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277Y1 - Change Coin Paying Device - Google Patents

Change Coin Pay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277Y1
KR200144277Y1 KR2019960004826U KR19960004826U KR200144277Y1 KR 200144277 Y1 KR200144277 Y1 KR 200144277Y1 KR 2019960004826 U KR2019960004826 U KR 2019960004826U KR 19960004826 U KR19960004826 U KR 19960004826U KR 200144277 Y1 KR200144277 Y1 KR 200144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hange
coins
basket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8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5773U (en
Inventor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신재한
주식회사앰앤드제이택크
이찬수
한국사무자동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한, 주식회사앰앤드제이택크, 이찬수, 한국사무자동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재한
Priority to KR2019960004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277Y1/en
Publication of KR970055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77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277Y1/en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이러한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의 구동을 좀더 정확하고 안정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ge coin payment device of the rate setter, which is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change coin payment device more accurately and stably.

본 고안은 상기 요금 정산기의 주화반출금고와 거스름지급 접시 사이에 설치되어 주화반출금고로부터 배출되는 거스름돈 주화를 이송시키는 캐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주화반출금고로부터 배출되는 주화를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측에 설치한 전도부재에 의해 자유롭게 전도/기립되는 바스켓이 구비되어져 있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타이밍 벨트에 의해 활주되도록 이송시키는 구동모우터를 포함한 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 pair of guide rails for guiding the carriage for transporting the change coin to be discharged from the coin takeout bank and installed between the coin takeout vault and the change tray of the fare checker, and the coin discharged from the coin takeout vault And a carriage having a basket provided with a basket freely inverted / standing by the conductive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and a driving motor for transferring the carriage to slide by the timing belt. It is.

이러한 본 고안은 거스름주화 지급동작을 좀더 신뢰성 있고 안정되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to operate the change coin payment operation more reliably and stably.

Description

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Change Coin Paying Device

본 고안은 버스나 전차등의 승차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거스름 주화를 정확하고도 안정되게 지급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ge coin payment device of a fare checker, such as a bus or a trai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hange coin with a simple structure accurately and stably.

요금정산기는 여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들 중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보면 공중전화나, 자동판매기의 상품요금 또는 버스 또는 전철요금 정산에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요금정산기들은 주화나 지폐 또는 자기 테이프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Fares are widely used in many fields, the most widely used among them are mainly used for the settlement of goods or bus or train fare of public telephones, vending machines. Such tollers use coins, bills, or magnetic tape cards.

이러한 요금정산기들 중 버스나 전차 등의 요금기에 사용되는 정산기의 경우를 보면 주화와 지폐, 그리고 승차권을 겸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일례로 일본국 실용신안공번 소60-25644호, 공개실용신안공번 소60-14472호, 실용신안공번 평2-41723호, 공개실용신안공번 평3-34172호가 알려져 있다.Among the fare checkers, the checkers used for fare such as buses and train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coins, bills, and tickets. For example, Japanese Utility Model No. 60-25644, Public Utility Model No. 60-14472, Utility Model No. Hei 2-41723, and Public Utility Model No. Hei 3-34172 are known.

이러한 버스 요금정산기들은 대체적으로 주화와 지폐 또는 승차권의 투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이의 각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주화, 지폐, 승차권을 계수부나 판독부로 계수 또는 인식시키고, 그리고 선별부를 거치어 주화는 잔금지급을 위해 주화 단위로 구획된 지출금고 내에 주화 단위별로 수납시키고 잔금보관액 이상의 주화나 지폐, 승차권은 금고 내에 보관되게 하고 있다.These bus fare counters generally have coins, bills or tickets, respectively, and count or recognize coins, bills, and tickets flowing through their slots as counters or readers, and pass coins through the sorting section. For this purpose, coins are stored in coin deposits divided by coins and coins, banknotes and tickets exceeding the balance are stored in safes.

이러한 버스 요금 정산기에서 반출금고내에 보관되어 있는 거스름주화의 지급은 상기에서와 같이 주화선별부를 통과하며 단위별로 선별하여 지출기구 내에 각 주화단위별로 구획 보관하며 대기하고 있다 거스름 지급신호가 주어지면 지출기구는 그 해당 단위의 주화를 반출해내고, 이렇게 반출되는 거스름주화를 별도의 반송기구를 통하여 지급시키고 있다. 그러한 거스름주화의 지급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일례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번 평3-34172호가 알려져 있다.In the bus fare checker, the payment of change coins stored in the unloading depository is passed through the coin sorting unit as described above, divided by unit, and stored by waiting for each coin unit in the spending mechanism. Coins export the coin of the unit and pay out the change coins in a separate return mechanism. There are various kinds of payment devices for such change coins to date, and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3-34172 is known.

이러한 거스름지급장치는 지출기구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반출콘베이어벨트에 연이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출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정산기 외주벽 상부측에 구비되는 지급접시로 반송되게 하고 있다.This change payment device is to be conveyed to the paymen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payout conveyor belt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ubsequent to the transport conveyor belt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spending mechanism.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출기구내에 보관되어 있던 주화를 원반형의 반출 수단에 의해 낱개로 인출시키어 그 지출기구(반출금고)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반출콘베이어 벨트상으로 낙하시키고, 그 반출콘베이어벨트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며 지출기구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금고측 또는 지급콘베이어벨트 측으로 구분 반송시키게 하며, 거스름 지급 신호가 있을 경우 반출콘베이어벨트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거스름주화를 지급 콘베이어벨트를 통하여 지급되게 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ins stored in the dispensing mechanism are drawn out individually by disc-shaped discharging means and dropped onto the discharging conveyor belt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dispensing mechanism. To the station, and to be returned to the safe side or the payment conveyor belt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ending mechanism, and when there is a change payment signal, the export conveyor belt is driven clockwise to pay the change coin through the payment conveyor belt. Do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지급콘베이어벨트는 장시간 사용시 그 콘베이어벨트의 긴장상태가 느슨해져 콘베이어벨트 사이에 협지되어 운반되는 거스름주화가 반송 중 그 지급콘베이어벨트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고, 거스름지급에 미지불이 발생하는 등 요금 정산기의 정산은 물론, 기기가 오동작되는 등의 구동이 불안정한 결함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ayment conveyor belt is loosened when the conveyor belt is tensioned for a long time, the change coin that is carried between the conveyor belt is separated from the delivery conveyor belt during transportation, falls, and unpaid payment occurs. In addition to the settlement of the fare checker, there is a defect in which the drive is unstable, such as malfunction of the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은 요금 정산기에서 거스름 주화를 지급할 때 거스름 주화의 지급이 정확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urate and structurally stable environment for the payment of change coins when paying change coins in the fare checker.

제1도는 본 고안 거스름주화 지급장치가 구비된 요금 정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단면도.Figure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harge settlement machine provided with the change coin co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 거스름주화 지급장치가 구비된 요금 정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are payment machine equipped with the change coin co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coin change payment device.

제4a도는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의 캐리지가 하강되어 반출금고로부터 반출되는 거스름주화를 받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Figure 4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change coin to be removed from the safe deposit box carriage of the change coin payment device.

제4b도는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의 캐리지가 상승되어 거스름주화를 바스켓으로 쏟아내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4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ouring the change coin into the basket by raising the carriage of the change coin paying device.

제5a도는 본 고안 거스름주화 지급장치에서 캐리지와 타이밍벨트의 결합구성의 종단면도.Figure 5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carriage and the timing belt in the present coin change payment device.

제5b도는 제5a도의 A-A선 부분을 절단하여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FIG. 5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taken along a line A-A of FIG. 5A.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정산기 101 : 주화투입구100: payment machine 101: coin entrance

102 : 지폐투입구 103 : 카드리더102: banknote entrance 103: card reader

104 : 거스름지급접시 200 : 주화계수부104: change payment plate 200: coin counting unit

300 : 주화선별부 400 : 주화반출금고300: Coin Selector 400: Coin Exporting Deposit Box

500 : 거스름지급장치 510 : 캐리지500: change payment device 510: carriage

520 : 바스켓 521 : 안내핀520: basket 521: guide pin

530 : 전도부재 531 : 전도유도로530: conductive member 531: conductive induction

550 : 가이드레일 560 : 구동모우터550: guide rail 560: driving motor

이러한 본 고안은 거스름 지급을 위해 주화를 단위별로 수납 보관시키고 거스름 지급을 대기하는 반출금고의 하부 일측에 연이어 반출금고의 거스름잔출 완료신호에 의해 구동하며 반출금고로부터 추출되어 나오는 주화를 바스켓으로 받아 정산기 외주벽 상부측에 구비되는 거스름지급접시로 운반시키는 반출엘리베이팅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어 거스름 지급이 정확하고 안정되며 기기의 오동작을 완전 방지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oins in units for the change of payment and drives them on the lower side of the safe deposit box that is waiting for the change. It is equipped with a lifting elevator to carry with a change paymen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wall so that the change of payment is accurate and stable and prevents malfunction of the device.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ore specif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과 관련된 요금 정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도면에서 100은 정산기이다.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overall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are check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re 100 is a checker.

이 정산기(100)는 패캐지형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주화투입구(101)와 지폐투입구(102), 그리고 카드리더(103)가 구비되고 일측 벽면에는 거스름주화 지급을 위한 거스름지급접시(104)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화투입구(101)에 연이어 주화계수부(200)와 주화선별부(300), 반출금고(400), 그리고 이의 반출금고(400)에 연이어 거스름 지급을 위한 본 고안 거스름주화 지급장치(500)가 일측변측에 종향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checker 100 is configured in a package type and is provided with a coin inlet 101, a bill inlet 102, and a card reader 103 on its upper surface, and a change payment plate 104 is provided on one wall to provide a change of coin. The inside of the coin coin 200 for the coin counting unit 200, the coin sorting unit 300, the carrying out bank 400, and the carrying out bank 400 of the present coin purse after the coin inlet 101 The apparatus 500 is installed longitudinally on one side.

또, 상기 지폐투입구(102) 하부에는 유입되는 지폐를 끌어드리는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600)가 종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반입엘리베이팅콘베이어(600)와 주화선별부(300)로부터 유입되는 지폐 또는 주화는 요금 정산기(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회수금고(700)에 수납보관 할 수 있도록 이뤄져 있고 이렇게 구성되는 각각 부품들은 단위적으로 유니트화되어 조립 및 보수관리가 매우 간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ill insertion hole 102 is provided with an import elevator conveyor 600 to draw the incoming bankno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ill introduced from the import elevator conveyor 600 and the coin sorting unit 300 or Coin is made to be stored in the storage safe depository 70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ate checker 100 and each compon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unit and the unit is very easy to assemble and maintenance management.

본 고안에 의한 거스름주화 지급장치(500)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반출금고(400)의 하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거스름지급 신호에 의해 반출금고(400)로부터 추출되어 나오는 주화를 받아 정산기(100)의 외주벽 상부측에 구비되는 거스름지급접시(104)로 운반시키어 목적하는 거스름을 지급시키도록 구성하였다.The change coin payment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port safe deposit box 400 as shown in FIGS. 3 and 4 to receive coins that are extracted from the export safe deposit box 400 by the change payment signal. 100) was carried to the change payment plate 10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was configured to provide the desired change.

상기 거스름지급장치(500)는 요금 정산기(100)의 내부 일측에서 정산기(100)의 상/하 높이방향과 전장길이에 걸쳐 병설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01)을 타고 상승/하강하는 캐리지(510)와, 이 캐리지(510)의 상부 일측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되어 반출금고(400)로부터 추출되어 나오는 거스름주화를 받는 바스켓(520)과, 거스름지급장치(500)의 최상단측에 구비되어 거스름주화를 받아 상승하는 바스켓(520)을 최고 상승점에서 일측으로 전도시키는 전도부재(530)로 구성된다.The change payment device 500 is a carriage 510 that rides up / down a pair of guide rails 501 which are arranged in the up / down height direction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heckout machine 100 at an inner side of the fare checker 100. And a basket 520 that is freely rotatably integrally installed on one upper side of the carriage 510 and receives a change coin extracted from the carry-out safe 40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change payer 500. It is composed of a conductive member 530 for conducting the basket 520 rising by receiving the change coin to one side at the highest rising point.

또 상기의 캐리지(510)는 가이드레일(501) 상하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풀리(540)에 권회 설치되는 타이밍벨트(550)의 적당한 위치에 결합되어 그 타이밍벨트(550)와 협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타이밍벨트(550)는 거스름지급장치(500)의 최하부에 설치한 구동모우터(560)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rriage 510 is coupl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timing belt 550 is installed on the pair of pulleys 540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501 to cooperate with the timing belt 550. The timing belt 550 is design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speed by the drive motor 56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hange dispensing device 500.

이때 캐리지(510)의 상승점과 하강점을 별도의 근접센서 등을 이용하여 승강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fting and lowering points of the carriage 510 are controlled by using a separate proximity sensor.

또, 바스켓(520)은 캐리지(510)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축수편(511)에 축핀(512)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축핀(51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싱기 바스켓(520)이 캐리지(5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자석부재(513)로부터 착탈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바스켓(520)을 자석부재(513)에 의해 착탈되게 한 것은 캐리지(510)의 승강시 바스켓(520)이 진동 등으로 인해 전도되어 바스켓 내의 주화가 쏟아져 나오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캐리지(510) 측의 자석부재(513)는 영구자석을 이용하고 있지만 시스템의 제어회로에 의해 구동하는 전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자석부재(513)에는 바스켓(520)의 후벽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접촉판(522)이 접탈되게 하였다.In addition, the basket 5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piece 511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riage 510 by the shaft pin 512 so that the shaft pin 512 can be freely rotated as the rotation center.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gnet member 513 provided to the upper end of the carriage 510, the basket 520, the basket 520 is detachable by the magnet member 513 carriage 510 During and after the basket 520 is conducted due to vibration, etc. to prevent the coin from pouring out of the basket. The magnet member 513 of the carriage 510 side uses a permanent magnet, but may use an electromagnet driven by a control circuit of the system. At this time, the contact member 522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basket 520 is detached to the magnet member 513.

그리고 전도부재(530)는 캐리지(510)와 함께 구동하는 바스켓(520)의 승강경로 최상단 지점에서 바스켓(520)의 승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도유도로(531)를 구비하여 바스켓(520)이 거스름지급접시(104) 측으로 전도되게 하여서 바스켓(520)내의 거스름주화가 쏟아져 나오게 하고 있다. 이때 바스켓(520)의 외주벽에다는 안내핀(521)을 구비하여 전도부재(530) 하단에 하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이드(532)에 미끄럼접촉 이동되게 하였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mber 530 has a conductive induction path 531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asket 520 at the uppermost point of the lifting path of the basket 520 driving together with the carriage 510. The change coin is turned to the change payment plate 104 side so that the change coin in the basket 520 flows out.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basket 520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521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guide 532 extending downwar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ductive member 530.

이러한 가이드(532)에 바스켓(520) 안내핀(521)의 미끄럼접촉 이동은 바스켓의 전도를 물리적인 방식, 즉 전도부재(530)의 전도유도로(531) 형상에 따라서 바스켓이 전도되게 하고 있다.The sliding contact movement of the guide pin 521 of the basket 520 to the guide 532 causes the basket to be conducted in a physical manner, that i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ductive induction 531 of the conductive member 530. .

제5도에서는 캐리지(5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캐리지(510)는 바스켓(520)의 승강구동을 이루는 반송기구로써, 그러한 캐리지(510)는 상하 양측에 가이드레일(501)을 타고 활주하는 한쌍 2조식으로 설치되는 구름로울러(514)를 구비하여 캐리지(510)가 가이드레일(501)을 타고 미끄럼 이동되게 하고 있으며, 이러한 캐리지(510)는 타이밍벨트(550)에 탄성판재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515)와 일체로 결합되어 타이밍벨트(550)와 협동하게 된다.In FIG. 5, the configuration of the carriage 510 is shown in detail. That is, the carriage 510 is a conveying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basket 520, and the carriage 510 has a pair of rolling rollers 514 installed in a pair of two tanks that slide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501. The carriage 510 is slidably moved on the guide rail 501, and the carriage 510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inding member 515 made of an elastic plate to the timing belt 550, and thus the timing belt 550. Will cooperate with

제6도에서는 거스름지급장치(500)의 동력전달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동력전달구성은 구동모우터(560)의 출력축(561)과 풀리(540)의 사이에 다단의 변속치차군(562)을 개재하여 타이밍벨트(550)를 임의 속도로 회전되게 하였다.In FIG. 6, th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the change payment device 500 is shown in detail. The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cludes a multi-speed gear group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between the output shaft 561 and the pulley 540 of the driving motor 560. The timing belt 550 was rotated at an arbitrary speed through the 562.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주화투입구(101)로 유입되는 주화를 받아 주화계수부(200)를 통과시키며 위조주화 감별과 계수를 이루고, 이렇게 주화의 감별과 계수를 완료한 주화는 주화계수부(200) 직하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주화선별부(300)에 의해 그 주화의 높낮이를 검출 선별시키어 주화반출금고(400)에 주화단위로 구분 수납된다.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receives the coins flowing into the coin inlet 101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passes through the coin counting unit 200 to form the discrimination and counting counterfeit coins, thus completing the discrimination and counting of coins One coi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 coin unit 400 by the coin sorter 300 by detecting the height of the coin by the coin sorting unit 300 which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coin counting unit 200.

이렇게 주화반출금고(400)에 수납 보관되어 있던 거스름주화는 승객의 요금 지불후 거스름지급신호가 주어지면 해당 단위의 주화를 거스름지급장치(500)를 통하여 정산기(100)의 거스름지급접시(104)로 내보내어 거스름을 지불케하고 있다.The change coin stored in the coin safe deposit box 400 is the change payment plate of the settlement machine 100 through the change payment device 500 when the change payment signal is given after payment of the passenger's fee. I am sending it out to pay for change.

즉, 제4a도는 거스름지급을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캐리지(510)가 거스름지급장치(500)의 최하부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거스름지급신호에 의해 주화반출금고(400)에서 해당 단위의 거스름 주화가 추출되어 나와 바스켓(520)에 담아진다. 이와 동시 거스름 주화의 반출완료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모우터(560)가 구동하여 캐리지(510)를 제4b와 같이 거스름 지급장치(500)의 최상부 위치로 상승시키게 된다.That is, FIG. 4A is waiting for the change payment, in which case the carriage 510 waits at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change payment device 500. The change coin is extracted from the coin discharging vault 400 by the change payment signal which is waiting at this position, and is put out in the basket 520. Simultaneously with the removal completion signal of the change coin, the driving motor 560 is driven to raise the carriage 510 to the top position of the change supply device 500 as shown in FIG. 4B.

이때 캐리지(510)가 최상부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캐리지(510)에 일체로 구비되어 협동하는 바스켓(520)은 거스름지급장치(5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전도부재(53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누어지며 정산기(100) 외주벽 상부측에 구비되는 거스름지급접시(104)에 그 바스켓(520)에 담아 반송하여온 거스름주화를 쏟아내어 거스름을 지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arriage 510 is located at the top and at the same time integrally provided in the carriage 510 to cooperate with the basket 520 is counterclockwise by the conductive member 5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nge payment device 500. It is placed in the basket 520 in the change payment plate 104 provided i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settlement machine 100 to pour out the change coin that has been conveyed.

이러한 본 고안은 거스름주화를 바스켓(520)에 안정되게 담아 운반하여 운반 중에 거스름주화가 낙하되는 등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거스름액을 안정되고도 정확하게 지불하여 신뢰성은 물론,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productability as well as the reliability by paying the stable change in the basket 520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change change, such as dropping the change coin during transport. have.

또, 본 고안은 거스름 지급장치(500)의 바스켓(520)을 별도의 자석부재(512)에 의해 반송중 안전하게 잡아주워 운반 중에 바스켓(520)이 불필요하게 전도되는 등의 문제점을 완전방지시키어 구동이 안정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ecured to hold the basket 520 of the change device 500 during transport by a separate magnet member 512 to completely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basket 520 is unnecessarily conducted during transportation, driving This has a stable effect.

Claims (3)

주화 및 지폐투입구, 카드리더와 거스름 지급접시를 외부에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주화투입구로 투입되는 주화를 판독 및 계수하는 주화계수부와, 주화를 선별하는 주화선별부 및 반출된 주화를 수집하는 반출금고와, 상기 지폐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폐반입 동작을 수행하는 지폐반입 엘리베이팅콘베이어와, 상기 주화선별부로부터 유입되는 지폐 또는 주화를 수납보관하는 회수금고를 포함하고 있는 요금정산기에 있어서, 상기 주화반출금고와 거스름지급접시 사이에 설치되어 주화반출금고로부터 배출되는 거스름돈 주화를 이송시키는 캐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주화반출금고로부터 배출되는 주화를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측에 설치한 전도부재에 의해 자유롭게 전도/기립되는 바스켓이 구비되어져 있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타이밍 벨트에 의해 활주되도록 이송시키는 구동모우터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A coin counting unit which has coins and banknote entry slots, a card reader and a change plate on the outside, and a coin counting section which reads and counts coins that are put into the coin entrance slot, a coin sorting unit that sorts coins, and a takeout bank that collects exported coins And a bill acceptor-elevating convey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ill input slot to carry out a bill carrying operation, and a recovery safe deposit box for storing bills or coins introduced from the coin sorting unit. A pair of guide rails for guiding the carriage for transporting the change coins which are discharged from the coin safe deposit box and installed between the unloading safe and the change payout tray, and accommodates the coins discharged from the coin unloading safe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The basket is provided to freely fall / stand up by one conductive member. Geoseureum coin dispensing device of the ridge, and a charge Fare Adjustment Machine, characteriz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drive Motor for transferring to the slide by a toothed belt to the carri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단부에는 바스켓이 가이드레일의 이송중에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자석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carriage is provided with a magnet member for suppressing the basket from being conducted during the transfer of the guid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에는 바스켓의 승강경로 최상단에서 바스켓의 승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도유도로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정산기의 거스름주화 지급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member has a conductive induction path formed at an uppermost end of the elevating path of the bask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basket.
KR2019960004826U 1996-03-14 1996-03-14 Change Coin Paying Device KR2001442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826U KR200144277Y1 (en) 1996-03-14 1996-03-14 Change Coin Pay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826U KR200144277Y1 (en) 1996-03-14 1996-03-14 Change Coin Pa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73U KR970055773U (en) 1997-10-13
KR200144277Y1 true KR200144277Y1 (en) 1999-06-15

Family

ID=6083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826U KR200144277Y1 (en) 1996-03-14 1996-03-14 Change Coin Pay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27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73U (en)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434A (en) Coin receiving and discharging device
CN102867356A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coins
KR200144277Y1 (en) Change Coin Paying Device
JP4689858B2 (en) Coin processing equipment
JPH06274740A (en) Coin receiving/dispensing machine
JP4171841B2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JP2689054B2 (en) Automatic purchase and processing method of free gift chips
KR200149663Y1 (en) Coin path selector of fare system change deposit
JP2001224824A (en) Recovery conveying device for money and game recording medium
KR0177612B1 (en) Paper money order equipment
JP2942089B2 (en) Banknote depositing / dispensing machine
JP4410474B2 (en) Distribution device for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689055B2 (en) Automatic purchase device for free gift chips
JP2009131432A (en) Token counter
JP4428487B2 (en) Yugi Island
JP2006309468A (en) Change dispenser
KR200144275Y1 (en) Coin screening device
JP2003157464A (en) Coin processing machine
JP4804051B2 (en) Game media lending device
JP3973811B2 (en) Collection device in gaming device
JP3633950B2 (en) Coin supply method and coin supply device
KR200144276Y1 (en) Banknote Carrying Device
KR940011425B1 (en) Paper bills handling device
JPS63208994A (en) Automatic fare reception terminal
KR200144278Y1 (en) Coin input control device of fare che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