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437Y1 -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437Y1
KR200149437Y1 KR2019970007446U KR19970007446U KR200149437Y1 KR 200149437 Y1 KR200149437 Y1 KR 200149437Y1 KR 2019970007446 U KR2019970007446 U KR 2019970007446U KR 19970007446 U KR19970007446 U KR 19970007446U KR 200149437 Y1 KR200149437 Y1 KR 200149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support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014U (ko
Inventor
권동열
Original Assignee
권동열
주식회사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열, 주식회사퍼시스 filed Critical 권동열
Priority to KR2019970007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4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의 뒷가림판(31)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절곡판(41)과, 상기 뒷가림판(31)과 상판(37)을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37)의 저측에 결합된 다수의 서포트(35)와, 상기 절곡판(41)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전선이 지나가는 공간부(S)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S)가 개구되도록 상기 절곡판(41)을 힌지중심으로 상기 서포트(35)에 요동가능케 결합된 커버(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재배선작업이 용이하고 전선의 노출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본 고안은 책상에서 수평으로 배선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수평전선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가정이나 사무실에 사용되고 있는 책상에는 컴퓨터등의 각종 전기, 전자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의 배선처리는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상기 전선을 책상의 후측으로 늘어뜨리게 되면, 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왕래시 걸리적거리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주의로 인한 전선의 단락현상이나 전기 전자기기의 손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평전선덕트를 책상의 상판저측에 설치하고 수직전선덕트를 책상의 측판에 설치하여,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상기 수평전선덕트 및 수직전선덕트에 매입/배선하여 전선처리를 깔끔하게 한 책상의 전선덕트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출원되어 1994년 4월 13일자로 출원공고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4-2344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4-2344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W)을 수평으로 배선하도록 양측판(1,1')의 상단부에 걸쳐서 수평전선덕트(3)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1,1')에는 수직전선덕트(5,5')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전선덕트(3)의 양단에는 상기 수직전선덕트(5,5')에 이어지는 마감캡(7,7')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양측판(1,1')의 상측에는 다수의 지지대(P)를 매개로 상판(9)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일부의 전선은 상판(9)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하여 상판(9)의 상측으로 배선된다. 이때, 상기 수직전선덕트(5,5')는 상기 양측판(1,1')의 일정한 위치에 수직으로 매입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전선덕트(3)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배선공간(11)이 형성되도록 ㄷ단면형의 리브단부에 플랜지부(13a,13b)가 형성된 몸체(13)와, 상기 몸체(13)의 배선공간(11)에 배선된 전선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부(13a,13b)에 끼워져 전선을 막아주는 다수의 막음띠(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3)의 내부 리브면에는 안내레일(13c)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레일(13c)은 연결구(17)를 매개로 결합봉(19)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봉(19)을 상기 마감캡(7)에 연결하여 수평전선덕트(3)를 설치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4-2344호에 개시된 전선덕트에서 수평전선덕트(3)는 그 내부에 배선된 전선이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전선덕트를 뒷가림판의 내측에 설치하게 되므로, 상기 뒷가림판의 방해로 인해 배선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평전선덕트는 상기 수평전선덕트(3)의 상측에 배설되는 마감캡(7)에 상기 결합봉(19)을 통해 연결 설치되므로, 설치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고, 배선작업이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한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전선덕트가 적용된 책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책상의 수평전선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평전선 안내장치가 적용된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서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5 : 서포트 35a : 제1내삽돌출부
41 : 절곡판 41c : 제2내삽돌출부
45 : 커버 45b : 제1걸림돌출부
45c : 제2걸림돌출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는 책상의 뒷가림판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절곡판과, 상기 뒷가림판과 상판을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저측에 결합된 다수의 서포트와, 상기 절곡판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전선이 지나가는 공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절곡판을 힌지중심으로 상기 서포트에 요동가능케 결합된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의 후측에는 책상의 측판 및 다리역활을 할 뿐만 아니라 전선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전선안내부(33,33')사이에 뒷가림판(31)이 배설되어 있고, 책상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전선안내부(33,33') 및 서포트(35, 35')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37)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전선안내부(33,33')의 저면에는 책상이 높이를 조정하도록 다수의 높이조절부재(39,39')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뒷가림판(31)의 상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곡판(41)이 상기 서포트(35,35')와 함께 체결부재(43)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절곡판(41)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전선(W)이 지나가는 공간부(S)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S)가 개구되도록 상기 절곡판(41)을 힌지중심으로 요동가능케 커버(45)가 상기 절곡판(41) 및 서포트(35)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35)의 상부는 체결부재(47)에 의해 상기 상판(37)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35)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ㄱ형으로 된 브라켓으로서, 그 측면에는 상기 커버(45)의 후술하는 제1걸림돌출부가 걸리도록 제1내삽돌출부(3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3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체결부재(47) 및 체결부재(43)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부(35b,35c)가 다수의 보강리브(35d)에 의해 지지/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35)는 그 무게를 줄이도록 그 내부가 파여 다수의 공간부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부(35c)측에는 상기 절곡판(41)의 상면에 직각으로 절개된 절개부(35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내삽돌출부(35a)는 일정한 길이의 원기둥이 지지리브(35f)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배설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리브(35f)의 상하측에는 보강리브(35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판(41)은 그 상,하플랜지(41a,41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41b)의 단부에는 상기 커버(45)의 후술하는 제2걸림돌출부가 걸리도록 제2내삽돌출부(41c)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내삽돌출부(41c)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그 일측면에 슬릿홈(41d)이 형성된 멈춤링 단면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커버(45)는 일정한 크기의 원호단면판부(45a)의 내측상부에는 상기 제1내삽돌출부(35a)에 외삽되도록 제1걸림돌출부(45b)가 돌출형성되고, 원호단면판부(45a)의 내측하부에는 상기 제2내삽돌출부(41c)에 외삽되도록 제2걸림돌출부(45c)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길이는 상기 절곡판(41)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돌출부(45b)는 리브의 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원호단면상의 플랜지부가 상기 제1내삽돌출부(35a)의 원기둥을 싸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2걸림돌출부(45c)는 리브의 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원호단면상의 상,하측플랜지부(45d,45e)가 상기 제2내삽돌출부(41c)를 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측플랜지부(45d)는 하측플랜지부(45e)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45)의 요동시에 상기 절곡판의 제2내삽돌출부(41c)가 형성된 플랜지(41b)의 상하면에 의해 구속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의 조립은, 절곡판(41)을 뒷가림판(31)에 걸리게 쒸운 후, 상기 서포트(35)를 상기 절곡판(41)의 상프랜지(41a)와 리브부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43)로 상기 절곡판(41)과 서포트(35)를 상기 뒷가림판(31)에 동시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체결부재(47)로 서포트(35)의 상부를 상판(37)에 고정시키고, 커버(45)의 제2걸림돌출부(45c)를 절곡판(41)의 제2내삽돌출부(41c)에 외삽하여 이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45)의 제1걸림돌출부(45b)를 서포트(35)의 제1내삽돌출부(35a)에 외삽하면, 완료한다.
그리고, 전선을 배선할 때나 재배선할 때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45)의 상부를 잡고 앞으로 당기면, 커버(45)의 제1걸림돌출부(45b)는 서포트(35)의 제1내삽돌출부(35a)에서 이탈되고 절곡판(41)의 제2내삽돌출부(41c)를 힌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커버(45)가 회전하게 되어 공간부(S)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공간부(S)에 전선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 작업후에는 커버를 열 때와 반대방향으로 커버를 회전시켜 밀면, 커버(45)의 제1걸림돌출부(45b)는 서포트(35)의 제1내삽돌출부(35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에 의하면, 뒷가림판의 외측으로 전선을 배선할 수 있으므로, 배선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커버가 전선의 전체를 가리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고, 커버가 상판을 받치는 서포트에서 착탈가능하므로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전선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다.

Claims (2)

  1. 책상의 뒷가림판(31)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절곡판(41)과, 상기 뒷가림판(31)과 상판(37)을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37)의 저측에 결합된 다수의 서포트(35)와, 상기 절곡판(41)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전선이 지나가는 공간부(S)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S)가 개구되도록 상기 절곡판(41)을 힌지중심으로 상기 서포트(35)에 요동가능케 결합된 커버(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35)의 측면에는 제1내삽돌출부(35a)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41)의 하플랜지(41b)의 단부에는 제2내삽돌출부(41c)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45)의 내측상부에는 상기 제1내삽돌출부(35a)에 외삽되도록 제1걸림돌출부(45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45)의 내측하부에는 상기 제2내삽돌출부(41c)에 외삽되도록 제2걸림돌출부(45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KR2019970007446U 1997-04-10 1997-04-10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KR200149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446U KR200149437Y1 (ko) 1997-04-10 1997-04-10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446U KR200149437Y1 (ko) 1997-04-10 1997-04-10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14U KR19980063014U (ko) 1998-11-16
KR200149437Y1 true KR200149437Y1 (ko) 1999-06-15

Family

ID=1949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446U KR200149437Y1 (ko) 1997-04-10 1997-04-10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4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763B1 (ko) * 2014-03-27 2016-01-15 장근대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14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212B1 (en) Screen device
US6515229B2 (en) Structure of installing wire harness for sliding door
US4445299A (en) Arrangement in doors
CA2166920A1 (en) Enclosure for Cable Splice Assembly
JP2004187375A (ja) 給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US5473115A (en) Gull wing terminal enclosure
US20060228950A1 (en) Guard for terminals in a terminal block
US8091969B2 (en) Wall mount cabinet system
KR200149437Y1 (ko) 책상의 수평전선 안내장치
RU2708274C2 (ru) Шарнир и дверной блок
ES2279249T3 (es) Bisagra de puerta para una disposicion oculta, con la puerta cerrada, entre el cerco de la puerta y la hoja de la puerta con un canal para un cable electrico.
WO1998005096A1 (en) Connector with cover
KR200149438Y1 (ko)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KR200180777Y1 (ko) 회전식 가이드 스토퍼
US4895271A (en) Container with closure stay
KR200344178Y1 (ko) 사무용 가구의 전선덕트
KR20180133993A (ko) 정션박스의 내부회로 배선용 지그장치
KR200240902Y1 (ko) 사무용 책상
WO1994018489A1 (en) Bracket for mounting an electrical device
EP0563000B1 (en) Toaster hinge
KR102466912B1 (ko) 전원선 은폐가 가능한 조립 테이블
EP3262261B1 (en)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and an assembly of an elongated housing and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JP3056671B2 (ja) 配線ダクトを備える机
US6142835A (en) Building entry protection unit
JP3295597B2 (ja) 折畳み式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