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108Y1 -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108Y1
KR200143108Y1 KR2019960040210U KR19960040210U KR200143108Y1 KR 200143108 Y1 KR200143108 Y1 KR 200143108Y1 KR 2019960040210 U KR2019960040210 U KR 2019960040210U KR 19960040210 U KR19960040210 U KR 19960040210U KR 200143108 Y1 KR200143108 Y1 KR 200143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ot air
pipe
bl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281U (ko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황순하
주식회사삼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하, 주식회사삼일산업 filed Critical 황순하
Priority to KR2019960040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10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호발, 정련된 직물에 상압에서 과열증기(습열)를 분사시키고, 이를 직물이송관내에서 이송순환시켜 직물에 비팅과 건조 및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온의 열풍을 분사시켜 직물에 축소와 리렉싱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종래에는 강연사폴리에스테르직물이나 신합섬직물을 염색작업전에 호발,정련 및 축소와 리렉스가공을 수행하게 되는데 직물의 특성상 한작업기에서 가공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속호발정련기에서 직물을 호발, 정련시킨 다음 이를 로타리와셔기 또는 액류염색기나 에어플루염색기를 이용하여 측소와 리렉상작업을 수행하게 되나 이들 가공기는 모두 직물을 침점 또는 습식으로 가공되므로써 폐수의 발생량이 많고 품질과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를 해소시킨 본원이 개발한 과열증기(습열)와 고온의 열풍(건열)으로 직물을 축소하고 리렉싱하는 직물가공기에서 고운의 열풍을 공급시켜 직이송하면서 축소와 리렉상을 위한 비팅과 층격이 발생되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직물 축소리렉스가동기 2,11 : 직물이송관
3,12 : 열풍분사노즐 4,8,13 : 송풍기
5,14 : 공기유인관 6 : 열교환기
7,17 : 직물수납탱크 15 : 공기가열장치
16 : 공기공급관
본 고안은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숭관에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호발, 정련된 직물에 상압에서 과열증기(습열)를 분사시키고, 이를 직물이송관내에서 이송순환시켜 직물에 비팅과 건조가 일어날 수 있도록 고온의 열풍을 공급시켜 직물에 축소와 리렉싱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종래에는 폴리에스테르 강연사직물이나 신합섬직물의 경우에는 염색작업이 이루어지기전에 호발, 정련 및 축소와 리렉스가공을 수행하게 되는데 직물의 특성상 한 작업으로 가공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속호발정련기에서 직물을 호발, 정련시킨 다음 이를 로타리와셔기 또는 액류염색기나 에어플루염색기를 이용하여 축소와 리렉스작업을 수행하게 된다.그런데 축소와 리렉스가공에 사용되는 이들 가공기는 모두 직물을 첨점 또는 습식으로 가공되므로 폐수의 발생량이 많고 품질과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원은 호발, 정련된 직물에 과열증기를 분사시켜 습열로 축소시키면서 직물이송관내에서 고온의 열풍(건열)으로 직물을 이송순환시켜 비팅과 건조가 일어나면서 리렉스가공이 이루어지게 한 직물가공기를 개발하였는데, 본 고안은 동 직물가공기의 직물이송관에서 직물을 이송시키면서 비팅과 건조가 일어나게 하는 고온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롤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물의 축소리렉스가공기(1)에 있어서, 직물이송관(2)에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3)후방에 송풍기(4)를 연결하고, 송풍기(4)의 공기유입관(5)에 단수 또는 복수개의 열교환기(6)를 직렬연결하고, 열교관기(6)의 유입공기를 직물수납탱크(7)에 연결된 송풍기(7)의 송출관(8a)과 연결하여서 된 구조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밸브, 51은 배기관, 52는 유입관을 표시한 것이다.
또다른 구성으로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직물의 축소 리렉스가공기(10)에 있어서, 직물이송관(11)에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12)후방에 송풍기(13)를 연결하고, 송풍기(13)의 공기유입관(14)에 버너 또는 전열의 공기가열장치(15)를 연결하고, 동 공기가열장치(15)의 공기공급관(16)을 직물수납탱크(17)와 연결하여서 된 구조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은 밸브, 101은 배기관, 102는 유입관을 표시한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물의 축소리렉스가공기에 호발, 정련된 직물을 수납시켜 축소와 리렉스가공을 수행하기 위하여 직물에 과열증기(습열)를 분사시켜서 직물을 고온, 고습의 상태를 조성하면서 본 고안의 열풍공급장치를 작동시켜 고온의 열풍을 분사시키면 직물이 직물이송관(2)에서 고속으로 이송되면서 가공되고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직물수납탱크(7)의 내부에 있는 상온의 공기가 송풍기(8)에 의해 열교환기(6)로 유입되어져 열교환기(6)에서 급속가열되어져 고온상태로 전환되고, 고온으로 전환된 공기는 공기유입관(5)을 거쳐 송풍기(4)에 의해 열풍분사노즐(3)에서 열풍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열풍 분사노즐(3)에서 분사되는 열풍은 열교환관기(6)에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어져 고온상태가 되고 송풍기(4)에서 열풍분사노즐(3)에서는 고온상태의 건열이 과열증기분사로 고온고습상태의 직물에 분사가 이루어지면 동 직물은 풍압에 의해서 직물이송관(2)내에 고속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비팅과 건조가 일어나면서 직물수납탱크의 내벽에 부딪혀 충격이 발생되면서 낙하되고 하강되면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직물의 특성에 따라 열교환기(6)의 온도와 송풍기(4)의 송풍압을 조절하게 되면 직물의 축소와 리렉스작업환경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호발,정련된 직물을 기공기에서 가공할 때 직물이 송관에 위치되는 직물을 고온의 열풍으로 이송시켜 비팅과 리렉싱이 이루어지므로서 폐수의 발생없이 직물의 축소와 리렉스가공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과 가공직물의 품질이 증대되는 것이다.

Claims (2)

  1. 직물의 축소 리렉스가공기(1)에 있어서, 직물이송관(2)에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3) 후방에 송풍기(4)를 연결하고, 송풍기(4)의 공기유입관(5)에 단수 또는 복수개의 열교환기(6)를 직렬연결하고, 열교환기(6)의 유입공기를 직물수납탱크(7)에 연결된 송풍기(8)의 송출관(8a)과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2. 위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이송관(11)에 구성되는 열풍분사노즐(12) 후방에 송풍기(l3)를 연결하고 송풍기(13)의 공기유입관(14)에 버너 또는 전열의 공기가열장치(15)를 연결하고, 공기가열장치(15)의 공기공급관(16)을 직물수납탱크(17)와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KR2019960040210U 1996-11-12 1996-11-12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KR200143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210U KR200143108Y1 (ko) 1996-11-12 1996-11-12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210U KR200143108Y1 (ko) 1996-11-12 1996-11-12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81U KR19980027281U (ko) 1998-08-05
KR200143108Y1 true KR200143108Y1 (ko) 1999-06-01

Family

ID=1947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210U KR200143108Y1 (ko) 1996-11-12 1996-11-12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1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81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525B1 (ko) 종이웨브 건조장치 및 방법
US2773312A (en)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JP2647195B2 (ja) 移動ウェブの乾燥方法および組み合わせ乾燥機
KR10126561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4098364A3 (en) Combination washer/dryer having a common heat source
KR20040015957A (ko) 의류건조기
JP4359270B2 (ja) 洗濯物風合乾燥方法、洗濯物風合乾燥装置及び排気循環装置
KR200143108Y1 (ko)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열풍공급장치
KR101021856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CN216592617U (zh) 一种高安全可靠型纺织生产用加工装置
US20140352367A1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KR200143109Y1 (ko) 직물가공기에 있어서 직물이송관에 과열증기 공급장치
CN101738135A (zh) 用于热能利用装置的热交换器单元
HU186092B (en) Hot trough mangle
KR0128148Y1 (ko) 건조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CN209816552U (zh) 用于无接触地使纤维幅材转向和干燥的装置
CN217686411U (zh) 烘燥机的送风调节机构
US7845197B2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CN220724566U (zh) 一种热风拉幅定型机的风管烘箱
CN217330567U (zh) 纺织烘燥装置
CN217383643U (zh) 烘燥机的热风喷嘴机构
KR200143111Y1 (ko) 직물가공기용 직물이송관
KR200143112Y1 (ko) 직물가공기용 본체
KR200143110Y1 (ko) 직물가공기용 직물이송관
KR200224651Y1 (ko) 섬유열처리기의 건조실 열풍순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