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821Y1 - 복합 파이프 - Google Patents

복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821Y1
KR200147821Y1 KR2019960033977U KR19960033977U KR200147821Y1 KR 200147821 Y1 KR200147821 Y1 KR 200147821Y1 KR 2019960033977 U KR2019960033977 U KR 2019960033977U KR 19960033977 U KR19960033977 U KR 19960033977U KR 200147821 Y1 KR200147821 Y1 KR 200147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inforcement
fluid
composite pip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732U (ko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19960033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8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의 사이에 삽설되는 보강재 (13)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독립된 접합부(13a)를 형성시켜 상호 접힘압착시킨 보강재(13)를 제공하므로써, 포개져 상설된 보강재가 전달되는 유채의 압력에 의해 이음매가 벌어져 보강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복합 파이프(10)가 유체에 대한 내압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복합 파이프(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식을 방지하며, 열전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달되는 유체의 손실을 방지하고, 용접에 의해 삽설된 보강재에 비하여 기밀유지가 용이하고, 보강재(13)의 제작이 용이하여 불량률 및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파이프
본 고안은 복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흐름을 유도 및 전달하는 파이프의 내부에 접합부를 형성한 보강재를 삽설하여 복합 파이프의 강성을 증대시킬 뿐만아니 열전도를 저하시키고, 내압에도 견딜 수 있으며, 작업이 간편한 복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합 파이프는 재질이 합성수지인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의 사이에는 재질이 금속재인 보강재가 삽설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 파이프의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삽설된 보강재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 되어지는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 (a) 및 (b)와 같이 형성된 복합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제1도(a)와 외부 파이프(2)와 내부 파이프(3)의 사이에 삽설된 보강재(4)가 포개진 상태로 형성된 도면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복합 파이프(1)를 사용하여 고온 및 고압의 유체를 전달시키면 연성화된 내부 파이프(3)가 1차적으로 균열 및 파열이 일어나고, 이어 내부 파이프(3)의 외주부에 삽설된 보강재(4)가 일정이상의 온도 및 압력에 견디며 유체를 전달하는 가운데 합성수지 재질보다 내습성이 약하여 쉽게 부식이 진행될 뿐만 아니라 보강재(4)의 이음매가 벌어져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외부 파이프(2)는 고압에 견디지 못하므로 복합 파이프(1)의 강성 및 내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도(b)는 일단과 타단을 상호 용접(p)으로 접합시켜 형성된 보강재 (4)를 외부 파이프(2)와 내부 파이프(3)의 사이에 삽설된 도면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형성된 보강재(4)는 재질이 알루미늄 및 스텐레스 등의 얇은 금속재이므로 용접(p)작업시 보강재(4) 양단부의 기밀유지가 어려워 신중을 기해야 하고. 용접(p)후에 불량률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어 생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삽설되는 보강재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독립된 접합부를 형성시켜 상호 접힘압착시킨 보강재를 제공하므로써, 복합 파이프 내에서 전달되는 유체의 내압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복합 파이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식을 방지하며, 열전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달되는 유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불량률 및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 및 전달시키도록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에 보강재가 삽설되어 구성된 복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의 사이의 보강재는 길이 방향으로 앙단부에 독립된 접합부가 형성되고, 이 접합부를 상호 접힘압착시켜 삽설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제1도 (a),(b)는 종래의 파이프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파이프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복합 파이프 11 : 외부 파이프
12 : 내부 파이프 13 : 보강재
13a : 접합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으로 유체의 흐름을 유도 및 전달시키도록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에 보강재(13)가 삽설되어 구성된 복합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의 사이의 보강재(13)는 양단부에 독립된 접합부(13a)가 형성되고, 이 접합부(13a)를 상호 접힘압착시켜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의 사이에 삽설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보강재(13)는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의 사이에 삽설되는 것으로, 보강재(13) 자체는 복합 파이프(10)의 내열성 및 내압성을 증가시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보강재(13)의 이음매는 길이 방향으로 독립적인 접합부(13a)가 형성되어 상호 접혀져 강하게 압착되므로 내압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보강재(13)의 이음매에 공극이 생기지 않아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독립된 접합부(13a)의 상호 결합이 용이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보강재(13)의 외주면에 접착 제(14)를 도포한후 보강재(13)를 외부 파이프(11)의 내측으로 삽설하고, 이 보강재 (13)의 내측으로는 외주면에 접착제(14)가 도포된 내부 파이프(12)를 삽설하여 상호 긴밀한 결합이 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의 사이에 삽설되는 보강재(13)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독립된 접합부(13a)를 형성시켜 상호 접힘압착시킨 보강재(13)를 제공하므로써, 포개져 삽설된 보강재가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음매가 벌어져 보강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복합 파이프(10)가 유체에 대한 내압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복합 파이프(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식을 방지하며, 열전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달되는 유체의 손실을 방지하고, 용접에 의해 삽설된 보강재에 비하여 기밀유지가 용이하고, 보강재(13)의 제작이 용이하여 불량률 및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체의 흐름을 유도 및 전달시키도록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에 보강재(13)가 삽설되어 구성된 복합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이프(11)와 내부 파이프(12)의 사이의 보강재(13)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접합부(13a)가 형 성되고, 이 접합부(13a)가 상호 접힘압착되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파이프 .
KR2019960033977U 1996-10-16 1996-10-16 복합 파이프 KR200147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77U KR200147821Y1 (ko) 1996-10-16 1996-10-16 복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77U KR200147821Y1 (ko) 1996-10-16 1996-10-16 복합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32U KR19980020732U (ko) 1998-07-15
KR200147821Y1 true KR200147821Y1 (ko) 1999-06-15

Family

ID=1946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977U KR200147821Y1 (ko) 1996-10-16 1996-10-16 복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8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588B1 (ko) * 2006-11-29 2008-09-01 주식회사 티엠시 콘크리트 펌프카용 슬러리 이송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32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7981B2 (ja) 内部スエージング式継手金具
JP4874459B2 (ja) ねじ付きユニオン
US4436987A (en) Weld connection for plastic pipe
EP2800921B1 (en) Heat-shrinkable tube covering
US4527818A (en) Coupling for pipe or tubing
RO108999B1 (ro) Procedeu pentru tevi
FI102635B (fi) Menetelmä putkiliitoksen tekemiseksi ja putkiliitos
CN100543349C (zh) 复合管接头及其加工方法
US20100045028A1 (en) Method of connecting a member to an end of a multilayer tube
US4174124A (en) Pipe joints and connectors therefor
KR200147821Y1 (ko) 복합 파이프
CA1315140C (en) Manufacture of bags
JP2562781B2 (j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H0875076A (ja) 配 管
CN106678473A (zh) 一种片式无渗漏快速热熔连接方法及连接头
CN2475915Y (zh) 电熔带式缠绕管接头
JP2627485B2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
CN216952176U (zh) 一种具有电磁熔胶圈双密封结构的排水管
US1945279A (en) Concrete pipe coupling
JP3754787B2 (ja) 外面防蝕継手
CN108266583A (zh) 一种可快速拆装并具备密封功能的管路连接结构及方法
CN217559251U (zh) 一种内衬套管式内涂层管端防脱插接连接装置
JPS6112469Y2 (ko)
JPH06159563A (ja) 受口付きポリオレフィン管
RU1666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сварного шва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