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016Y1 - 경운날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경운날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016Y1
KR200150016Y1 KR2019970001837U KR19970001837U KR200150016Y1 KR 200150016 Y1 KR200150016 Y1 KR 200150016Y1 KR 2019970001837 U KR2019970001837 U KR 2019970001837U KR 19970001837 U KR19970001837 U KR 19970001837U KR 200150016 Y1 KR200150016 Y1 KR 200150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lade
tilling
fixing plat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775U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2019970001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016Y1/ko
Publication of KR970015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01B15/06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리에서 경운축의 경운날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경운날 취부장치는 날고정판(106)과 경운날(103)에 단순히 원형으로 천공된 관통홀(109,110)을 통해 볼트(107)의 나사부(107b)가 관통되어 있으므로 날고정판(106)으로부터 경운날(103)을 분리하고자 할 때 볼트(107)의 헤드부(107a)를 스패너로 잡고 볼트(107)의 나사부(107b)에 체결된 너트(108)를 또 하나의 다른 스패너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터리본체(101) 상부의 기어박스(10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경운축(102)이 그 하부에 회전 가능케 마련되며 상기 경운축(102)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날고정판(106)이 마련되고 이 날고정판(106)에는 다수의 경운날(103)이 제작기 복수개의 체결부재(107,108)로 고정되어 있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운축(102)의 날고정판(106)에 볼트(107) 또는 너트(108)의 회전을 방지 할 수있도록 링형의 볼트 가이드판(111)이 다수개의 체결부재(112,113)로 체결되고 상기 날고정판(106)의 관통홀(109)에 관통된 볼트(107)의 헤드부(107a)나 너트(108)가 제각기 끼워지는 고정홀(114)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날 취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운날 취부장치
본 고안은 로터리의 경운축에 부착되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운축의 날고정판에 볼트의 헤드부가 고정되는 헤드부 고정홈이 헤드부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경운날의 결합/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하여 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기는 피티오축(Power Take Off Shaft)로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시키며. 이와 같이 동력을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작업기는 로터베이터(Rotovator, 일명 "로터리"라고 한다.)가 있다.
이러한 로터리에 복합기능을 갖도록 배토기라든가 써레 혹은 비료살포기 등을 설치한 작업기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종래의 이러한 트랙터용 작업기 중에서 비료살포기가 설치된 로터리에 대하여도 도1 내지 도3에 참고적으로 나타내었다.
로터리(100)는 로터리본체(101)의 하부에 다수의 경운날(103)을 갖는 경운축(102)이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본체(101)의 상단에는 상기 경운축(102)에 동력을 전달하기 의한 로터리 구동축(도시되지 않았음)이 기어박스(105)를 가로질러 경운축(102)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터리 구동축과 경운축(102)의 한쪽 끝단에는 로터리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동력전달부재(도시되지 않았음)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경운축(102)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날고정판(106)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날고정판(106)에는 다수개의 경운날(103)이 각각 체결부재인 2개의 볼트(107)와 너트(108)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날고정판(106)과 경운날(103)에는 볼트(107)의 나사부(107b)과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홀(109,110)이 천공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터리는 트랙터의 상/하부 링크에 로터리 본체(101)를 연결하고 기어박스(105)의 피티오 연결축을 트랙터의 피티오축과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트랙터의 피티오축이 회전됨에 따라 기어박스(105)의 피티오 연결축이 회전되면서 로터리 구동축을 연동시키고, 이 로터리 구동축과 연결되어진 로터리 본체(101) 하부의 경운축(102)이 연동되는 상태에서 트랙터를 진행시키므로 경운축(102)의 경운날(103)들이 로터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로터리는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경운날(103)이 마모되어 교체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인 볼트(107)와 너트(108)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경운날(103)을 분리하여 교체하기 위해서는 경운날(103)과 날 고정판(106)에 단순한 원형으로 천공된 관통홀(109,110)을 통해 볼트(107)의 나사 부(107b)가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107)의 헤드부(107a)나 이 볼트(107)의 나사부(107b)에 체결된 너트(108)를 2개의 스패너로 각각 잡고 회전시켜아 하므로 분리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볼트(107)의 나사부(107b)에 체결된 너트(108)가 어느 정도 풀리게 되면 볼트(107)나 너트(108)가 겉돌아 풀리지 않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경운축의 날고정판에 너트나 볼트의 헤드부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볼트 가이드판을 마련하여 경운날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또 장기간 사용하여 볼트의 나사부가 녹이 슬었다 하더라도 하나의 수공구로 경운날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경운날 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 종래의 트랙터용 작업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경운축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적용된 종래의 경운날 취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운날 취부장치의 요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조립단면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운날 취부장치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터리 101 : 로터리 본체
102 : 경운축 103 : 경운날
105 : 기어박스 106, 106a, 106b : 날고정판
107, 112 : 볼트 108, 113 : 너트
109, 109a, 110 : 관통홀 111 : 볼트 가이드판
114, 114a : 고정홀 115 : 고정돌기
116 : 디귿자형 볼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터리 본체 상부의 기어박스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경운축이 그 하부에 회전 가능케 마련되며 상기 경운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날고정판이 마련되고 이 날고정판에는 다수의 경운날이 제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운축의 날고장판에 볼트 또는 너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형의 볼트가이드판이 다수개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상기 날고정판의 관통홀에 관통된 볼트의 헤드부나 너트가 제각기 끼워지는 고정홀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있다.
또, 상기 날고정판에는 볼트 가이드판이 용접 고정되어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경운날 취부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운날 취부장치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일부 사시도 이고, 도5는 도4의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운축(102)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날고정판(106)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날고정판(106)에는 엘자형(L字形)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경운날(103)이 각각 체결부재인 2개의 볼트(107)와 너트(108)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 날고정판(106)과 경운날(103)에는 볼트(107)의 나사부(107b)가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홀(109,110)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날고정판(106)의 한쪽측면에눈 상기 날고정판의(106) 의 관통홀(109)에 관통되는 볼트(107)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볼트 가이드판(111)이 다수개의 볼트(112)와 너트(113)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볼트 가이드판은(111) 날고정판(106)의 관통홀(109)들에 체결되어진 너트(108)나 볼트(107)의 헤드부(107a)가 제각기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1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 가이드판(111)은 날고정판(106)에 수개의 볼트(112)와 너트(113)를 이용하여 체결시킨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날고정판(106)에 볼트 가이드판(111)을 용접으로 일체화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제6도및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날고정판의 변형 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6도는 날고정판(106a)에 볼트의 나사부(107b)가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홀(109a)과 이 관통홀(109a)로부터 연속하여 볼트(107)의 헤드부(107a) 형상과 동일한 헤드부 고정홈(114a)이 카운터보어형(Counter Bore Type)으로 형성된 것이고, 제7도는 날고정판(106b)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홀(109) 주위에는 그 관통홀(109)로 체결되어지는 너트(108)나 볼트(107)의 헤드부(107a)가 회전되지 않게 고정돌기(115)가 융기된 것이다.
또, 이러한 날고정판(106a,106b)에 체결되는 볼트(107)의 회전방지형상은 경운날(103)의 관통홀(110)이나 그 관통홀(110) 주위에 형성시켜 제작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고정돌기(115)는 너트(108)나 볼트(107)의 헤드부(107a)의 모서리 부분이 끼워지도록 한쌍의 부등호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등호형(=) 도는 큰괄호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운날 취부장치는 날고정판(106)에 볼트(112)와 너트(113)로 체결되어진 볼트 가이드판(111)의 고정홀(114)마다 볼트(107)의 나사부(107b)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108)나 헤드부(107a)가 끼워지도록 볼트(107)들을 임시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임시로 조립되어진 볼트(107)의 헤드부(107a)를 살며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107)의 나사부(107b)가 경운날(102)의 관통홀(110)로 관통되도록 끼워넣고, 이후에 상기 볼트(107)들의 나사부(107b)에 각각 너트(108)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날고정판(106)에 조립되어진 경운날(103)들은 로터베이터(100)를 장기간 사용하여 볼트(107)의 나사부(107b)에 녹이 슬었다 하더라도 스패너로 너트(108) 또는 볼트(107)의 헤드부(107a)만을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키기만 하면 볼트(107)의 나사부(107b)로부터 너트(108)가 겉돌지 않고 풀리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볼트(107)의 헤드부(107a)가 볼트 가이드판(111)의 헤드부 고정홈(114)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다른 경운날 취부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볼트(107)가 날고정판(106)과 경운날(103)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홀(109,110)들이 천공된 간격을 갖도록 디귿자형(ㄷ字型)으로 구부러지고 그 양단부분에 나사부(116a)가 형성된 디귿자형 볼트(116)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또 다른 변형예의 본 고안은 양단의 나사부(116a)가 날고정판(106)과 경운날(103)의 관통홀(109,110)에 회전되지 않고 지지되므로 경운날(103)을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볼트(107)를 디귿자형 볼트(116)로 대체하면 되므로 볼트 가이드판(111)과 체결부재인 볼트(112) 및 너트(113)등의 부품이 추가되지 않아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의 경운날 취부장치는 날고정판의 고정홀이나 고정돌기가 너트 또는 볼트의 헤드부를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볼트의 나사부에 너트를 끼워서 경운날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여 볼트의 나사부가 녹이 슬었다 하더라도 하나의 수공구로 경운날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로터리본체(101) 상부의 기어박스(10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경운축(102)이 그 하부에 회전 가능케 마련되며 상기 경운축(102)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날고정판(106)이 마련되고 이 날고정판(106)에는 다수의 경운날(103)이 제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107,108)로 고정되어 있는 경운날 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운축(102)의 날고정판(106)에 볼트(107) 또는 너트(108)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형의 볼트 가이드판(111)이 다수개의 체결부재(112,113)로 체결되고 상기 날고정판(106)의 관통홀(109)에 관통된 볼트(107)의 헤드부(107a)나 너트(108)가 제각기 끼워지는 고정홀(114)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날 취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고정판(106)에 볼트 가이드판(111)이 용접 고정되어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날 취부장치.
KR2019970001837U 1997-02-06 1997-02-06 경운날 취부장치 KR200150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837U KR200150016Y1 (ko) 1997-02-06 1997-02-06 경운날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837U KR200150016Y1 (ko) 1997-02-06 1997-02-06 경운날 취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75U KR970015775U (ko) 1997-05-23
KR200150016Y1 true KR200150016Y1 (ko) 1999-07-01

Family

ID=1949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837U KR200150016Y1 (ko) 1997-02-06 1997-02-06 경운날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34B1 (ko) * 2021-12-29 2022-07-12 대호 (주) 확장형 농업용 작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734B1 (ko) * 2021-12-29 2022-07-12 대호 (주) 확장형 농업용 작업기
WO2023128299A1 (ko) * 2021-12-29 2023-07-06 대호 (주) 확장형 농업용 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75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3110B1 (de) Werzeug und Werkzeughalterung für Bodenfräsen
US20060260848A1 (en) Attachment means for drilling equipment
DK2988585T3 (en) DOUBLE CUTTING CUTTER
US20180235138A1 (en) Shank Mounted Angled Coulter Disc
EP2727447A1 (en) Cutting group for a rotary hoeing machine
US6055798A (en) Locking mechanism for a rotatable shaft
US2908337A (en) Rotating ground working implement or cultivator
KR200150016Y1 (ko) 경운날 취부장치
GB2200826A (en) Cultivator blade mounting
KR20010019249A (ko) 복토기
JPH06335302A (ja) 耕耘爪取付装置
KR200319901Y1 (ko) 유압파쇄기의 크러셔 죠 간극조정장치
JP2004049015A (ja) 耕耘爪取付装置及び正逆転ロータリ耕耘装置
KR200412936Y1 (ko) 이중 로터리 구동식 복토기
CN210986908U (zh) 一种微耕机旋耕刀
JPH0142963Y2 (ko)
DE19929080B4 (de) Bodenbearbeitungsmaschine, insbesondere Kreiselegge bzw. -grubber
CN219228322U (zh) 一种种植松土机
CN218456704U (zh) 破茬清垄工作部件圆盘刀结构
KR101782290B1 (ko) 보조 쟁기날을 장착한 로터리 쟁기
KR870003550Y1 (ko) 배 토 기
KR200363100Y1 (ko) 농업용 로타리 경운날
JPH0438648Y2 (ko)
JP2549859Y2 (ja) 耕耘爪軸端部の保護装置
KR880003928Y1 (ko) 관리기와 작업기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