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191Y1 -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 Google Patents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191Y1
KR200148191Y1 KR2019930022926U KR930022926U KR200148191Y1 KR 200148191 Y1 KR200148191 Y1 KR 200148191Y1 KR 2019930022926 U KR2019930022926 U KR 2019930022926U KR 930022926 U KR930022926 U KR 930022926U KR 200148191 Y1 KR200148191 Y1 KR 200148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ap
housing
switch
prevent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458U (ko
Inventor
문수동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30022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191Y1/ko
Publication of KR950015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와 결합,분리가 용이한 방수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용 캡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터미널부에 이물질 및 수분의 접근을 방지하며 스위치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한 방수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수용 캡을 와이어와 하우징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외곽에 설치함으로써 평소에는 물론 특히 세차시에도 수분의 접근을 방지하여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였고, 또 접촉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이 증대하였다. 그리고 와이어가 연결된 하우징을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방수용 캡내에 삽입시키고, 터미널이 부착된 스위치도 삽입하여 결합이 편리하도록 이루어졌고, 또한 푸시 부분을 누르고 방수용 캡을 우(右)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편리하게 분리되었다.

Description

스위치 하우징의 방수용 캡
제1도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
제2도는 제 1 도 A-A선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와 결합분리가 용이한 방수용 캡의 작동 상태도.
제4도는 B-B선의 단면도.
제5도는 방수용 캡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방수용 캡 52 : 푸시
본 고안은 스위치 하우징의 방수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용 캡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터미널부에 이물질 및 수분의 접근을 방지하며 스위치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한 스위치 하우징의 방수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량의 스위치(10)가 터미널(14)을 통하여 하우징(12)에 연결되어 이용되고 있는바, 스위치(10)와 하우징(12) 접촉부분의 터미널(14) 부위가 외부와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 및 물 유입으로 인하여 십게 부식이 되고 있다. 또한, 접촉저항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었고 결국 이러한 부품들을 교체하여야만 하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 정밀하고 반응속도가 민감한 스위칭 소자의 부식 및 접촉저항을 미연에 방지하여 부품을 원활하게 작동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스위치와 하우징 둘레에 푸시와 돌출부가 헝성된 방수용 캡이 형성된 것글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하우징의 방수용 캡의 작동상태도이고, 제4도는 B-B선의 단면도이며, 제5도는 방수용 캡의 평면도이다. 스위치(10) 및 하우징(12)부분의 외곽에 우천시나 세차할 때 수분을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수용 캡(50)을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품들을 결합할 때에는 와이어(16)가 연결된 하우징(12)을 방수용 캡(50)의 안쪽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방수용 캡(50)의 안쪽에 러버(rubber)와 같이 탄력적인 성질로 되어있는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력적인 성질로 인하여 하우징(12)에 일정한 힘을 우(右) 방향으로 가하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54)로 인하여 빠지지 않고 확고하게 걸리도록 된다.
그리고 방수용 캡(50)내에 스위치(10)를 삽입하여 하우징(12) 부분을 터미널(14)로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결합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방수용 캡(50)내에 있는 스위치(10)와 하우징(12)을 분리시에는 방수용 캡(50)상단부에 있는 푸시(52) 부분을 누르면서 방수용 캡(50)을 우(右)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스위치(10), 하우징(12) 및 방수용 캡(50)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의한 방수용 캡을 와이어(16)와 하우징(12)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외곽에 설치함으로써 평소에는 물론 특히 우천시나 세차시에도 수분의 접근을 방지하여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였고, 또 접촉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이 증대하였다.
그리고 와이어(16)가 연결된 하우징(12)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방수용 캡(50)내에 삽입시키고, 터미널(14)이 부착된 스위치(10)도 삽입하면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졌고, 푸시 (52) 부분을 누르고 방수용 캡(50) 을 우(右)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편리하게 분리되는 효과가 있었다.

Claims (2)

  1. 스위치와 하우징이 결합된 스위칭 소자에 있어서, 스위치(10)와 하우징(12) 외곽부분에 방수용 캡(50)이 형성되어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하우징의 용이한 방수용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수용 캡(50) 일정부분에 푸시(5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돌출부(5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하우징의 방수용 캡.
KR2019930022926U 1993-11-04 1993-11-04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KR200148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926U KR200148191Y1 (ko) 1993-11-04 1993-11-04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926U KR200148191Y1 (ko) 1993-11-04 1993-11-04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58U KR950015458U (ko) 1995-06-19
KR200148191Y1 true KR200148191Y1 (ko) 1999-06-15

Family

ID=1936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926U KR200148191Y1 (ko) 1993-11-04 1993-11-04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1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58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6343B2 (ja) コネクタ
US6033261A (en) Rubber plug for waterproof connector
KR950007235A (ko) 2파트 단부캡 어셈블리
BRPI0007248B1 (pt) relé, particularmente para um dispositivo de arranque para uma máquina de combustão interna
KR200148191Y1 (ko) 스위치하우징의방수용캡
DE3580830D1 (de) Sicherungselement.
KR100379390B1 (ko) 세탁기 컨트롤러 어셈블리의 방수장치
KR950025805A (ko) 검출스위치용 케이스와 그 제조방법
EP0924731A3 (en) Circuit interrupter with covered accessory case with accessory having lock-in feature and pull tab
KR880000356Y1 (ko) 회로 차단기
KR200318482Y1 (ko) 전기접속장치의 단자구조
JP2001236943A (ja) バッテリの端子保護構造、装置及び方法
US5664666A (en) Electrical switch which prevents tack welding
KR960007500Y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전기커넥터
JPH1123210A (ja) 直線型ポテンショメータ
KR890001077Y1 (ko) 플 럭
KR200226291Y1 (ko) 유동식 전선 걸이 리브
KR950026061A (ko) 전원스위치를 내장한 플러그
KR940008546Y1 (ko) 전력 퓨우즈 유니트
KR200300566Y1 (ko) 무접점 릴레이의 커버 개폐구조
KR970004109A (ko) 프리볼트를 채용한 선풍기의 결선접속 방법
JPS5818183Y2 (ja) 近接スイッチ
KR0122492Y1 (ko) 휴대폰의 충전 콘넥터
JP3198013B2 (ja) 液面検出器
JPH02220318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