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854Y1 -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854Y1
KR200146854Y1 KR2019930028906U KR930028906U KR200146854Y1 KR 200146854 Y1 KR200146854 Y1 KR 200146854Y1 KR 2019930028906 U KR2019930028906 U KR 2019930028906U KR 930028906 U KR930028906 U KR 930028906U KR 200146854 Y1 KR200146854 Y1 KR 200146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eat dissipation
electric vehicle
dissipa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8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798U (ko
Inventor
배도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30028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854Y1/ko
Priority to DE4445738A priority patent/DE4445738A1/de
Publication of KR950017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셀로 구성된 밧데리를 유지하는 다수의 격실과, 상기 격실을 둘러싸는 플라스틱 케이스와, 상기 격실내에 설치되는 셀간의 절연을 위한 플라스틱 절연체와, 상기 케이스의 외벽에 부착되며 다수의 방열핀을 지닌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를 제공하여 밧데리의 충전 및 방전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본 고안의 밧데리 방열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3개의 고정용 밴드가 설치된 본 고안의 밧데리 방열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밧데리 방열장치가 고정프레임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밧데리 케이스 14 : 절연체
16 : 상부 프레임 18 : 하부 프레임
20 : 알루미늄 시트 32 : 고정 프레임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시트(sheet)를 사용하여 밧데리의 방열작용을 향상시킨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밧데리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동기를 회전시켜 바퀴를 구동하는 차량으로, 가솔린이나 디젤 등을 사용하는 종래의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 및 석유 자원 고갈의 문제 때문에 전기는 향후의 대체 에너지로 사용될 전망이며 그에 따라 전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현재 전기 자동차에서 대두되고 있는 중요한 해결 과제 중의 하나가 동력원인 전기를 발생시키는 밧데리의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충전 또는 방전시에 밧데리에 발생되는 열을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 해결과제로 남아 있다.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예를 들면 Ni-MH(Ni-Metal Hydride)전지의 경우에는 별도의 방열장치가 없이 충전 및 방전시 발생되는 열을 밧데리 케이스로부터 직접 방출하여 왔다. 그에따라 종래의 밧데리에서는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개의 전지를 겹쳐 쌓아 사용하는 경우 방열의 문제가 수반되었고 그 결과 성능의 저하 및 1회 충전시 주행가능한 거리가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충전 및 방전시 밧데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에 방출시키는 한편 다수의 밧데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밧데리 셀이 설치되는 밧데리 케이스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의 외벽에 부착되며 다수의 방열핀을 지닌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밧데리 셀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와, 상기 케이스를 유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의 사시도로, 내부에 설치되는 밧데리는 도시하지 않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6개의 밧데리 셀(cell)이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를 일예로 실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열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의 밧데리 케이스(10)를 가지며, 이 밧데리 케이스(10)는 6개의 격실(12)을 구비하고, 격실(12)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밧데리 셀이 각기 설치된다. 각각의 격실(2)은 플라스틱 절연체(14)를 사용하여 절연하며, 상기 밧데리 케이스(10) 역시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셀간의 단락을 방지하였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밧데리 방열장치에는 상부 프레임(16)과 하부 프레임(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알루미늄 시트(20)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밴드(22)가 끼워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선 A-A를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본 고안의 밧데리 방열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격실(12)은 플라스틱 절연체(14)에 의해 절연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양쪽의 외벽(13)에는 방열을 위한 알루미늄 시트(20)가 부착되어 있다. 알루미늄 시트(20)는 다수의 방열핀(24)을 갖는 주름 형상으로 제조되며, 이것을 위에서 보면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타원형으로 제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조번호(18)는 앞에서 설명한 하부프레임을 나타낸다.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내에 6개의 셀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시트를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3개의 밴드(26)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셀은 커넥터(28)로 연결하였다. 통상적으로 순수한 니켈(Ni)로 제조하는 커넥터는 유연성을 지닌 판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내부에 삽입된 각각의 셀 및 방열장치의 유동시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단면 커넥터(28)는 방열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망상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절연하였으며 보울트를 사용하여 밧데리 단자(30)에 연결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6개의 셀을 직렬로 연결하였으므로, 가령 1셀당의 전류가 1.2V일 경우에는 하나의 밧데리 방열장치에 의해 총 7.2V의 전류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밧데리 방열장치가 고정 프레임(3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이로드(34)를 사용하여 밧데리 방열장치를 고정프레임(32)상에 고정시킨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셀(본 고안에서는 6개)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밧데리를 장착할 수 있으며, 밧데리의 방전 및 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방출할 수 있는 밧데리 방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내부에 밧데리 셀이 설치되는 밧데리 케이스(10)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10)의 외벽(13)에 부착되며 다수의 방열핀(24)을 지닌 알루미늄 시트(20)와, 상기 밧데리 케이스(10)내에 설치되어 밧데리 셀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14)와, 상기 케이스(10)를 유지하는 상부 프레임(16)과 하부 프레임(1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14)와 밧데리 케이스(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시트(20)를 상기 케이스(10)의 외벽(13)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밴드(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KR2019930028906U 1993-12-21 1993-12-21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KR200146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906U KR200146854Y1 (ko) 1993-12-21 1993-12-21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DE4445738A DE4445738A1 (de) 1993-12-21 1994-12-21 Halter für wiederaufladbare Batteriezellen und für diesen vorgesehene Aufnahmevorrichtung zur Verwendung in Elektrofahrzeug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906U KR200146854Y1 (ko) 1993-12-21 1993-12-21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98U KR950017798U (ko) 1995-07-22
KR200146854Y1 true KR200146854Y1 (ko) 1999-06-15

Family

ID=1937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8906U KR200146854Y1 (ko) 1993-12-21 1993-12-21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8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720B1 (ko) * 2010-12-10 2012-09-24 대한칼소닉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720B1 (ko) * 2010-12-10 2012-09-24 대한칼소닉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98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486B2 (ja) 冷却効率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
EP3282515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N107112461B (zh) 包括具有夹持部的盒的电池模块
US9748619B2 (en) Onboard battery for vehicle
KR101064240B1 (ko) 열복사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 시스템
CN111630683A (zh) 包括安装结构的电池组
KR102184753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50115250A (ko) 내부 텐션-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60049703A1 (en) Battery module with restrained battery cells utilizing a heat exchanger
KR20090082212A (ko) 온도 제어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조립체
KR20180081393A (ko) 원통형 배터리 모듈
KR20210065268A (ko)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027149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US20220013840A1 (en) Holder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cells in an energy storage device
KR20160142663A (ko) 배터리 모듈
KR20090050118A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인버터의 필름커패시터 모듈
JP2010061988A (ja) 蓄電装置
JP2003346759A (ja) 電池システム
KR101827402B1 (ko) 냉각 패드가 부착된 밀폐형 배터리팩
JP7200223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102028330B1 (ko) 이차전지 모듈
KR200146854Y1 (ko) 전기 자동차용 밧데리 방열장치
CN210837820U (zh) 一种48v系统锂离子蓄电池模组
KR100627396B1 (ko) 이차 전지 모듈
CN217182266U (zh) 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