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477Y1 -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477Y1
KR200150477Y1 KR2019960028489U KR19960028489U KR200150477Y1 KR 200150477 Y1 KR200150477 Y1 KR 200150477Y1 KR 2019960028489 U KR2019960028489 U KR 2019960028489U KR 19960028489 U KR19960028489 U KR 19960028489U KR 200150477 Y1 KR200150477 Y1 KR 200150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p cover
locking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274U (ko
Inventor
성기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28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477Y1/ko
Priority to TW086112811A priority patent/TW353742B/zh
Priority to MYPI97004105A priority patent/MY120948A/en
Priority to JP9259267A priority patent/JPH10108102A/ja
Priority to US08/925,191 priority patent/US5934772A/en
Publication of KR19980015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금형 및 부품사출 생산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리어카바를 카바 본체와 톱카바의 2개로 된 분할부품으로 분리하여 각기의 부품 생산후 조립시켜 하나의 리어카바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카바 본체와 톱카바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런트 카바에 형합되는 리어카바본체와, 상기 리어카바본체의 후미상단부에 결합되는 톱카바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 그들이 톱카바 선단 양측에 가진 걸림스냅이 카바본체의 스냅공으로 삽입되어 걸림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프런트록킹 수단과, 톱카바 양측의 걸림리브가 카바본체의 텐션스냅을 통과하여 걸리게 되는 사이드록킹수단 및 톱카바가 가지는 록킹리브가 카바본체의 걸림스냅을 통과하여 걸림되는 리어록킹수단과, 톱카바의 결합테두리부에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카바본체의 결합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정위치결합홈공에 삽입되는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록킹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본 고안은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외관 디자인에 따른 금형 및 부품사출생산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리어카바를 2개의 분할부품으로 분리하여 각기의 부품 생산후 조립시켜 하나의 리어카바로 이용하는 것과,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의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프런트카바(1)와, 상기 프런트 카바(1)에 결합되는 음극선관(2)과, 음극선관(2)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회로기판(3)과, 상기 프런트카바(1)에 형합되는 리어카바(5)로 구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모니터의 리어카바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제품의 후미부분을 커버하고 부품보호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대개는 그 형태가 프런트카바와 결합되는 부분보다 그 반대편 형상이 점점 좁아지게 되어있다.
그것은, 음극선관에 네크부에 설치되는 부품, 즉 비디오 회로기판(6)과 이것을 쉴드하는 쉴드케이스(7)가 설치되는 것뿐이기 때문에 화면이 노출되는 프런트케이스보다는 리어카바의 프런트 카바와 결합되는 부의 반대편의 형태가 작게 구성되고, 리어카바를 하나의 단일 몸체로 제조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반대편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좁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제품의 기능추가에 따른 비데오회로기판 및 쉴드케이스의 크기확대 및 기타부품의 추가로 인한 리어케이스의 크기를 크게할 필요성 및 금형 등의 제작여건에 제약받지 않는 혁신적인 디자인의 필요성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리어카바를 기존과 동일한 형태로 제조하여 채용하는 경우에는 리어카바 자체가 프런트카바와 비등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가 초래되므로서 제품디자인의 저해성이 야기되는 문제가 따랐고, 생산성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목표로 리어카바를 단일 금형으로 제작하려다 보니 제품 디자인시 많은 제약이 따른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모니터에 있어서는 외관의 미려성이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프런트카바와 리어카바의 크기가 비등한 경우에 있어서는 투박한 외관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안정성 저하 및 상품성저하를 야기하게 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 고안은 모니터의 외관적인 안정성이 도모되도록 하면서도 수려한 미관을 가지 도록 하는 리어카바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리어카바를 구성하는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모니터의 구현과 상기 리어카바와 탑카바가 견고하고 수월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어카바가 프런트카바에 형합되는 리어카바본체와, 상기 리어카바본체의 후미상단부에 결합되는 톱카바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 그들이 톱카바 선단 양측에 가진 걸림스냅이 카바본체의 스냅공으로 삽입되어 걸림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프런트록킹수단과, 톱카바 양측의 걸림리브가 카바본체의 텐션스냅을 통과하여 걸리게 되는 사이드록킹수단 및 톱카바가 가지는 록킹리브가 카바본체의 걸림스냅을 통과하여 걸림되는 리어록킹수단과, 톱카바의 결합테두리부에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카바본체의 결합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정위치결합홈공에 삽입되는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록킹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모니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모니터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카바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카바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카바의 록킹수단이 보이도록 일부 절개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록킹수단을 보인 요부 분리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록킹수단에 의한 결합을 보인 평단면분리도 및 결합도,
도 8A 및 8B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록킹수단을 보인 요부 분리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카바가 채용된 상태의 모니터 전체단면도,
도1 0은 도 9에 따른 모니터의 일측면을 보인 외관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의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카바 11 : 카바본체
12 : 톱카바 13,14 : 결합테두리부
20 : 프런트록킹수단 21 : 스냅공
22 : 걸림스냅 23 : 걸림부
30 : 사이드록킹수단 31 : 텐션스냅
32 : 걸림리브 40 : 리어록킹수단
41 : 걸림스냅 42 : 록킹리브
50 : 결합수단 51 : 정위치결합홈공
52 : 결합돌부 61 : 열방출 구멍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고안에 따른 리어카바(10)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리어카바(10)는 리어카바본체(이하카바본체라고약칭함)(11)와 이 카바본체(11)에 형합되는 톱카바(12)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상기 카바본체(11)는 후미부(11a)가 상부방향으로 약간 돌출되는 구성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카바본체(11)의 후미상단부(11b)는 모니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탑카바에 의해 가려진다. 또한 톱카바(12)는 상기 카바본체(11)의 후미상단부(11b)를 가리게 결합되며 카바본체(11)의 후미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방출되는 열을 방출하는 상기 구멍보다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톱카바(12)와 결합하기 위한 프런트록킹수단(20)과, 사이드록킹 수단(30) 및 리어록킹수단(40)과, 결합수단(50)등이 카바본체(10)와 톱카바(12)에 구비된다.
이들의 프런트록킹수단(20)은, 카바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냅공(21) 으로 톱카바(12)의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스냅(22)이 삽입되어 카바 본체(11) 내면에 구비하는 걸림부(23)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이드록킹수단(30)은, 카바본체(11)의 양측으로 한쌍의 텐션스냅(31)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스냅(31)을 톱카바(12)의 사이드내면부에 구비하는 걸림리브(32)가 상기 텐션스냅(31)을 밀고 지나가도록하여 걸림리브(32)가 텐션스냅(31)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리어록킹수단(40)은, 카바본체(11)의 걸림스냅(41)이 톱카바(12)의 내면쪽에 형성되는 록킹리브(42)의 리브턱(42a)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카바본체(11)와 톱카바(12)의 결합에 있어서는 그들의 결합테두리부(13)(14)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정위치결합홈공(51)으로 결합돌부(52)가 삽입되는 상태로 형합되는 결합수단(50)에 의해 정위치의 결합이 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고안에 따른 카바본체(11)와 톱카바(12)의 형합과정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톱카바(12)는 카바본체(11)의 후미부로부터 선측방향으로 밀어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에 있어 본고안은 먼저 프런트록킹수단(20)의 걸림스냅(22)를 스냅공(21)에 끼울수 있는 위치로 하면서, 동시에 결합수단(50)의 정위치결합홈공(51)에 결합돌부(52)가 삽입될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음 톱카바(12)를 카바본체(11)쪽으로 밀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에따라 프런트록킹수단(20)과, 사이드록킹수단(30), 그리고 리어록킹수단(40)과, 결합수단(50)이 동시에 그들의 록킹작용을 하는것으로서, 다음은 각각의 록킹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프런트록킹수단(20)은 걸림스냅(22)이 스냅공(21) 으로 삽입되어 걸림부(23)에 걸리게 되므로서 톱카바(12)의 선단 양측부가 카바본체(11)에 록킹되는 것이다.
사이드록킹수단(30)은, 도 6과 도 7A 및 도 7B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록킹수단에 있어서는 톱카바(12)가 선측방향(A 방향)으로 가압되어 결합되는 힘에 의해 톱카바(12)의 걸림리브(32)가 카바본체(11)의 텐션스냅(31)을 밀고 지나 가게 된다.
그에따라, 상기 텐션스냅(31)은 걸림리브(32)의 밀음력에 의해 내측으로 휘어지는 상태가 되므로서 걸림리브(32)가 텐션스냅(31)을 통과하게 되고, 아울러서 완전히 통과하면 텐션스냅(31)의 자체 탄력에 의해 원위치의 상태로 복귀되고, 그로인해 걸림리브(32)가 텐션스냅(31)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서 다시 후미방향으로 빠져 나올수 없는 상태로 록킹되게 되는 것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고안에 따른 리어록킹수단을 보여준다. 이 리어록킹수단(40)은 톱카바(12)의 록킹리브(42)가 걸림스냅(41)을 밀고 지나가게 되고, 그것이 완전히 통과하면 눌림되었던 걸림스냅(41)이 원위치로 텐션적인 복귀가 되어 록킹 리브(42)의 리브턱(42a)에 걸림스냅(41)이 걸리게 되는 록킹이 된다.
도3의 결합수단(50)은, 카바본체(11) 및 톱카바(12)의 결합테두리부(13)(14)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톱카바(12)의 결합돌부(52)가 카바본체(11)의 정위치결합홈공(51)에 삽입되는 결합이 되면, 톱카바(12)의 결합테두리부(14)가 카바본체(11)의 결합테두리부(13)에 밀착되는 결합과 아울러서 그들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모든 록킹수단과 결합수단은 톱카바를 카바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에 거의 동시적으로 록킹되고 결합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결합된 톱카바(12)는 일단 조립되면 다시 분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아프터써비스나 기타 필요에 의해서 분리가 필요로 되는때는 프런트카바(1)로부터 리어카바(10) 자체를 분리하게 된다.
도 11은 본고안에 따른 다른형태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 경우에 있어서는 리어카바(100)가 카바본체(110)와 톱카바(120)를 가지게 되지만, 상기 카바본체(110)의 후미부(110a)(도시되지 않음)가 위로 올라간 형태가 아니고 수평 또는 아래로 약간 내려간 상태로하여 리어카바(100)의 구성이 되도록 된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리어카바를 제공하는데 있어 상기 리어카바를 2개의 분할부품으로 분리하여 각기의 부품생산후 조립되는 카바본체와 톱카바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는 효과 및 제품의 디자인시 따르는 제약조건들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디자인을 가능하게하며 다양하고 수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리어카바에 있어 카바본체와 톱카바의 색상을 달리 하게 할수 있게 하므로 제품의 디자인개선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프런트카바에 음극선관이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카바에 형합되어 음극선관을 커버하는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카바에 형합되는 리어카바본체와, 상기 리어카바본체의 후미상단부에 결합되는 톱카바를 가진 리어카바를 구성하여프런트카바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가, 프런트록킹수단과, 사이드록킹수단과, 리어록킹수단 및 결합수단에 의해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록킹수단을, 톱카바 선단 양측에 가진 걸림스냅이 카바본체의 스냅공으로 삽입되어 걸림부에 걸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록킹수단을, 톱카바 양측의 걸림리브가 카바본체의 텐션스냅을 통과하여 걸리게 되는 록킹이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록킹수단을, 톱카바가 가진 록킹리브가 카바본체의 걸림스냅을 통과하여 걸림되는 록킹이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을 카바본체와 톱카바의 선측에 형성되는 결합테두리부에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7. 제 2 항과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을, 톱카바의 결합테두리부에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카바본체의 결합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정위치결합홈공에 삽입되는 결합이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톱카바가 결합된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KR2019960028489U 1996-09-06 1996-09-06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50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489U KR200150477Y1 (ko) 1996-09-06 1996-09-06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TW086112811A TW353742B (en) 1996-09-06 1997-09-05 Display device having rear cover body and top cover
MYPI97004105A MY120948A (en) 1996-09-06 1997-09-05 Rear assembly for a display device
JP9259267A JPH10108102A (ja) 1996-09-06 1997-09-08 ディスプレイ装置
US08/925,191 US5934772A (en) 1996-09-06 1997-09-08 Rear assembly for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489U KR200150477Y1 (ko) 1996-09-06 1996-09-06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274U KR19980015274U (ko) 1998-06-25
KR200150477Y1 true KR200150477Y1 (ko) 1999-07-01

Family

ID=1946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489U KR200150477Y1 (ko) 1996-09-06 1996-09-06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4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274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1506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31364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US6532603B1 (en) Swim goggles
KR200150477Y1 (ko)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50475Y1 (ko) 리어카바본체와 톱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20334A (ko) 리어카바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JPH1010810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4269444B2 (ja) チューナー
KR10051886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필터 고정구조
KR100442251B1 (ko) Lcd 모니터의 프레임
JP3075530U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50488Y1 (ko) 방충창프레임 모서리 연결구
KR100595252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랙의 구조
KR200176230Y1 (ko) 브이시알용 전면패널
KR200208170Y1 (ko) 제3카바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캐비네트구조
KR200322368Y1 (ko) Tv의 프론트 패널과 프론트 마스크의 결합구조
KR100516282B1 (ko)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코레이션구조
KR0115330Y1 (ko) 모니터의 조작놉 일체형 로킹장치
KR100810511B1 (ko) 텔레비전
KR19990006757U (ko) 텔레비젼 프론트 마스크와 백커버의 상부 결합장치
KR200144645Y1 (ko) 편향 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리어 커버 조립 구조
KR0116703Y1 (ko) 모니터에 설치되는 보안경겸용 전자파차단휠터의 휠터프레임
KR0137560Y1 (ko) 튜너 회로 차폐막 구조
KR19990030213U (ko) 튜너의 섀시 결합구조
KR20060068710A (ko) 은폐형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갖는 캐비넷 및 백커버일체형 모니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