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321Y1 - 단자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단자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321Y1
KR200142321Y1 KR2019960068171U KR19960068171U KR200142321Y1 KR 200142321 Y1 KR200142321 Y1 KR 200142321Y1 KR 2019960068171 U KR2019960068171 U KR 2019960068171U KR 19960068171 U KR19960068171 U KR 19960068171U KR 200142321 Y1 KR200142321 Y1 KR 200142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terminal plate
contact portion
protrud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972U (ko
Inventor
박용균
Original Assignee
왕 중 일
대우전자부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 중 일, 대우전자부품(주) filed Critical 왕 중 일
Priority to KR2019960068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3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정부위에 접점돌기(10)가 돌출되게 형성된 단자판(12)과, 상기 단자판(12)과 이격된 거리에 돌출핀(14)에 홈(16)이 삽입되어져 회동가능하게 되는 한편, 일측 단부(20)에 와선형으로 형성된 접촉부(22)가 구비되어져, 상기 돌출핀(14)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접촉부(22)가 단자판의 접점돌기(10)에 접촉 또는 분리가능하게 된 단자(18)로 구성되어져, 별도의 고정수단없이도 상기 단자를 회전시켜 주므로써 단자와 단자판에을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연결구조
본 고안은 단자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단자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탄력접촉하게 된 단자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에 있어서 단자의 안정적인 연결이 보장되지 않으면 전기장치의 내부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누전 또는 감전사고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이러한 안정된 단자연결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자연결은 결합되는 단자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연결되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전선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의 경우에는 서로 접촉시켜 꼬아서 연결하거나 별도의 원통에 서로 삽입하여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찌그러 트려 연결하며, 또한 플렉시블한 전선등을 소정의 기판에 연결시에는 이들 기판에 형성된 고정수단엥 이들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외에도 전선을 기판에 소정 전극위에 납땜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소정의 단자판에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단자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판(50)과 단자(52)에 각각 관통홈을 형성하고, 이 들 관통홈이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시킨 뒤, 보울트(54)를 삽입하여 고정시켜주거나 상기 단자판(50)과 단자(52)를 서로 맞대어 놓은 뒤에 용접 또는 납땜등의 접합방법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 었다.
그러나 상기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문제점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단자판(50)과 단자(52)를 고정시켜 주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많이 요구되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로 제조코스트가 증가하는 문제먼이 있으며, 이들의 단자를 유지관리할 때 상기한 구조의 경우에는 다시 고정수단을 해체하고나 납땜을 녹여서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정의 단자판과 단자를 별도의 연결수단 또는 고정수단 없이도 용이하고도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단자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단자연결구조는, 소정부위에 접점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단자판과, 상기 단자판과 이격된 거리에 축설치되어져 단부에 구비된 와선형 접촉부가 회동되면서 상기 단자판의 접점돌기에 탄력접촉되게 된 된 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단자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단자판의 접점돌기에 와선형 접촉부가 탄력접촉되어져 단자간의 연결되게 되고, 또한 이들 단자를 다시 회전시켜주게되면 상기 와선형접촉부가 접점돌기로 부터 분리되게 되므로써 단자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단자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접점돌기 12 : 단자판
14 : 돌출핀 16 : 홈
18 : 단 자 20 : 단부
22 : 접촉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소정부위에 접점돌기(10)가 돌출되게 형성된 단자판(12)과, 상기 단자판(12)과 이격된 거리에 돌출핀(14)에 홈(16)이 삽입되어져 회동가능하게 된 단자(1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자(18)는 단부(20)에 와선형으로 형성된 접촉부(22)가 구비되어져, 상기 단자(18)가 돌출핀(14)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22)가 단자판의 접점돌기(10)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돌기(10)에 접촉부(22)가 접촉될 때 상기 단자(18)의 길이가 조금길게 형성되고, 접촉부(22)가 와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점돌기(10)에 삽입될 때는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탄력접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접촉부(22)와 접점돌기(10)를 분리시킬 때에도 상당한 힘을 가하여야만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단자판(12)과 단자(18)의 연결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접점돌기(10)는 접촉부(22)가 안착되는 부위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데 이때 상기 접촉부(22)가 접촉되어질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접촉부(22)를 둘러싸도록 배열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단자가 회동가능하게 된 것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단자가 고정되고 상기 단자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도 단자를 단자판의 접점돌기로 회전 시켜주게 되면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단자판의 접점돌기에 탄력접촉되어져 움직임이 없이 고정되게 되고, 또한 필요시에는 상당한 힘을 가하여 단자를 회전시켜주므로써 단자판과 단자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단자와 단자판을 용이하게 분리 또는 연결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소정부위에 접점돌기(10)가 돌출되게 형성된 단자판(12)과, 상기 단자판(12)과 이격된 거리에 돌출핀(14)에 홈(16)이 삽입되어져 회동가능하게 되는 한편, 일측 단부(20)에 와선형으로 형성된 접촉부(22)가 구비되어져, 상기 돌출핀(14)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접촉부(22)가 단자판의 접점돌기(10)에 접촉 또는 분리가능하게 된 단자(18)로 구성된 단자연결구조.
KR2019960068171U 1996-12-31 1996-12-31 단자연결구조 KR200142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171U KR200142321Y1 (ko) 1996-12-31 1996-12-31 단자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171U KR200142321Y1 (ko) 1996-12-31 1996-12-31 단자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72U KR19980054972U (ko) 1998-10-07
KR200142321Y1 true KR200142321Y1 (ko) 1999-06-01

Family

ID=1948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171U KR200142321Y1 (ko) 1996-12-31 1996-12-31 단자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3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72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093A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thin, deflectable conductors
US708343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869090A (en) Jack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KR200142321Y1 (ko) 단자연결구조
US4310210A (en) Plug-in type connector
KR200248172Y1 (ko) 휴대폰 충전기의 단자 고정구조
US5607314A (en) Electric adapter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KR200181483Y1 (ko) 분배전반의 전력선 연결구조
US3381259A (en) Twin plug connector having a coupling pin
KR100471322B1 (ko) 전기적인 접속성이 개선된 조인트 커넥터
KR200145787Y1 (ko) 단자연결구조
JPH0562742A (ja) 基板用接続コネクタ
KR200259756Y1 (ko) 전기 콘넥터
SU1169057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200173213Y1 (ko) 에프 커넥터의 단자편
RU2138891C1 (ru) Разветвитель
SU1262750A1 (ru) Блок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SU1401541A1 (ru) Штепсельный разъем
JP2006310113A (ja) 電気コネクタ
KR200274957Y1 (ko) 가변저항기용 고정핀
KR200275327Y1 (ko) 완전결착이 가능한 커넥터
KR200141576Y1 (ko)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r. f 케이블 접속장치
JPH0515745Y2 (ko)
KR200227478Y1 (ko) 단자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