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435Y1 -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435Y1
KR200146435Y1 KR2019940024349U KR19940024349U KR200146435Y1 KR 200146435 Y1 KR200146435 Y1 KR 200146435Y1 KR 2019940024349 U KR2019940024349 U KR 2019940024349U KR 19940024349 U KR19940024349 U KR 19940024349U KR 200146435 Y1 KR200146435 Y1 KR 200146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ircuit breaker
load
break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264U (ko
Inventor
이종학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40024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435Y1/ko
Publication of KR960012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나 회로 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의 차단기를 가지고 두 개의 차단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단기는 회로 보호기와 같은 전자회로 보호 목적으로 사용시 회로 시스템내의 보호 특성에 따라 보호해야하는 부하 각각에 차단기를 설치해야 함으로 시스템 설치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고정 접촉자와 연결된 검출부의 코일을 분리하고, 이를 각각 단자화하여 제1, 제2부하와 연결 시킴에 따라 차단기 하나로 두 개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고, 또 그에 따른 설치면적과 설치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제1도는 종래 차단기의 회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차단기 구조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회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차단기 구조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단자의 구조도이다.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나 회로 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의 차단기를 가지고 두 개의 차단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류의 내열량에 따라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회로 보호기는(CP) 내열량이 적은 전자 회로나, 솔레노이드및 반도체회로등의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진 배선용 차단기나 회로 보호기는 그 보호 특성은 다르지만 근본적으로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특성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 차단기의 과전류 차단 방식은 크게 바이메탈을 이용한 열동식과 완전 전자식으로 구분되며, 이 두 방식의 차단기구조는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기구부(A)와 과전류 검출부(B)성되어 부하 하나에 차단기 하나가 설치되는 것이 종래의 차단기 방식이다.
또한 이에 대한 작동을 보면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전원측 단자(14)로 흘러간 전류는 가동접촉자(10)를 지나 고정접촉자(11)로 흘러 들어가 코일(12)을 타고 부하측 단자(14a)로 흐르게 되며, 과전류 발생시 아마추어(13)가 동작하여 기구부(A)를 동작하게 한다.
즉 가동접촉자(10)가 고정접촉자(11)에서 분리되어 도면 제1도의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는 회로 보호기와 같은 전자회로 보호목적으로 사용시 회로 시스템내의 보호 특성에 따라 보호해야 하는 부하 각각에 차단기를 설치해야 함으로 시스템 설치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차단기로 두 개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설치면적을 줄이고, 설치비용을 절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선이나 전자회로를 보호하는 통상의 차단기에 있어서, 과전류 검출부의 코일과 연결된 고정접촉자를 상기 검출부의 코일과 분리하여 제1부하측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고정단자와 분리된 코일의 끝단을 제2부하측단자와 연결 하여 하나의 차단기에 두 개의 부하를 걸어 전체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회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조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단자의 구조도이다.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전원측 1차단자(24a)는 기구부(A)와 연결된 가동접촉자(10)와 연결되고, 이 가동접촉자(10)는 검출부(B)의 코일(12)과 연결되었던 고정접촉자(21)와 연결하되 상기 코일(22)과 고정접촉자(21)를 분리하고, 상기 고정접촉자(21)는 제1부하(30a)와 연결되는 제1부하측단자(34a)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접촉자(21)와 분리된 검출부(B)의 코일(22)종단은 제2부하(30b)와 연결된 제2부하측단자(34b)가 연결되고, 코일(22)의 다른 일측은 전원측 2차단자(24b)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코일(22)의 상부에는 과전류 발생시 상기 코일(22)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아마추어(13)가 설치되며, 상기 아마추어(13)의 작동에 따른 연계동작으로 차단기를 차단 시키는 기구부(A)가 아마추어(13)와 연결 구성된다.
이때 전원측 1차, 2차 및 제1부하, 제2부하측 상기 단자(24a)(24b)(34a)(34b)들은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모두가 압착단자(40)의 형상이며, 아마추어(13)의 스탠다드 번호(Standard No)는 리셉터컬(Reseptacle)#250시리즈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먼저 전원측 1차단자(24a)와 제1부하측단자(34a)에 제1부하(30a)를 연결하고, 제2부하측단자(34b)롸 전원측 제2단자(24b)에는 제2부하(30b)를 연결하되, 제2부하(30b)에는 정격전류 이하의 로드를 걸고, 제2부하측단자(34b)와 전원측 2차단자(24b)에는 전류 변동이 큰 로드를 걸어 이상적인 결선이 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2부하(30b)에서 과전류가 걸리게 되면 상기 검출부의 코일(22)에 자장이 발생하여 아마추어(13)를 흡인하게 되고, 그 흡인동작에 의해 기구부(A)가 동작하여 제1부하(30a)의 회로가 차단되어 전체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정 접촉자와 연결된 검출부의 코일을 분리하여 각각 단자화하여 외부 단자로 빼내어 각각 제1, 2부하와 연결시킴에 따라 차단기 하나로 두 개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고, 또 그에 따른 설치면적 및 설치비용이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전원측 1차단자(24a)는 기구부(A)와 연결된 가동접촉자(10)와 연결되고, 이 가동접촉자(10)는 검출부(B)의 코일(12)과 연결되었던 고정접촉자(21)와 연결하되 상기 코일(22)과 고정접촉자(21)를 분리하고, 상기 고정접촉자(21)는 제1부하(30a)와 연결되는 제1부하측단자(34a)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접촉자(21)와 분리된 검출부(B)의 코일(22)종단은 제2부하(30b)와 연결된 제2부하측단자(34b)가 연결되고, 코일(22)의 다른 압측은 전원측 2차단자(24b)와 연결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에 정격전류이하의 로드를 걸고, 제2부하측단와 전원측 2차단자에는 전류 변동이 큰 로드를 걸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KR2019940024349U 1994-09-17 1994-09-17 차단기 KR200146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349U KR200146435Y1 (ko) 1994-09-17 1994-09-17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349U KR200146435Y1 (ko) 1994-09-17 1994-09-17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64U KR960012264U (ko) 1996-04-17
KR200146435Y1 true KR200146435Y1 (ko) 1999-06-15

Family

ID=1939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349U KR200146435Y1 (ko) 1994-09-17 1994-09-17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4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64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8246B1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for protecting against overcurrents
US8213133B2 (en) Load breaker arrangement
US4949214A (en) Trip delay override for electrical circuit breakers
US5818671A (en) Circuit breaker with arcing fault detection module
CA2411238C (en) Circuit breaker for detecting an excessive voltage and tripping responsive thereto
US5530613A (en) Current limiting circuit controller
AU2009214807B2 (en) A Residual-Current Circuit Breaker
US5473495A (en) Combination load controller
US4194231A (en) Dual voltage ground fault protector
EP3072145A1 (en)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rollable circuit breakers for local and/or remote control
US6710988B1 (en) Small-sized industrial rated electric motor starter switch unit
US5966281A (en) Circuit breaker with thermal sensing unit
US20070132531A1 (en) Two pole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a single arc fault or ground fault trip circuit
US20030052756A1 (en) Switching method for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and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US5617281A (en) Low cost circuit controller
KR200146435Y1 (ko) 차단기
EP2509092B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US5684443A (en) False-trip-resistant circuit breaker
US20010011650A1 (en) Device for short-circuit protection
KR200266485Y1 (ko) 가정용 소형 차단기
CA2296983C (en)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US20240038474A1 (en) Plug-in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 module, rail-mounted device, and assembly method
RU2121205C1 (ru) Автомат защиты
JPH02273433A (ja) 負荷保護装置
RU222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