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534Y1 -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534Y1
KR200144534Y1 KR2019960045575U KR19960045575U KR200144534Y1 KR 200144534 Y1 KR200144534 Y1 KR 200144534Y1 KR 2019960045575 U KR2019960045575 U KR 2019960045575U KR 19960045575 U KR19960045575 U KR 19960045575U KR 200144534 Y1 KR200144534 Y1 KR 200144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elt
clip
timing bel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690U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5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5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6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6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534Y1/ko

Links

Landscapes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잉크젯프린터에 있어 포장 및 운반시의 외부충격 및 진동에 의해 캐리어가 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및 아이들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에 의해 안내봉에 안내되어 캐리어가 왕복운동되는 것에 있어 상기 캐리어를 구동시키는 타이밍벨트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벨트고정수단과; 상기 벨트고정수단이 카바를 여는 당김력으로 이탈되도록 하는 벨트해제수단에 의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벨트고정수단이, 일방향으로 개구를 가진 클립으로 구성되고, 벨트해제수단은, 상기 클립과 카바를 로프로 연결시켜 카바의 열림동작에 의해 타이밍벨트로부터 클립이 이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고정장치 (CARRIER FIXING APPARATUS OF A INKJET PRINTER)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리어가 있는 왕복식프린터에서 포장 및 운반시의 외부충격 및 진동에 의해 캐리어가 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에 있어서의 캐리어는 프린트헤드를 가지고 안내봉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왕복하여 인자를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는 움직이는 동작부품이기 때문에 포장이나 운반상태에서 그 특성상 좌,우로 왕복 및 진동하여 양측의 다른요소와 충돌 및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충돌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품으로의 고정을 도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용부품을 주의 깊게 제거하여 캐리어가 동작 가능하게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과 번잡이 초래된다.
도 1 및 도 2는 그러한 종래의 캐리어고정수단을 보인 것으로서, 상기 도 1의 경우에 있어서는 안내봉(1)에 설치된 캐리어(2) 양측에 별도의 고정장치(3)를 설치하므로 유동방지를 도모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고정장치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과 번잡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도 2의 경우에 있어서는, 캐리어(2)를 안내봉(1)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반대측의 안내봉에 별도의 유동방지클립구(3')를 설치하여 유동방지되도록 한것으로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할 때 클립구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과 번잡이 초래되는 한편, 상기한 선행기술의 유동방지수단에 있어서는 그 모두가 부주의에 의해 사용자가 그들을 제거하지 않고 프린터 사용을 하는 경우 제품의 고장이 초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캐리어 몸체를 직접 고정함으로 강한 록킹력을 필요로 하며, 캐리지와 세트본체와의 완충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캐리어를 안내봉으로부터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보다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견고한 고정과 더불어서 고정상태에서도 캐리어와 기기본체가 약간의 탄성을 유지되도록 하므로서 외부 충격에 잘 견디도록 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주의성을 기울이지 않고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캐리어를 구동하는 타이밍벨트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벨트고정수단과; 상기 벨트고정수단이 카바를 여는 당김력으로 이탈되도록 하는 벨트해제수단에 의해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캐리어 고정을 보인 평면도,
도 2의 (A)는 종래기술의 또다른 캐리어 고정을 보인 평면도이고, (B)는 (A)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고정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벨트고정수단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벨트고정클립의 조임력을 설명하는 역학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작용을 나타낸 요부 발췌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고정장치의 벨트 해제 수단을 보인 개략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안내봉 12 : 캐리어
13,13' : 구동및아이들풀리 14 : 타이밍풀리
15 : 고정부 16 : 장력스프링
20 : 클립 21 : 개구
22 : 로프
이하,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본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은 본고안에 따른 캐리어고정장치를 보여 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고안이 실시되는 캐리어(12)는 안내봉(11)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12)의 이동을 위한 동력은 구동풀리(13)와 아이들풀리(13')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14)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12)와 타이밍벨트(14)는 고정부(15)에 의해 고정되고, 아이들풀리(13')는 장력스프링(16)의 힘을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고안은 2줄로 되는 타이밍벨트(14)를 일측에 개구(21)를 가진 클립(20)으로 모아지도록 합치시키도록 하며, 이에따라 타이밍벨트(14)는 중앙부가 당겨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큰 장력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장력과 더불어서 도 4의 도시와같이 타이밍벨트(14)의 중간부가 맞물리게 되므로서 타이밍벨트(14)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즉, 클립(20)에 의해 양측으로 간격을 가지는 타이밍벨트(14)를 모아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타이밍벨트(14)의 이빨(14a)이 상호 맞물리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타이밍벨트(14)가 회전되지 못하게 되고 아울러서 캐리어(12)도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상기와같이 맞물린 타이밍벨트(14)에 대한 저항력과 조임력 관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P는 캐리어의 충격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그리고 F는 이를 견디기 위한 클립의 조임력을 나타내며, 따라서 F = tanθ x P가 된다.
이때, 상기 F도 타이밍벨트의 돌기부 마찰력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므로 실제로는 미약한 조임력으로도 캐리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 충분한 조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아이들풀리(13')는 장력스프링(16)의 탄력을 받는 상태로서 일정량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타이밍벨트(14)가 클립(20)에 의해 조여지게 되면, 약간 유동하게 되며, 아울러서 타이밍벨트가 클립의 조임에 의해 긴장력을 받은 상태에서 캐리어(12)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아이들풀리(13')가 일정량을 완충적으로 유동함에 따라 캐리어 및 기기본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클립(2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로프(22)에 의해 카바(17)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카바(17)를 열게 되면 클립(20)이 당겨지게 되고, 그에따라 상기 클립(20)의 개구(21)를 통해 타이밍벨트(14)가 이탈되는 상태로 클립(20)이 빠져 버리므로서 타이밍벨트(14)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해제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14)로부터 이탈된 클립(20)을 제거하고 프린터를 가동시키면 되는 것으로서, 이때는 상기 타이밍벨트(14)가 원래의 정상상태로 복원되므로 타이밍벨트(14)의 구동과 더불어서 안내봉(11)을 따라 캐리어(12)가 왕복 운동되어 인자할 수 있는 정상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고안에 의해 프린터의 취급 운반시에 캐리어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될 수 있는 고정구조를 가지므로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출고후 최초에 카바를 열면 자동으로 캐리어 고정이 해제되므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는 사용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구동 및 아이들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타이밍벨트에 의해 안내봉에 안내되어 캐리어가 왕복운동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구동시키는 타이밍벨트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벨트고정수단과;
    상기 벨트고정수단이 카바를 여는 당김력으로 이탈되도록 하는 벨트해제수단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고정수단이, 일방향으로 개구를 가진 클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해제수단을, 상기 클립과 카바를 로프로 연결시켜 카바의 열림동작에 의해 타이밍벨트로부터 클립이 이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캐리어고정장치.
KR2019960045575U 1996-12-04 1996-12-04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KR200144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575U KR200144534Y1 (ko) 1996-12-04 1996-12-04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575U KR200144534Y1 (ko) 1996-12-04 1996-12-04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690U KR19980032690U (ko) 1998-09-05
KR200144534Y1 true KR200144534Y1 (ko) 1999-06-15

Family

ID=5398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575U KR200144534Y1 (ko) 1996-12-04 1996-12-04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5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690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9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vibration prevention mechanism of a carriage
US7806510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DE69316819D1 (de) Regeneriermechanismus und ein Tintenstrahlgerät mit diesem Mechanismus
RU2003112688A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механизмов,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мотор/генератор
EP0522754B1 (en) Carriage shifting apparatus and serial recording system
KR200144534Y1 (ko)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어 고정장치
JP5776350B2 (ja) 画像形成装置
US5959642A (en) Printer having a shock absorber for a printer motor
US5044797A (en) Device for connecting a timing belt to a printhead carriage
KR900003229Y1 (ko) 프린터장치의 캐리지 고정기구
US6045212A (en) Integral spring drive belt system for inkjet carriages
US5271742A (en) Belt tensioning system and improved belt tensioner
US5413536A (en) Low noise active tracking mechanism
JP3928710B2 (ja) 記録装置
KR830001867Y1 (ko) 타자기의 리본 긴장유지장치
US20230415504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4491962B2 (ja) インクキャリア
JPH0230571A (ja) シリアル印字装置
JP2007144675A (ja) 画像形成装置のキャリッジ防振装置
US7237870B2 (en) Office machine
GB2219253A (en) A paper tractor and forms feeding apparatus
JPH03215079A (ja) ドット印字装置
JP2017013454A (ja) 記録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3064721U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2349661A (ja) 基台のベルトへ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