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699Y1 -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 Google Patents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699Y1
KR200148699Y1 KR2019960008346U KR19960008346U KR200148699Y1 KR 200148699 Y1 KR200148699 Y1 KR 200148699Y1 KR 2019960008346 U KR2019960008346 U KR 2019960008346U KR 19960008346 U KR19960008346 U KR 19960008346U KR 200148699 Y1 KR200148699 Y1 KR 200148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rimary air
main pipe
pipe
petroleum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193U (ko
Inventor
장길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08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699Y1/ko
Publication of KR970059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38Nozzles; Clean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Abstract

본 고안은 석유 연소기의 기화실 내부에 강연소시 분사되는 다량의 연료를 분산 투입시켜 1차공기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고, 분사연료를 기화실 내부에 골고루 확산시켜 기화효율을 증대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는 석유 연소기의 기화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화실의 일측에는 1차공기투입구를 설치하여 그중앙에 전자펌프와 연결된 연료공급관을 설치한 석유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관의 끝단에는 분사방향과 동일한 주관과, 주관의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 및 끝단에 벤딩부을 형성한 굴곡관으로 각각 구성된 연료분사노즐을 삽입하고; 상기 연료분사노즐의 주관외측에는 연결구를 형성하여 1차공기투입구의 외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축의 끝단과 연결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석유 연소기를 나타낸 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료공급관 끝단에 설치되는 연료분사노즐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a)는 강연소시 연료분사노즐의 위치를 나타내고,
(b)는 약연소시 연료분사노즐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3도는 종래의 석유 연소기를 나타낸 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연료분사노즐 4 : 주관
5 : 연결구 6 : 굴곡관
8 : 경사부 9 : 벤딩부
10 : 솔레노이드밸브 12 : 작동축
20 : 기화기 22 : 기화실
24 : 1차공기투입구 25 : 연료공급관
본 고안은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유 연소기의 기화실 내부에 강연소시 분사되는 다량의 연료를 분산 분사시켜 기화및 1차공기와의 혼합을 촉진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는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유압송 무화식의 석유 연소기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중앙에는 일측에 1차공기투입구(24)와 그 중앙에 연료공급관이(25)이 각각 설치된 기화실(22)과, 상기 기화실(22) 외측에는 기화실(22)의 예열용 히터(30)로 각각 구성된 기화기(20)를 설치하고; 상기 기화기 상부에는 내측에 필터망(44)과 버너헤드(46) 및 버너캡(48)이 서로 조립된 버너(40)를 설치한 구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석유 연소기는 기화실(22) 내부로 연료공급관(25)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의 유입량의 정도가 강연소 및 약연소 일 경우 각기 틀리게 되는데, 특히 강연소의 경우 연료분사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의 양이 약연소시에 분사되는 연료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기화실(22)의 일측벽에만 집중되게 투입 되므로서, 분사 연료가 기화실(22)내부에서 완전히 기화되지 못하여 불완전 연소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방향으로 분사되는 연료는 기화실내에서 전체적으로 확산 되지 않아 1공기투입구에서 투입되는 1차공기와의 완전 혼합상태를 이루지 못하여 불완전연소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석유연소기의 강연소시 2중관의 연료분사노즐을 전진시켜, 연료분사노즐의 투입 연료를 분산 분사되게 하므로서, 연료가 기화실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확산 기화됨과 동시에 1차공기와의 혼합을 촉진하여 이상연소를 이룰 수 있는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화실의 일측에는 1차공기투입구를 설치하여 그중앙에 전자펌프와 연결된 연료공급관을 설치한 석유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관의 끝단에는 분사방향과 동일한 주관과, 주관의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 및 끝단에 벤딩부을 형성한 굴곡관으로 각각 구성된 연료분사노즐을 삽입하고; 상기 연료분사노즐의 주관 외측에는 연결구를 형성하여 1차공기투입구의 외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축의 끝단과 연결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석유 연소기를 나타낸 것으로, 기화기(20)의 내부중앙에는 기화실(22)을 형성하여 그 일측에는 기화실(22)의 내부로 1차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1차공기투입구(24)를 설치하고, 그 내부 중앙에는 전자펌프(28)를 통해 연료를 유입하는 연료공급관(25)을 설치하며, 상기 연료공급관(25)의 끝단에는 연료의 분사방향과 동일방향의 주관(4)과, 이 주관(4)의 일측에는 주관(4)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분사되는 굴곡관(6)으로 각각 이루어진 연료분사노즐(2)을 설치하고, 상기 연료분사노즐(2)의 주관(4) 상측에는 연결구(5)를 형성하여 1차공기투입구(24)의 외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축(12)의 끝단과 연결한 것이다.
한편, 상기 기화실(22)의 외부 상측에는 기화실(22)의 내부온도를 상승시켜 기화실(22)을 예열하는 히터(30)를 설치하고, 상기 기화기(20)의 상측에는 다수의 홀이 천공된 혼합판(42)을 설치하며, 그 상측에는 필터망(44), 버너헤드(46), 버너캡(48)으로 조립 형성된 버너(40)를 재치한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연료분사노즐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주관(4)의 일측에는 연료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8)와, 끝단에 연료의 분사방향을 주관(4)에서의 연료의 진행방향과 직각상태로 분사되는 것을 유지시키기위한 벤딩부(9)가 각각 형성된 굴곡관(6)을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석유연소기를 강 ,약연소로 크게 구분하여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제1도 및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석유연소기의 강연소시에는, 기화기(20)의 1차공기투입구(24)의 외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0)를 전진동작 시켜 작동축(12) 끝단에 설치된 연료분사노즐(2)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연료공급관(25)의 끝단에서 분출되는 액화연료의 일부는 주관(4)을 통해 분사되고, 일부는 굴곡관(6)의 경사부(8)를 따라 벤딩부(9)의 전방에서 상기 주관(4)의 분사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때, 분사된 대량의 연료는 각기 기화실의 측벽에 분사 되므로서, 기화 효율이 향상되고, 기화과정에서 1차공기와의 혼합을 촉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석유연소기의 약 연소시에는, 솔레노이드벨브(10)를 후진동작 시켜 작동축(12) 끝단에 설치된 연료분사노즐(2)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료공급관(25)의 끝단이 연료분사노즐(2)의 굴곡관(6)의 내경을 막아 연료공급관(25)에서 약연소시 분출되는 액화연료는 주관(4)을 통해 기화실 내측으로 분사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석유연소기의 강,약연소에 따라 연료공급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연료분사노즐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므로서, 강연소시 분출되는 대량의 연료를 2중관을 통해 분산 분사되게 하여 기화효율을 향상하고, 기화실 내부에서 1차공기와의 혼합을 촉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화실(22)의 일측에는 1차공기투입구(24)를 설치하여 그중앙에 전자펌프(28)와 연결된 연료공급관(25)을 설치한 석유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관(25)의 끝단에는 분사방향과 동일한 주관(4)과, 주관(4)의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8) 및 끝단에 벤딩부(9)을 형성한 굴곡관(6)으로 각각 구성된 연료분사노즐(2)을 삽입하고; 상기 연료분사노즐(2)의 주관(4) 외측에는 연결구(5)를 형성하여 1차공기투입구(24)의 외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축(12)의 끝단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KR2019960008346U 1996-04-17 1996-04-17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KR200148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346U KR200148699Y1 (ko) 1996-04-17 1996-04-17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346U KR200148699Y1 (ko) 1996-04-17 1996-04-17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193U KR970059193U (ko) 1997-11-10
KR200148699Y1 true KR200148699Y1 (ko) 1999-06-15

Family

ID=1945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346U KR200148699Y1 (ko) 1996-04-17 1996-04-17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6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193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5137A (en) Burner unit
CA1143647A (en) Burner-boiler combination and improved burner construction therefor
GB2443429A (en) Fuel Vaporisation Within a Burner Associated With a Combustion Chamber
US20050048430A1 (en) Burner apparatus
US5146741A (en) Gaseous fuel injector
KR20180107913A (ko) 연소기용 노즐
CN107076411A (zh) 用于涡轮发动机的灵活燃料燃烧系统
KR200148699Y1 (ko) 노즐 가변용 석유연소기
KR200148698Y1 (ko) 연료분사노즐의 길이 가변용 석유연소기
KR200141464Y1 (ko) 석유연소기의 연료분사노즐 구조
KR100187048B1 (ko) 기화효율을 극대화한 석유연소기
KR100187026B1 (ko) 석유연소기용 기화기
KR820002389Y1 (ko) 기화식 석유 버어너
KR20070033651A (ko) 버너용 화염 확산기
KR100187029B1 (ko) 2중 벤츄리 버너
KR0178311B1 (ko) 석유 연소기의 기화 혼합장치
KR0174898B1 (ko) 차단판을 구비한 석유 연소기
KR100187031B1 (ko) 석유연소기의 연료분사노즐 구조
KR200141450Y1 (ko) 나선형 분사방식의 고화력 버너
KR940005105Y1 (ko) 기름보일러용노즐
KR960012375B1 (ko) 스터링엔진 연소기의 연료분사노즐
KR100213535B1 (ko) 역화방지용 석유연소기
KR20040074520A (ko) 연료 분사장치
SU926427A1 (ru) Форсунка дл сжигани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KR200141452Y1 (ko) 석유연소기의 기화 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