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140Y1 -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140Y1
KR200146140Y1 KR2019970007304U KR19970007304U KR200146140Y1 KR 200146140 Y1 KR200146140 Y1 KR 200146140Y1 KR 2019970007304 U KR2019970007304 U KR 2019970007304U KR 19970007304 U KR19970007304 U KR 19970007304U KR 200146140 Y1 KR200146140 Y1 KR 200146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air freshener
air
slider means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895U (ko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7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1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는, 슬라이더수단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누름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수단이 하강될 때 누름부재의 누름동작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방향제가 일정량 열교환기를 향해 분사되어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도를 높이도록 전기집진기의 고정브라켓에 방향제 취부부재를 매개로 설치된 스프레이식 방향제용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취부부재에는 그 수직벽에 다소 크기가 상이한 방향제용기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그 내측으로 볼록하게 다수개의 탄성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은 다소 크기가 상이한 방향제용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방향제용기의 교체시에 용이하게 조립 및 탈거할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방향제를 분사시켜 공기조화기내의 악취를 제거함은 물론 향기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기능을 하는 방향제를 견고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방향제용기의 탈착 및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 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의 상부에는 토출구(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10)의 하부에는 구동수단(도시안됨)의 동력을 전달받아 흡입구(30)를 개폐하는 흡입그릴체(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그릴부재(40)의 바로 상측에는 장식부재(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20)의 하부에는 누름동작에 의해 제품의 운전 및 정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좌우로 회전시켜 실내공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셔틀버튼(60)을 가진 콘트롤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그릴체(10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흡입구(3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80)가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80)의 상측에는 열교환기(8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덕트(91)내에서 구동원(92)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20)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블로워팬(9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20)에는 그 토출구(20)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제어하도록 복수개의 풍향상하조절판(21) 및 풍향좌우조절판(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체(100)는 상기 흡입구(30)의 면적에 대하여 좌우 외곽정면에 착탈가능케 설치된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과, 상기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수단(120)과, 상기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의 상단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쌍의 그릴사이드 프레임(11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수단(130)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구동수단(140)과, 상기 구동수단(14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과,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동시 상하회동되면서 흡입구(30)를 개폐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에 힌지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과,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이 상승동작된 후 하강동작될 때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중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이 유효행정거리를 이탈하지 않고 다른 도어수단(160)과 함께 동시 동작되도록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에 상하동작자유롭게 설치된 서브 슬라이더수단(17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는 상기 에어필터(도시안됨)가 상부에서 수직으로 착탈가능케 삽입되도록 그들 내측면 후단에 일체로 돌설된 한쌍의 필터가이드레일(121)과,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하단을 각각 힌지결합하도록 그들 내측면에 대하여 전단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되지 않게 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홈(122)과,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중간단을 각각 힌지결합하면서 일정한 행정거리로 상하회동되도록 그들 양측면 중앙에 대하여 상기 다수개의 힌지홈(122)의 사이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장공형상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홀(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140)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중 하나의 내측면 하단에 설치된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그 양단에 고정된 피니언(142)을 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하단측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1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142)은 상기 회전축(143)의 양단에 압입고정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의 내측면을 통해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에는 상기 구동수단(140)의 회전축(143) 양단에 고정된 피니언(142)과 기어접촉되어 피니언(142)의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그들 하단 일측에 각각 형성된 랙기어부(151)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는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중간단과 힌지결합되어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을 상하회동시키도록 그들 양측면 전단에 대하여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홀(123)과 대응되게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52)과, 상기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이 탄발작용에 의해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 높이보다 상향되게 상승동작되거나 또는 누름압력에 의해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하강동작되도록 그들 상단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15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부(151)에는 상기 피니언(142)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이 승하직선운동될 때 피니언(142)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상단에 걸림턱(151a)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슬롯홀(152)중에서 최상단측 슬롯홀(152)의 상부는 상기 도어수단(160)에 형성된 후술하는 제2힌지축이 외부로 벗어나도록 절결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홈(122)에 힌지결합되도록 그들 양측면 하단에 각각 돌설된 제1힌지축(161)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에 형성된 슬롯홀(152)에 삽입되도록 그들 양측면 중간높이에 각각 돌설된 제2힌지축(1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161)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제2힌지축(16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그릴체(100)의 내측에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상기 흡입구(30)를 개방시키는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일정량의 방향제(향수)가 열교환기(도시안됨)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실내기(10)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 역할을 하는 방향제 분사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방향제 분사수단(200)은, 상기 슬라이더수단(150)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누름부재(210)와, 상기 슬라이더수단(150)이 하강될 때 누름부재(210)의 누름동작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방향제가 일정량 열교환기(21)를 향해 분사되어 실내기(10)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 청정도를 높이도록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설치된 스프레이식 방향제용기(2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210)는 상기 하나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외측에 대하여 소정높이에 일체로 돌설된 고정리브(154)에 복수개의 체결나사(230)를 매개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용기(220)는 상기 전기집진기(180)의 고정브라켓(190)에 취부부재(240)를 매개로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방향제용기(220)는, 상기 취부부재(240)에 흔들리지 않는 범위로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견고히 고정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량의 방향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상부 개구를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부재(210)의 누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하동작되면서 몸체(221)내의 방향제를 외부로 스프레이방식에 의해 분사시키도록 일측에 분사홀(222a)이 설치된 덮개(22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그릴체(100)에 설치된 구동수단(140)의 모터(141)가 구동되면, 이 모터(141)의 기어(도시안됨)와 맞물림된 피니언(142)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43)에 의해 타측단에 고정된 또 다른 피니언(142)을 동시 회전시키게 되고, 이들 피니언(142)은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하단에 형성된 랙기어부(151)와 각각 기어접촉된 상태에서 이들 슬라이더수단(150)을 승하강시키게 되며, 이들 슬라이더수단(150)은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을 상하회동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흡입구(30)의 면적을 폐쇄시키거나 또는 개방시키게 된다.
즉, 구동수단(140)의 일방향구동에 따라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슬라이더수단(1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52)은 상부방향으로 동시 위치이동되면서 가이드수단(120)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슬롯홀(152)에 삽입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제2힌지축(162)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힌지홈(122)과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하단에 돌설된 제1힌지축(161)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흡입구(5)의 면적을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구동수단(140)의 반대방향구동에 따라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슬라이더수단(1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홀(152)은 하부방향으로 동시 위치이동되면서 가이드수단(120)의 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상기 슬롯홀(152)에 삽입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의 제2힌지축(162)을 하부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가이드수단(120)에 형성된 힌지홈(122)과 도어수단(160)의 양측면 하단에 돌설된 제1힌지축(161)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흡입구(30)의 면적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수단(150)의 최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53)에 의해 상하직선운동되도록 설치된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은 슬라이더수단(150)의 상승동작시 상기 제2힌지축(162)이 슬롯홀(152)을 통과하여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의 슬롯홈(171)에 삽입된 마찰작용에 의해 어느 순간까지 동시 상승되다가 가이드수단(120)의 최상단에 도달되는 순간에 상승동작이 멈추게 되고, 슬라이더수단(150)도 가이드수단(120)의 최상단에 도달되는 순간 슬라이더수단(150)의 하단에 대하여 랙기어부(151)의 하단측에 형성된 걸림턱(도시안됨)과 피니언(142)과의 접촉에 의해 상승동작이 멈추게 됨으로써 가이드부(153)내에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이 수용됨과 동시에 가이드부(153)의 지지돌기(도시안됨)와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의 지지홈(도시안됨)과의 간격내에 수용된 스프링(도시안됨)을 압축시키게 되고, 도어수단(160)의 제2힌지축(162)은 슬라이더수단(150)의 슬롯홀(152)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더수단(150)의 하강동작시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은 상기 제2 힌지축(162)이 슬롯홀(152)을 통과하여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의 슬롯홈(171)에 삽입된 마찰작용 및 스프링(도시안됨)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더수단(150)의 하강속도보다 서서히 하강되면서 슬라이더수단(150)의 최상단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서브 슬라이더수단(17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71)은 슬라이더수단(150)의 최상단측에 형성된 슬롯홈(152)의 상단절개부와 일치되는 연장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수단(150)의 하강동작시 상기 슬롯홀(152)의 유효행정거리를 이탈하는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의 제2힌지축(162)을 구속하고, 슬라이더수단(150)의 상승동작시 제2힌지축(162)과 슬롯홀(152)과의 재결합을 유도하여 최상단측 도어수단(160)의 동작불량을 미연에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하나의 슬라이더수단(150)에 나사결합된 방향제 분사수단(200)의 누름부재(210)가 동시 하강동작되면서 그 자유단이 가이드수단(120)의 후면에 브라켓(240)을 매개로 고정된 방향제용기(220)의 덮게(222)를 누르게 된다.
이때, 방향제용기(220)의 덮개(222)는 상기 누름부재(210)의 1회 누름력에 의해 작동부(도시안됨)가 하강동작되면서 몸체(221)내에 충전된 방향제를 펌핑함과 동시에 덮개(222)에 형성된 분사홀(222a)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80)를 향해 일정량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기(80)에 분사된 방향제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실내기(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송풍바람(흡입꽁기)에 의해 방사상으로 확산됨으로써 실내기(10)내의 먼지 및 이물질이나 또는 실내기(10) 내부의 단열재 및 기계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게 되고, 또 토출되는 공기(차갑거나 또는 뜨겁게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2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청정도를 높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방향제용기(220)를 취부하는 취부부재(240)는 상기 방향제용기(220)를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게 취부하는 바 상기 방향제용기(220)는 일정한 크기의 몸체(221)를 가진 것을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몸체(221)의 크기가 작은 것을 사용할 경우 상기 취부부재(240)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고 몸체(221)의 크기가 큰 것을 사용할 경우 상기 취부부재(240)내에 삽입되지 않거나 상기 방향제용기(220)가 상기 전기집진기(180)의 고정브라켓(190)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방향제용기(220)의 방향제가 다 소모되고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취부부재(240)를 탈거한 후 방향제용기(220)를 교체해야 됨에 따라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소 차이가 있는 크기의 방향제용기를 흔들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향제 용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는, 슬라이더수단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누름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수단이 하강될 때 누름부재의 누름동작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방향제가 일정량 열교환기를 향해 분사되어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도를 높이도록 전기집진기의 고정브라켓에 방향제 취부부재를 매개로 설치된 스프레이식 방향제용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취부부재에는 그 수직벽에 다소 크기가 상이한 방향제용기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그 내측으로 볼록하게 다수개의 탄성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에 의한 흡입그릴체와 방향제 취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종래에 의한 흡입그릴체와 방향제 취부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흡입그릴체와 방향제 취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흡입그릴체와 방향제 취부장치를 조립하여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흡입구 80 : 열교환기
100 : 흡입그릴체 200 : 방향제 분사수단
210 : 누름부재 220 : 방향제용기
221 : 몸체 222 : 덮개
222a : 분사홀 300 : 방향제 취부부재
310 : 탄성절곡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조화기의 비가동시 흡입구(30)를 통하여 먼지나 이물질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동원에 의해 개폐각도가 변환되면서 흡입구(30)를 폐쇄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기능과 도어기능을 가진 흡입그릴체(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그릴체(100)의 내측에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상기 흡입구(30)를 개방시키는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일정량의 방향제(향수)가 상기 열교환기(80)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실내기(10)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향제 분사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 분사수단(200)은 슬라이더수단(150)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누름부재(210)와, 상기 슬라이더수단(150)이 하강될 때 누름부재(210)의 누름동작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방향제가 일정량 열교환기(80)를 향해 분사되어 실내기(10)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도를 높이도록 전기집진기(180)의 고정브라켓(190)에 방향제 취부부재(300)를 매개로 설치된 스프레이식 방향제용기(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누름부재(210)는 상기 하나의 슬라이더수단(150)의 외측에 대하여 소정높이에 일체로 돌설된 고정리브(154)에 복수개의 체결나사(230)를 매개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 취부부재(300)에는 그 수직벽에 다소 크기가 상이한 방향제용기(220)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그 내측으로 볼록하게 다수개의 탄성절곡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절곡부(310)는 상기 방향제용기(220)가 상측에서 삽입되고 상측으로 탈거되기 용이하도록 곡률의 중심이 수평방향이 되는 구형을 이루고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그릴체(100)에 설치된 모터(141)가 구동되면, 이 모터(141)의 기어(도시안됨)와 맞물림된 피니언(142)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43)에 의해 타측단에 고정된 또 다른 피니언(142)을 동시 회전시키게 되고, 이들 피니언(142)은 한쌍의 슬라이더수단(150)의 하단에 형성된 랙기어부(151)와 각각 기어접촉된 상태에서 이들 슬라이더수단(150)을 승하강시키게 되며, 이들 슬라이더수단(150)은 한쌍의 가이드수단(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상하회동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도어수단(160)들은 흡입구(30)의 면적을 폐쇄시키거나 또는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수단(150)이 가이드수단(120)의 외측면에 가이드되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될 때 하나의 슬라이더수단(150)에 나사결합된 방향제 분사수단(200)의 누름부재(210)가 동시 하강동작되면서 그 자유단이 전기집진기(180)의 고정브라켓(190)에 방향제 취부부재(300)를 매개로 설치된 방향제용기(220)의 덮개(222)을 누르게 된다.
이 방향제용기(220)의 덮개(222)는 상기 누름부재(210)의 1회 누름력에 의해 작동부가 하강동작되면서 몸체(221)내에 충전된 방향제를 펌핑함과 동시에 덮개(222)에 형성된 분사홀(222a)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80)를 향해 일정량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80)에 분사된 방향제는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실내기(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송풍바람(흡입공기)에 의해 방사상으로 확산됨으로써 실내기(10)내의 먼지 및 이물질이나 실내기(10)내부의 단열재 및 기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게 되고, 또 토출되는 공기(차갑거나 뜨겁게 열교환된 공기)와 함께 토출구(2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청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방향제용기(220)를 취부하는 방향제 취부부재(300)에 그 상측으로 통해 방향제용기(220)를 삽입하고 방향제가 다 소모된 후 방향제용기(220)의 교체시에는 상기 취부부재(300)의 상측으로 향해 들어 올리면, 방향제용기(220)는 그 외주면을 밀착하고 있던 탄성절곡부(310)의 구형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탈거된다.
또한, 다소 크기가 다른 방향제용기(220)를 설치하더라도 상기 탄성절곡부(310)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될 뿐만 아니라 삽입설치가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에 의하면, 상기 고정브라켓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된 방향제 취부부재를 방향제 용기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그 내측으로 볼록하게 탄성절곡부를 그 수직벽에 다수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소 크기가 상이한 방향제용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방향제용기의 교체시에 용이하게 조립 및 탈거할 수 있다.

Claims (2)

  1. 슬라이더수단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누름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수단이 하강될 때 누름부재의 누름동작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방향제가 일정량 열교환기를 향해 분사되어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방향제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청정도를 높이도록 전기집진기의 고정브라켓에 방향제 취부부재를 매개로 설치된 스프레이식 방향제용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취부부재에는 그 수직벽에 다소 크기가 상이한 방향제용기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그 내측으로 볼록하게 다수개의 탄성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곡부는 상기 방향제용기가 상측에서 삽입되고 상측으로 탈거되기 용이하도록 곡률의 중심이 수평방향이 되는 구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19970007304U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04U KR200146140Y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04U KR200146140Y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895U KR19980062895U (ko) 1998-11-16
KR200146140Y1 true KR200146140Y1 (ko) 1999-06-15

Family

ID=1949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304U KR200146140Y1 (ko) 1997-04-09 1997-04-09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1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895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6140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39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42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100197729B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46141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100220728B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101403005B1 (ko) 공기조화기
KR200146143Y1 (ko) 공기조화기의 방향제 취부장치
KR200154586Y1 (ko)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60010085A (ko) 실내기의 프론트패널 개폐구조
KR200146145Y1 (ko)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146144Y1 (ko) 공기조화기용 향발생기의 작동장치
KR100629527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KR0182577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자동개폐장치
KR200146146Y1 (ko) 공기조화기용 향저장용기의 고정장치
KR200154587Y1 (ko) 공기조화기용 향발생기의 작동장치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KR100879602B1 (ko) 공기조화기
KR100187242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및 흡입구 개폐장치
KR1007764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239493B1 (ko) 공기조화기
KR200232363Y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개폐장치
KR200233868Y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개폐장치
KR200149065Y1 (ko) 공기조화기
KR20030053864A (ko) 에어컨 실내기의 프레임필터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