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911Y1 -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 Google Patents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911Y1
KR200148911Y1 KR2019960009512U KR19960009512U KR200148911Y1 KR 200148911 Y1 KR200148911 Y1 KR 200148911Y1 KR 2019960009512 U KR2019960009512 U KR 2019960009512U KR 19960009512 U KR19960009512 U KR 19960009512U KR 200148911 Y1 KR200148911 Y1 KR 200148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er
cutter knife
scissors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243U (ko
Inventor
김두상
Original Assignee
김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상 filed Critical 김두상
Priority to PCT/KR1997/000002 priority Critical patent/WO1997025188A1/en
Priority to AU12125/97A priority patent/AU1212597A/en
Publication of KR970049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위날체와 가위날부와, 컷터칼날과, 상기 가위날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컷터칼날을 길이방향을 따라 스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컷터칼날의 전후방출입을 위한 선단개구부와 후단개구부 및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를 갖는 컷터칼하우징과, 상기 절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컷터칼날을 슬라이딩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를 가지는 가위날유니트부가 설치된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길이구간내에서 상기 가위날체와 가위날유니트를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핀과; 상기 가위날유니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를 개폐하는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회동핀이나 손잡이부에 의해 간섭되지 아니하고 컷터칼날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가위의 조립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커터칼하우징측 가위날유니트의 분해상태 종단면도.
제4도는 커터칼하우징측 가위날유니트의 횡단면도.
제5도는 커터칼하우징측 가위날유니트의 다른실시예의 횡단면도.
제6도는 커터칼하우징과 가위날유니트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횡단면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회동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횡단면도.
제11도는 가위날유니트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2도는 가위날유니트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에 따른 실시예의 손잡이부의 평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가위날유니트의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단면도.
제16도는 가위날유니트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17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이나 학습용으로서 혹은 봉재나 재봉등의 산업분야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위나 컷터칼은 그 용도, 사용자 및 사용자소가 극히 밀접한 반면 기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언제나 사용자의 주위에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통상 별개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번갈아 사용할 때 사용자의 불필요한 동작을 수반하여 작업능률을 떨어뜨리거나 어느 하나를 분실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가위와 컷터칼을 일체로 만들어 편리를 도모한 다양한 형태의 고안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94-12097호 및 제96-10219호 에서는 가위날부에 컷터칼유니트를 부착하고 있고,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57665호 및 평4-25656호에서는 컷터칼유니트를 가위날부에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고안에서는, 컷터칼유니트가 가위의 회동핀의 전방에 부착되거나 내장되기 때문에 컷터칼의 교환을 위하여 컷터칼과 그 조작노브를 컷터칼하우징의 후방으로 삽탈시키기가 부가능하거나 혹은 회동핀에 간섭되어 그 삽탈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94-12097호 및 제96-10219호의 고안자는 컷트칼날의 교환을 이한 자치를 한국공개실용신안 공보 제95-3275호 및 제95-3276에서 별도로 제안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컷터칼날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가위날체와, 가위날부와, 컷터칼날과, 상기 가위날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컷타칼날을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컷터칼날의 전후방출입을 위한 선단개구부와 후단개부구 및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를 갖는 컷터칼하우징과, 상기 절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컷터칼날을 슬라이딩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를 가지는 가위날유니트부가 설치된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길이구간내에서 상기 가위날체와 가위날유니트를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핀과; 상기 가위날유니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를 개폐한느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회동핀은 상기 컷터칼날의 슬라이딩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그 일측 머리부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게 함몰부에 수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위날부와 컷터칼하우징은 스크류체결, 용접등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고, 혹은 단일의 재료로 일체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컷터칼하우징은, 컷타칼날의 요동없는 출입을 안내하기 위해, 선단부의 두께가 상기 가위날로부터 이격되도록 좁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가위날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선단부간의 이격틈새내에 스페이서가 개재된다.
그리고, 손잡이부를 상기 가위날유니트 후단부에 끼워맞춤에 의해 착탈 가능학 결합되고, 이때 멈춤수단을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를 폐쇄하는 멈춤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부는 상기 가위날유니트의 후단부를 둘러싸는 수용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멈춤부는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에 삽이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멈춤부를 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손잡이부와 가위날부의 상호 이탈방지를 위하여 걸림유지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에는 상기 컷터칼날의 절단을 위한 절단홈을 형성하여 둘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를 컷터칼날의 후단개구부를 통한 출입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이때 멈춤수단은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퍼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가위의 조립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가위는 상호작용하는 가위날체(10)와 가위날유니트(20)를 가지고 있고, 가위날체(10)는 통상의 가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위날(12)이 형성되어 있는 가위날부(11)와 이 가위날부(11)의 후단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손잡이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이 통상과 같은 가위날체(10)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가위날유니트(20)는, 경사면의 가위날(22)이 형성되어 있는 띠형성의 가위나부(21)와, 이 가위날부(21)에 다수의 스크류(25)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컷터칼하우징(30)을 가진다. 컷터칼하우징(3)은 가위날부(21)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가위날부(21)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큐(25)들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다. 컷터칼하우징(30)은 외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절개부(31)을 가지고, 내부에 컷터칼날(35)이 길이바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컷터칼날(35)은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수용공(36)에 조작노브(37)와 연결돌기(38)가 삽입되어, 컷터칼하우징(30)의 절개부(31)를 통하여 조작노브(37)와 연결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노브(37)를 길이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컷터칼날(35)을 이동시킬 수 있다.
컷터칼하우징(30)의 선단부에는 컷터칼날(35)의 선단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선단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개구부(33)는 컷터칼날(35)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가 좁혀져 있고, 이에 의해 선단부에 컷타칼하우징(30)과 가위날부(21)간에 발생하는 이격틈새를 메꾸기 위해 스페이서(49)가 개재된다. 컷터칼하우징(30)은 후단부에도 후단개구부(34)를 구비하여, 조립상태의 컷터칼날(35)과 조작노브(37)가 함께 삽입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위날유니트(20)의 후단부에는 손잡이부(40)가 결합된다. 손잡이부(40)는,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서 수용개구(43)를 통해 끼워지며, 이때 그 내부에 형성된 스톱퍼부(41)가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를 폐쇄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40)의 수용개구부(43)내에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부(41)는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를 통해 형상맞춤하여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40)의 수용개구(43)는,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의 결합체의 후단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맞물리는 한편, 스톱퍼부(41)는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영역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그리하여, 손잡이부(40)는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에 확고히 결합되어 가위작동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톱퍼부(41)가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영역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컷터카날(35)과 그 조작노브(37)는 후방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손잡이부(40)에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아암부의 말단에 가로로 돌출한 걸림돌기(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42)는 조립상태에서 가위날부(21)에 형성된 걸림공(27)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40)는 가위날부(21)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아니한다. 컷터칼하우징(30)내에 수용된 컷터칼날(35)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돌기(42)를 걸림공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손잡이부(40)를 가위날유니트(20)의 길이방향을 당기면, 가위날유니트(20)로 부터 손잡이부(40)가 제거되게 되며, 동시에 스톱퍼부(41)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가 개방되게 된다. 이 후단개구부(34)를 통해 컷터칼날(35)과 그 조작노브(37)를 인출해 내어 새로운 컷터칼날(35)을 결합하여 재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0)와 가위날부(21)를 끼워맞춤할때,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이해 걸림돌기(42)와 걸림공(27)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들 대신에 걸림후크 기구나 너얼링 등을 상호 접촉부에 마련하여 이탈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40)에는 고리부에 좁은 틈의 절단슬릿(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슬릿(47)은, 무뎌진 컷터칼(35)을 끼워서 절단할 때 이용된다.
가위날체(10)와 가위날유니트(20)는 회동핀(26)에 의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회동핀(26)은 컷타칼하우징(30)의 저부에 형성된 핀공(39) 및 가위날부(21)의 핀공(23)을 통하여 대향측 가위날부(11)에 형성된 핀공(14)을 통과하며, 모두 관통한 상태에서 리벳팅 등의 방법에 의해 선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가위날체(10)와 가위날유니트(20)가 상호 이탈불가능하도록 한다.
제3도는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의 분해상태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결삽상태를 확대횡단면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위날부(21)에는 다수의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체결공(24)에 대응하여 컷터칼하우징(30)에는 나사공(32)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크류(25)들은 가위날부(21)의 체결공(24)을 통과하여 컷터칼하우징(30)의 나사공(32)에 나사결함됨으로써 양자를 일체로 결합한다. 여기서, 스크류(25)의 머리부가 가위날부(21)의 외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위날부(21)의 체결공(24)은 스크류(25)의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카운트보오링되어 있다.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간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도에서와 같은 형상의 스크류(25) 대신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단면형사의 머리모양을 갖는 스크류(25')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이때 체결공(24')의 형상은 그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을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위날부와 컷터칼하우징간의 조립문제는 발생하지 아니한다. 혹은, 별개의 판재로 만들어진 가위날부와 컷터칼하우징을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이나 스폿트용접 드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제7도는 회동핀(26)의 영역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상호 결합된 컷터칼하우징(30)과 가위날부(21)는 회동핀(26)이 통과하기 위해 정렬되는 핀공(23, 39)을 각각 가지며, 이들 핀공(23, 39)은 회동핀(26)의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카운트보오링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회동핀(26)은 컷터칼하우징(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아니하여, 컷터칼하우징(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이동하는 컷터칼날(35)에 간섭되지 아니한다. 컷터칼하우징(30)의 핀공(39)과 가위날부(21)의 핀공(23)을 통과한 회동핀(26)의 선단부는 상대편 가위날체(10)의 핀공(14)을 통과한 다음 적절한 리벳팅공정에 의해 필랜지형성되어 양자간의 분리를 방지한다.
제8도는, 제7도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동핀(26a)의 머리부가 역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핀공(23', 39')들도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9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는, 회동핀(26b)이 컷터칼하우징(30)을 관통하지 아니하고,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을 상호결합하기 전에 매입 되어 있게 되며, 노출된 회동핀(26)의 자유단부에 대응측 가위날체(10)의 핀공을 끼워 리벳팅하명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다. 제10도는 가위날부(21)에 미리 회동핀돌기부(26c)를 형성하여 두고, 이 돌기부(26c)에 대응측 가위날체(10)의 핀공을 끼워 리베팅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1도는 가위날유니트와 손잡이부의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가위날부(21)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9a)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손잡이부(40a)에는 수용홈(4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40a)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가위날유니트(20)와 손잡이부(40a)를 상호 결합할 때에는, 연장부(29a)가 손잡이부(40a)의 수용홈(45a)내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끼워맞추고,걸리돌기(42)가 걸림공(27)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손잡이부(40a)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므로 결합상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12도는 손잡이부와 다른 실시예을 나태난 분해사시도이며, 제13도는 이 실시예의 손잡이부(40b)의 평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손잡이부(40b)가 가위날유니트(2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도전위되어 있다. 이 경우 대응하는 가위날체(10)측의 손잡이부도 마찬가지로 각도전위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40b)와 가위날유니트(20)의 결합구조는 제11도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부(41b)는 손잡이부(40b)로 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부(41b)는 손잡이부(40b)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그루브(46)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가능하며, 삽입된 상태에서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를 차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컷터칼날(35)을 교체할 경우, 손잡이부(40b)를 가위날유니트(20)로 부터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스톱퍼부(41b)만을 간다히 제거하면,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b)를 통한 컷터칼날(35)의 삽탈이 가능하다.
제14도 내지 제16도는 가위날유니트와 손잡이부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제14도와 제15도는 평단면도이고, 제16도는 정면도이다.
제14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손잡이부(40c)가 가위날부(21)의 연장부(29c)에 결합되어 있고, 가위날부(2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도전위되어 있다. 그리고,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c)를 차단하는 스텁퍼부(41C)는 별개로 만들어져 후단개구부(34)에 삽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40c)가 각도전위되어 있어 스톱퍼부(41c)의 삽탈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동시에, 컷터칼날(35)의 삽탈에도 간섭되지 아니한다.
제15도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40d)가 가위날부(2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위치전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d)를 차폐하는 스톱퍼부(41d) 및 컷터칼날(35)은 손잡이부(40d)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아니하고 삽탈가능하다.
제14도 및 제15도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손잡이부(40c, 40d)가 가위날유니트(20)이 길이방향에 대해 평면상태에서 각도 혹은 위치전위되어 있지만, 제16도 실시예의 경우에는 정면상태에서 전위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도,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e)를 차폐하는 스톱퍼부(41e) 및 컷터칼날(35)은 손잡이부(40e)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아니하고 삽탈가능하게 된다. 제17도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전술의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손잡이부(40f)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가위날부(21)와 컷터칼하우징(30)이 후단영역을 둘러싸는 수용개구(43)와, 손잡이부(40)와 가위날부(21)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채용되었던 걸림돌기(42)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다.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40f)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톱퍼부(41f)가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f)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가위날유니트(20)에 결합된다. 이때, 스톱퍼부(41f)는 컷터칼하우징(30)의 후단개구부(34f)의 영역에 형상맞춤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되도록 치수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40f)는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동시에 컷터칼날(35) 및 그 조작노브(37)의 후방개구부(34f)를 통한 이탈을 방지한다.
컷터칼날(35)의 교체 등을 위해 이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40)룰 가위날유니트(20)에 대해 다소 강한 힘으로 당기면 스톱퍼부(41f)가 후단개구부(34f)로 부터 빠져나오며, 그러면 스톱퍼부(41f)가 후단개구부(34f)를 통해 컷터칼날(35)과 그 조작노브(37)를 인출해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회동핀이나 손잡이부에 의해 간섭되지 아니하고 컷터칼날의 교환이 용이한 컷터칼을 구비한 가위가 제공된다.

Claims (12)

  1. 가위날체와 가위날부와, 컷터칼날과, 상기 가위날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컷터칼날을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컷터칼날의 전후방출입을 이한 선단개구부와 후단개구부 및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를 갖는 컷터칼하우징과, 상기 절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컷터칼날을 슬라이딩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를 가지는 가위날유니트부가 설치된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길이구간내에서 상기 가위날체와 가위날유니트를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핀과, 상기 가위날유니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를 개폐하는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은 그 일 측 머리부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함몰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은 스크류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은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날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은 단일의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터칼하우징은 선단부의 두께가 상기 가위날로부터 이격되도록 좁혀져 있으며, 상기 가위날부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선단부간의 이격틈새내에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가위날유니트의 후단부에 끼워 맞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를 폐돼하는 멈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가위날유니트의 후단부를 둘러싸는 수용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멈춤부는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될 가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가위날부의 상호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컷터칼날이 절단을 위한 절단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컷터칼날이 상기 후단개구부를 통한 출입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컷터칼하우징의 후단개부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KR2019960009512U 1996-01-06 1996-04-26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KR200148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1997/000002 WO1997025188A1 (en) 1996-01-06 1997-01-06 Combination scissors and cutter knife
AU12125/97A AU1212597A (en) 1996-01-06 1997-01-06 Combination scissors and cutter knif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92 1996-01-06
KR19960000092 1996-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243U KR970049243U (ko) 1997-08-12
KR200148911Y1 true KR200148911Y1 (ko) 1999-07-01

Family

ID=2663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512U KR200148911Y1 (ko) 1996-01-06 1996-04-26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9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89B1 (ko) 2008-04-28 2010-07-21 김상현 다목적 가위
WO2019189980A1 (ko) * 2018-03-26 2019-10-03 최윤석 출몰형 칼을 갖는 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89B1 (ko) 2008-04-28 2010-07-21 김상현 다목적 가위
WO2019189980A1 (ko) * 2018-03-26 2019-10-03 최윤석 출몰형 칼을 갖는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243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80B2 (en) Disposable blade cartridge utility knife
US4451982A (en) Bolt action knife
US7080455B1 (en) Handheld kitchen scissor/knife appliance
US7721451B2 (en) Razor equipped with several rotating shaving heads
US8099868B1 (en) Disposable blade cartridge utility knife
US6282794B1 (en) Rotary cutter with a blade cartridge
US7509743B2 (en) Electric hair clipper
US20050278955A1 (en) Knife having removable blade
EP0598466A1 (en) Rotary blade actuator for a hand held cutter
US20090255124A1 (en) Cartridge for a Shaving Razor
HU218542B (hu) Biztonsági borotva
US9205568B2 (en) Ambidextrous utility knife
KR20180031699A (ko) 면도기 카트리지용 프로텍터, 면도용 어셈블리, 습식 면도기, 그러한 습식 면도기 사용 방법 및 그러한 프로텍터 제조 방법
US3728788A (en) Straight razor adapted for use with injector blades
US20060242848A1 (en) Protective cover
US6478346B1 (en) Snap closure
KR200148911Y1 (ko) 컷터칼이 부설된 가위
JP2574696B2 (ja) カッタ
US5430940A (en) Scissors combined with a cutter knife
US4435868A (en) Hiker's hatchet
US4835861A (en) Electric shaver
KR970003318Y1 (ko) 사무용 칼이 부설된 가위
CN217039208U (zh) 一种指甲钳
JPH07265555A (ja) 剪 刀
KR950002670Y1 (ko) 다용도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