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623Y1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623Y1
KR200143623Y1 KR2019970001735U KR19970001735U KR200143623Y1 KR 200143623 Y1 KR200143623 Y1 KR 200143623Y1 KR 2019970001735 U KR2019970001735 U KR 2019970001735U KR 19970001735 U KR19970001735 U KR 19970001735U KR 200143623 Y1 KR200143623 Y1 KR 200143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upport
reading
predetermin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513U (ko
Inventor
최하영
Original Assignee
최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영 filed Critical 최하영
Priority to KR201997000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62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을 읽을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독서대에 책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회전부의 양측에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소정부위에 회동고정구를 고정시키는 지지고정부와, 상기 회동고정구의 타측에 구성한 결속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고정구를 구비하여 책을 지지부에 올려놓고 회동 고정구로 책을 가로질러 결속부와 이동고정부를 연결 고정시켜 책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책이 안정되게 고정되며, 책의 쪽을 용이하게 넘길 수 있게 되고, 책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여 책의 훼손을 막을 수 있으며, 양쪽손이 자유롭게 되어 메모등의 다른 작업이 용이하고,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며, 제작비가 저렴한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독서대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를 독서대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는 회동고정구를 일측에 고정시킨 지지고정부와, 상기 회동고정구의 타측에 구성한 결속부가 지지부의 타측 소정부위에 고정한 이동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책장 넘기기가 매우 용이하고, 책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할 수 있으며, 제작비가 저렴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지식을 얻고자 하는 수단으로 책이나 신문등의 활자매체나 텔레비전등의 전파매체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종이를 발견한 이래 사람들은 오랫동안 책을 이용하여 지식을 얻어오고 있었다. 그래서 소설책이나 종교서적 및 어학용 교재등으로 책이 이용되고 있었다. 상기 책의 쪽을 넘겨서 책의 내용을 사람이 읽음으로써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의 책을 사람이 읽기 편리하도록 독서대가 다수의 사람에 의하여 제공되었다. 종래 고안에는 실용신안공고공보 제 92-2559 호에 의하여 누운 상태에서도 책이 떨어지거나 책장이 넘어가지 않고 바람이 많이 부는 야외에서도 책이 날려가거나 책장이 찢어지지 않으며, 여행 중 달리는 차량내에서도 책의 흔들림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안은 책을 고정시키는 것은 용이하지만 책장을 넘기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었다. 상기 종래 고안에 책을 삽입한 후 소정의 쪽을 넘기기 위해서는 일측 손으로 책을 눌러 독서대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 손으로 소정의 쪽을 한쪽 면에서 이탈시킨 후에 다시 손을 교환한 후 일측 손으로 소정의 쪽을 넘기고, 다른 손으로 책을 눌러 고정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책을 보기 위하여 책장을 넘기게 될 때마다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 고안으로는 실용신안공고공보 제 95-2737 호에 의하면 책을 고정밴드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되었고, 상기 고정된 책은 독서대 본체와 함께 이동이 가능하였으며, 상기 독서대는 수납과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독서대 역시 책을 읽기 위하여 책의 소정 쪽을 넘기려고 할 때에는 고정밴드에 의하여 고정된 소정의 쪽을 고정밴드에서 이탈시킨 후에 다른 고정밴드를 들어 삽입하게 되었기 때문에 넘기려고 하는 쪽이 접히게 되거나 상기 넘기려는 쪽의 고정상태를 정확히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책을 읽는 동안에 소정의 쪽을 넘길 때마다 불편하게 되어있어 독서하는 것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원된 고안 이외에 공지된 독서대로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독서대가 있었다. 독서를 하기 위하여 책을 놓을 수 있도록 형성한 독서대(101)의 소정부위에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02)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지지부(102)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10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한 받침부(103)의 전방에는 책의 쪽이 넘어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04)를 구성하였고,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102)의 후면에 받침부(103)에서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버팀부를 구비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독서대(101)는 사용자가 먼저 지지부(102)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서 버팀부로 그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 지지부(102)에 사용자가 책을 올려 놓게 되면 받침부(103)에 책의 하부가 올려짐과 함게 상기 책의 후면이 지지부(102)에 접하게 되어 책이 독서대에 고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독서대(101)에 올려진 책을 읽기 위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페이지를 펼치게 되면 상기 펼쳐진 소정의 페이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104)를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책의 양쪽 면이 고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독서대(104)를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책의 양쪽 면이 고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독서대(101)에 고정된 책은 일측면에서 소정의 쪽을 넘겨 다른 면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이때 책의 일측면에서 소정의 쪽을 넘겨 다른 면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이때 책의 일측면에서 이탈되어 다른 면으로 이동된 소정의 쪽은 고정부(104)의 하부로 밀어넣어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정부(104)를 들었다가 놓아 다시 일측면을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독서대(101) 이외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독서대가 있었다. 상기 다른 독서대에는 책을 지지하도록 독서대(111)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독서대(111)에는 지지부(12)를 구성하여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지지부(112)의 하부에는 양측 선단부에 끼임부(113)를 구비하였다. 상기 끼임부(113)에는 책의 양측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 독서대(111)는 사용자가 지지부(112)에 책을 올려 놓은 다음에 상기 책을 펼쳐 끼임부(113)에 책의 양측 선반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책의 소정 쪽을 넘기기 위해서는 일측 끼임부(113)에서 소정의 쪽을 이탈시켜 타측 끼임부(113)로 끼워넣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독서대는 책의 일측 면에서 소정의 쪽을 이탈시킨 후에 다른 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대단히 불편하였다. 즉 책을 보기 위하여 소정의 쪽을 넘겨 다음 쪽을 읽도록 하는 동작에서 넘기게 된 소정의 쪽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었다. 종래의 공지된 독서대는 고정부를 이동시켜 일측 면에 고정시켜야 하거나 끼움부에 소정의 쪽을 끼워 넣어 다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책을 읽기 위해서 쪽을 넘길 때마다 일일이 상기 쪽을 다시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쪽을 넘기게 되는 사용자는 독서에 집중을 하지 못하고 소정의 쪽을 넘기는 것에 사용자의 신경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출원된 고안들은 실외에서도 바람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읽고 있는 쪽이 넘어가지 않도록 한 효과는 있으나 상기 고안 역시 사용자가 책을 읽기 위하여 소정의 쪽을 넘겨 다른 면에 고정시키려 할 때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고안들은 휴대 및 보관이 곤란하거나 제작비가 높은 독서대가 대부분이었고, 상기 독서대는 복잡한 책장고정장치를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의 소정 페이지를 읽고 있는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를 읽기 위하여 쪽을 넘기려고 할 때에 일측에서 소정의 쪽을 이탈시키기 용이하며, 타측면에 소정의 쪽을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책을 읽기 위하여 펼치게 되는 경우 책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여 책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양쪽 손이 자유롭게 되어 메모 등의 다른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며, 제작비가 저렴한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독서대에 책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회전부의 양측에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소정부위에 회동고정구를 고정시키는 지지고정부와, 상기 회동고정구의 타측에 구성한 결속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고정구를 구비하여 책을 지지부에 올려 놓고 회동 고정구로 책을 가로질러 결속부와 이동고정부를 연결 고정시켜 책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책이 안정되게 고정되며, 책의 쪽을 용이하게 넘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독서대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일부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일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독서대 2 : 지지부
3 : 회전부 4 : 회동고정구
5 : 지지고정부 6 : 결속부
7 : 이동고정부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독서대(1)를 형성하며, 상기 독서대(1)에는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를 양측에 구성하고, 상기 양측 지지부(2)의 사이에 회동이 가능한 회전부(3)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 지지부(2)의 소정부위에 지지고정부(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고정부(5)에 일측 선단부를 고정한 회동고정구(4)를 구성하며, 상기 회동고정구(4)의 타측에는 결속부(6)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부(6)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의 타측 소정 부위에 이동고정부(7)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2)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라운드부(8)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회동고정구(4)는 낚시줄과 같이 가늘고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띠형상의 회동고정구(4)도 가능하지만 상기 띠 형상의 회동고정구(4)는 투명하여 책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 실시예이다. 또한 가늘게 구성한 회동고정구(4)가 글씨를 가리지 않게 될 때에는 투명하지 않아도 좋은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8)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라운드부(8)의 하측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구성한 것으로, 손가락 전체가 삽입되지는 않아도 약간만 삽입되어도 상기 지지부(2)를 들어올릴 수 있으면 되는 정도의 높이로 라운드부(8)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결속부(6)와 이동고정부(7)는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밸크로파스너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거나 걸고리등을 사용하여 상기 결속부(6)와 이동고정부(7)가 상호 고정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6)는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책의 두께에 따라 이동고정부(7)에 고정되는 위치가 약간씩 변경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간단히 구성된 독서대(1)는 그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성으로 독서대의 보관과 이동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독서대(1)의 양측 지지부(2)를 펼치게 되면 회전부(3)를 중심으로 양측 지지부(2)가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지지부(2)의 소정 부위에 구성된 이동고정부(7)에서 결속부(6)를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결속부(6)를 일측 끝단에 구비한 회동고정구(4)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회동고정구(4)를 지지부(2)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책을 상기 양측 지지부(2)에 올려 놓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책의 소정부위를 펼친 후에 독서대(1)에 올려 놓게 되면 상기 책의 중앙 부위가 회전부(3)에 접하게 되고, 상기 책의 양쪽 면이 독서대(1)의 양측 지지부(2)에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2)에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책이 올려지게 되면 상기 지지부(2)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회동고정구(4)의 결속부(6)를 이동고정부(7)로 이동시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책의 두께에 따라 이동고정부(7)에 고정되는 결속부(6)의 고정위치가 조금식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면 읽고자 하는 책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동고정구(4)가 가로질러 고정되게 되어 책의 펼쳐진 부분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고정구(4)가 책을 팽팽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책이 넘어가거나 넘어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용이하며, 고정된 책은 안정되게 고정되어 사용자가 양손을 책에서 이탈시키게 되어도 책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양손으로 다른 메모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책을 손으로 눌러 고정시키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독서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책을 눌러 고정시키지 않게 되어 책이 접히거나 꺽이지 않게 됨으로써, 책이 변형되지 않게 되어 책의 수명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책의 소정 부위를 읽은 사용자자 다른 부위를 읽기 위항 소정의 쪽을 넘기려고 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사용자가 우선 지지부(2)의 일측 면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라운드부(8)를 들어올리게 되어 지지부(2)를 들어오릴게 되는 것에 아무 불편이 없도록 한 것이다. 상기 라운드부(8)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라운드부(8)에 일체인 일측 지지부(2)는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가 들려지는 소정의 높이는 10° ∼ 60°의 범위에서 책의 일측면이 타측으로 넘어가지 않는 각도로 하여야 하며, 상기 출원인이 가장 추천하는 각도는 25° ∼ 35°사이의 범위이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리게 되면 회동고정구(4)는 약간 이완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독서대(1)에 올려진 책의 일측이 상기 들어올려진 지지부(2)와 함께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지게 되면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진 책은 회동고정구(4)의 약간 이완된 사이로 약간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고정구(4)가 약간 이완된 상태에서 책의 일측에 접하게 되면 상기 책의 타측면에는 상기 회동고정구(4)에 접하지 않게 되어 소정의 쪽을 넘길 수 있게 된 상태를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회동고정구(4)가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책의 일측면이 들어올려져 회동고정구(4)가 채의 타측면에 접하지 않게 되면 타측면의 사용자가 넘기고자 하는 쪽을 이동시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책의 타측면에는 소정쪽을 이탈시켜 다른 일측 면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소정의 쪽은 회동고정구(4)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어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된 소정의 쪽이 책의 일측면으로 이동되면 들어올린 라운드부(8)를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라운드부(8)를 놓게 되면 일측 지지부(2)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강된 지지부(2)에 의하여 지지고정부(5)와 회동고정구(4)를 잡아 당기게 되어 상기 회동고정구(4)가 팽팽한 장력을 유지하게 되어 책을 눌러 주게 된다. 상기 회동고정구(4)가 책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책은 사용자의 손등으로 잡아주지 않아도 소정의 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들어올려지는 지지부(2)는 책의 두께가 두꺼운 쪽을 들어올려지게 되면 책의 쪽을 사용자가 넘기는 것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측 지지부를 약간만 들어 올린 상태에서 소정의 쪽을 넘길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정의 쪽을 다른 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다른 외력이 필요한 것도 아니며 사용자에게 과도한 힘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정의 쪽을 넘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독서대(11)를 형성하고, 상기 독서대(11)에는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2)를 양측에 구성하고, 상기 양측 지지부(12)의 사이에 회동이 가능한 회전부(13)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 지지부(12)의 소정부위에 회동고정구(14)를 고정시키는 지지고정부(15)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고정구(14)의 타측에는 타측 지지부(12)의 소정부위에 구성한 이동고정구(17)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속부(16)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12)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라운드부(18)를 구성한 것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양측 지지부(12)에는 선단 소정부위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19)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량부(19)를 양측 선단의 소정부위에 구성하게 되면 책이 두꺼운 책일 경우 처음이나 마지막 부분을 읽기 위해서 펼칠 경우 상기 책이 되넘어가려는 힘에 의하여 회동고정구(14)가 팽팽하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양측 지지부(12)를 잡아 당겨 상기 독서대(11)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한 것이다. 따라서, 책이 두꺼운 경우에도 상기의 독서대(11)에 구비한 중량부(19)에 의하여 소정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독서대(21)를 형성하고, 상기 독서대(21)에는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2)를 양측에 구성하고, 상기 양측 지지부(22)의 사이에 회동이 가능한 회전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 지지부(22)의 소정부위에 회동고정구(24)를 고정시키는 지지고정부(25)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고정구(24)의 타측에는 타측 지지부(22)의 소정부위에 구성한 이동고정구(27)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속부(26)를 구비한 것은 일 실시예와 동일 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라운드부를 제거하고, 상기 지지부(22)의 하측면에 돌기부(28)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8)의 높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지지부(22)의 하측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구성한 것으로, 손가락 전체가 삽입되지는 않아도 약간만 삽입되어도 상기 지지부(22)를 들어올릴 수 있으면 되는 정도의 높이로 돌기부(28)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은 독서대(21)의 양측지지부(22)를 펼치게 되면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책을 올려 놓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읽고자 하는 부위를 펼친 후에 독서대(21)에 올려 놓게 되면 상기 지지부(22)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회동고정구(24)의 결속부(26)를 이동고정부(27)로 이동시켜 책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책이 고정되면 책의 소정 부위를 읽은 사용자가 다른 부위를 읽기 위하여 소정의 쪽을 넘기려고 지지부(22)의 일측 면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의 라운드부(8)와 또 다른 실시예의 돌기부(28)가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책의 소정 페이지를 읽고 있는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를 읽기 위하여 쪽을 넘기려고 할 때에 일측에서 소정의 쪽을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타측 면에 소정의 쪽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책을 읽기 위하여 펼치게 되는 경우 책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여 책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양쪽 손이 자유롭게 되어 메모등의 다른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독서하는 중간에도 책을 독서대에서 이탈시키는 것과 재차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독서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회동고정구는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책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되고, 상기 독서대는 그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성으로 독서대의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책을 눌러 고정시키지 않게 되어 책이 접히거나 꺾이지 않게 됨으로써, 책이 변형되지 않게 되어 책의 수명이 향상된다. 그리고, 책이 두꺼운 경우에도 상기의 독서대에 구비한 중량부에 의하여 독서에 지장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책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독서대(1)에는 회전부(3)와, 상기 회전부(3)의 양측에 책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2)의 일측 소정부위에 지지고정부(5)와, 상기 지지고정부(5)에 일측 선단을 고정시킨 회동고정구(4)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고정구(4)의 타측에는 타측 지지부(2)의 소정부위에 구성한 이동고정구(7)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속부(6)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2)의 양측면에는 라운드부(8)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12)에는 선단 소정부위에 중량부(19)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부(22)의 하부에 돌기부(28)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KR2019970001735U 1997-02-05 1997-02-05 독서대 KR200143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735U KR200143623Y1 (ko) 1997-02-05 1997-02-05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735U KR200143623Y1 (ko) 1997-02-05 1997-02-05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13U KR19980057513U (ko) 1998-10-15
KR200143623Y1 true KR200143623Y1 (ko) 1999-06-15

Family

ID=1949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735U KR200143623Y1 (ko) 1997-02-05 1997-02-05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6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13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235B2 (en) Greeting card holder
USD467117S1 (en) Infant changing pad
US4886231A (en) Foldable bookstand
US20130075280A1 (en) Combination cover and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20162935A1 (en) Support device
US5362023A (en) Folding book support
US5485980A (en) Inverted book stand
KR200143623Y1 (ko) 독서대
KR20000004386U (ko) 독서대
US11660901B2 (en) Self-supporting book
CN212171750U (zh) 书套组合结构及利用其的印刷品
CN211779986U (zh) 折叠式支撑架
US10682876B2 (en) Self-supporting book
CN211222670U (zh) 可立式印刷出版品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0397837Y1 (ko) 학습용 도서
KR200175073Y1 (ko) 독 서 대
KR20018051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춘 노트북
KR200425220Y1 (ko) 독서대
US20170182831A1 (en) Self-supporting book
KR200486002Y1 (ko)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CN2179714Y (zh) 折叠式阅读架
KR200180054Y1 (ko) 독서대 기능을 갖춘 노트북
KR200443619Y1 (ko) 탁상용 지지대
KR200284182Y1 (ko) 탈·부착기능 및 사무용품 보관함을 갖는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