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시켜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펌프(P)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집수통(10)의 바닥에 리밋트스위치(21)를 설치시켜 집수되는 하수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탱크(30)의 상부에 물탱크의 만조시 저장되는 물을 하수관으로 토출시킬 수 있게 하는 오버플로밸브(31)를 설치시키고 물탱크(30)의 내부에는 세척 장치(60)를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척 장치(60)는 펌프(P)로 부터 물탱크(30)에 연결되는 이송관(32)을 물탱크(3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설치시키고 물탱크(3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이송관(32)에 다수의 분사 노즐(35)을 설치시켜 펌프(P)의 펌핑동작으로 공급되는 세척 수가 물탱크(30)내부 면에 분사되게 하여 물탱크 내부를 세척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수통(10)을 생활 하수의 집수가 용이한 곳 즉, 세면대의 하부 또는 욕실의 하수구 등과 같은 곳에 설치시키고 수세식 변기(50)의 수조 상부에 물탱크(30)를 설치시키며 물탱크의 배출 관(38)은 변기(50)의 세척수 인입관과 연결시키되, 배출관(38)에 설치되는 세척수선택밸브(40)에 상수도 관(100)을 연결시켜 변기(50)로 공급되는 세척 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절수 장치는 욕실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예를 들어 샤워를 하는 동안에 욕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이 하수구 쪽으로 흘러들어 집수통(10)으로 유입되면 집구통(10)의 바닥에 설치된 리밋트스위치(21)가 집수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하여 온 동작됨에 따라 펌프(P)에 전원을 인가시켜 펌프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의하여 집수통(10)에 집수된 하수가 물탱크(30)로 이송 공급되어 저장되다가 변기(50)를 사용하고 오물을 세척하고자 세척 수를 흘리게 되면 변기수조의 플로트밸브(float valve)가 열리면서 물탱크(30)에 저장되었던 생활 하수가 인입관을 통하여 변기의 수조 내로 유입되어 다음의 세척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세척수선택밸브(40)는 물탱크(30)와 연통 됨은 물론이고 상수도관로(100)는 차단된 상태를 이루며 물탱크(30)내의 저장된 하수가 없을 경우에는 상수도 관(100)의 물을 세척 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물탱크 내부를 세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집수통(10)의 내부로 세제가 용해된 물을 유입시키게 되면 하수의 집수동작과 동일하게 펌프(P)가 작동되어 세척 수를 물탱크(30)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세척수는 물탱크(30)의 내부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이송관(32)의 노즐(35)을 통하여 세척 수를 분사시켜 대향되는 벽면의 오물을 세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물탱크(3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펌프(P)의 출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세척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 장치에 의하면,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또는 허드렛물을 변기 세척 수로 사용할 수 있어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연 환경 또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생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통(10)과, 집수통(10)에 집수된 하수를 이송시키는 펌프(P)와, 펌프(P)로 부터 이송관(32)을 통하여 공급된 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30)와 물탱크(30)의 배출관(38)에 연결되어 변기(50)로 공급되는 세척 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선택 밸브(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펌프(P)로 부터 물탱크(30)에 연결되는 이송관(32)을 물탱크(30)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설치시키고, 물탱크(30)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 이송관(32)에 다수의 분사노즐(35)을 설치시켜 물탱크 세척 장치(60)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장치.
KR2019960017007U 1996-06-22 1996-06-22 절수 장치 KR200150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007U KR200150629Y1 (ko) 1996-06-22 1996-06-22 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007U KR200150629Y1 (ko) 1996-06-22 1996-06-22 절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60U KR980003160U (ko) 1998-03-30
KR200150629Y1 true KR200150629Y1 (ko) 1999-07-01

Family

ID=1945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007U KR200150629Y1 (ko) 1996-06-22 1996-06-22 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6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854A (ko) * 2001-08-22 2002-05-09 신재완 절수형 세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6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1788C (zh) 家用节约回水装置
KR100929478B1 (ko) 욕실 내 사용수를 변기용 세정수로 재사용하기 위한 집수장치
US11952765B2 (en) Water reuse device for reusing water used in the bathroom as water for toilets with flush valves
KR200150629Y1 (ko) 절수 장치
CN108149756B (zh) 一种家庭污水处理重利用装置
CN203284840U (zh) 一种智能型源头二次回用水识别及排水装置
CN201103148Y (zh) 一种废水再利用装置
KR100332634B1 (ko)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101907308B1 (ko) 생활폐수를 재활용하는 수세식 변기
CN206308735U (zh) 双阀洗手池净水回收装置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KR200166030Y1 (ko) 절수식 화장실구조
KR200216987Y1 (ko) 절수장치
KR200247255Y1 (ko)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CN215253197U (zh) 一种洗面台节水装置
KR200318053Y1 (ko) 수세식 변기 세정을 위한 재활용 하수 공급장치
KR20000020654U (ko) 오수 재활용 저장 물탱크
CN212772652U (zh) 一种适用于家庭卫生间的新型节水装置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169071Y1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장치에 있어서 저장탱크 자동 수위조절구조
CN206581330U (zh) 浴室节水设备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CN213390378U (zh) 一种适用于上排水式洗衣机废水回收利用装置
CN203296123U (zh) 一种家用节水装置
KR200280007Y1 (ko) 중수 재활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