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157Y1 -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157Y1
KR200142157Y1 KR2019960050782U KR19960050782U KR200142157Y1 KR 200142157 Y1 KR200142157 Y1 KR 200142157Y1 KR 2019960050782 U KR2019960050782 U KR 2019960050782U KR 19960050782 U KR19960050782 U KR 19960050782U KR 200142157 Y1 KR200142157 Y1 KR 200142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ifter
rack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740U (ko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1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랭킹 라인 또는 자동화 라인 그리고 물체를 리프팅 시키는 복동형 리프터 장치에서 리프터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시켜 리프팅 안정성을 높혀 주기 위하여 승강 기구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좌,우 대칭 동형으로 독립된 위치에 설치되는 리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부(5)에 형성된 래크(7)와, 상기 래크(7)에 수평 밸런스를 유지시켜 설치된 수평 동기 바(6)와, 상기 수평 동기 바(6)를 래크(7)에 접속하기 위해 동기 바(6)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8)(8a)로 구성된 복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임.

Description

복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본 고안은 블랭킹 라인 또는 자동화 라인 그리고 물체를 리프팅 시키는 복동형 리프터 장치에서 리프터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시켜 리프팅 안정성을 높혀 주는 것이다.
코일 형태의 판재를 가공하는 블랭킹 라인 또는 브랭크재를 용접 하거나 조립 하는 차체 제작 라인 또한 물체를 특정 위치로 리프팅 시켜 주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분활된 리프터로 구성되는 복동형 리프팅 장치의 일반적인 형태는 도 1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를 기반으로 좌/우 동일한 구조로 배치하여 물체를 정해진 위치 까지 업/다운 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 장치의 주요 부분은 가동 실린더 및 이와 대등한 작동 기구에 의해 움직이는 승강 기구부(2)(2a)와, 이 승강 기구부(2)(2a)를 안내하는 승강 기구 하우징(3)(3a)과, 승강 기구부(2)(2a)에 결합되어 물체(4)를 업/다운 시키는 업/다운 플레이트(5)(5a)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 장치에 의한 물체의 리프팅 과정은 먼저 물체(4)를 업/다운 플레이트(5)(5a)위에 탑재 시키고 작동 기구를 가동 시키면 승강 기구부(2)(2a)가 상승하여 물체(4)를 리프팅 시키고 작동기구를 복귀 시키면 다시 업/다운 플레이트(5)(5a)가 원위치로 내려온다.
이 과정에서 물체를 정해진 위치까지 올려주는데, 리프팅 되는 물체의 리프팅 안정성은 좌,우 리프터의 수평 밸런스에 의해 결정되어 각 리프터의 이동 속도나 가동 시기를 좌,우 동일하게 맞추어 조절한다.
그러나 좌우 복동형의 리프터로 구성되는 리프팅 장치의 경우 승강 기구부(2)(2a)가 작동기구의 작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단계에서 작동기구의 작동 시기 편차나 작동 속도 및 시간이 리프팅 횟수가 반복될수록 정확히 일치 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물체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물체의 리프팅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블랭킹 라인 이나 자동화 라인 또는 물체의 단순 리프팅에 사용되는 복조형 리프터의 수평 밸런스를 유지 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복동 리프팅 장치를 보인 것으로 (가)는 배치도 (나)는 (가)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배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베이스 플레이트2,2a:승강 기구부
3,3a:하우징4:물체
5,5a:업.다운 플레이트6:수평 동기 바
7:래크8,8a:피니언 기어
블랭킹 라인, 자동화 라인 또는 물체의 단순 리프팅 등에 사용되는 본 고안의 복동형 리프팅 장치는 도 2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좌,우 대칭 동형으로 독립된 위치에 설치된 리프터측 승강 기구부(2)(2a)에 수평 동기 바(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동기바(6)의 설치 구조는 도 2와 같이 승강 기구부(2)(2a)에 래크(7)를 형성하고, 동기 바(6)측에는 상기 래크(7)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8)(8a)를 좌,우 대칭 구조로 동기 바(6)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기 바(6)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8)(8a)는 하우징(3)(3a)의 내벽을 따라 설치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승강 기구(2)(2b)를 하우징(3)내에 전/후 복수로 배치하여 피니언 기어(8)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리프팅 장치는 도 2와 같이 좌,우 리프터의 한쪽 작동기구가 동작하면 이 작동력이 좌,우 승강 기구부(2)(2a)에 동시에 전달 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작동력 균형을 맞춰 주기 위하여 작동기구의 작동력은 좌,우 승강 기구부(2)(2a)에 동시에 전달 되도록 맞춰진다.
한편 좌,우측 작동 기구측에서 가해지는 작동력은 승강 기구부(2)(2a)를 상승 시키는데 승강 기구부는 수평 동기 바(6)에 의해 어느 한쪽의 먼저 올라가거나 처지는 작동 편차가 규제된다.
즉, 승강 기구부(2)(2a)측에 대한 상승력 작용 조건에서 승강 기구부에 형성된 래크(7)는 수평 동기 바(6)측 피니언 기어(8)와 맞물리게 되는데, 이때 좌,우측 승강 기구부(2)(2a)측 래크(7)에 피니언 기어(8)(8a)가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승강 기구부의 상승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 시킨다.
또한 리프터의 하강 이동 조건에서도 좌,우측 승강 기구부의 동적 이동량은 동기 바(6)에 의해 동일하게 유지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승강 기구부(2)(2b)를 하나의 리프터에서 복수로 배치하면 단식인 도 3의 승강 기구부(5)의 동적 특성과 대등한 상태를 얻을 수 있고, 동기 바(6)의 동적 안정성을 더 크게 하는 유리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작동 기구의 작동 속도 및 시간에 의해 밸런스가 맞지 않는 승강 기구부의 언 밸런스 리프팅을 수평 동기 바(6)에 의해 동일하게 잡아 줌으로서 물체의 리프팅 안정성을 좋게한다.
또한 좌,우 리프팅 언 밸런스에 의한 물체측 집중 하중을 평균적으로 받도록 유도 함으로서 리프터의 수명 연장에도 도움을 준다.
본 고안은 좌,우 독립된 위치에서 물체를 리프팅 시켜 주는 리프팅 장치의 작동 밸런스를 유지 시켜 줌으로서 물체의 리프팅 인정성을 크게하고, 또 물체측 하중이 언밸런스에 의해 한쪽으로 집중되는 하중 편중을 없애 리프팅 장치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승강 기구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좌,우 대칭 동형으로 독립된 위치에 설치되는 리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부(2)에 형성된 래크(7)와,
    상기 래크(7)에 수평 밸런스를 유지시켜 설치된 수평 동기 바(6)와,
    상기 수평 동기 바(6)를 래크(7)에 접속하기 위해 동기 바(6)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8)(8a)를 포함하는 복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바측 피니언 기어(8)(8a)에 맞물리는 승강 기구부가 하나의 리프터에서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KR2019960050782U 1996-12-18 1996-12-18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KR200142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782U KR200142157Y1 (ko) 1996-12-18 1996-12-18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782U KR200142157Y1 (ko) 1996-12-18 1996-12-18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40U KR19980037740U (ko) 1998-09-15
KR200142157Y1 true KR200142157Y1 (ko) 1999-06-01

Family

ID=1948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782U KR200142157Y1 (ko) 1996-12-18 1996-12-18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530A (ko) * 2017-03-28 2018-10-08 남궁민우 침전식 목재 방부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19B1 (ko) * 2002-04-12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리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530A (ko) * 2017-03-28 2018-10-08 남궁민우 침전식 목재 방부 처리장치
KR101954516B1 (ko) * 2017-03-28 2019-05-17 남궁민우 침전식 목재 방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40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4213A (en) Workpiece translation mechanism for transfer die press
US20080141751A1 (en) Pressing Machine with Die Cushion Device
KR940006836A (ko) 변속기 시프트 제어장치
KR200142157Y1 (ko) 북동형 리프터의 밸런스 유지장치
KR920003669B1 (ko) 미싱구동장치의 페달기구
JPH0871682A (ja) 鍛造プレスのベッドノックアウト装置
CN210218645U (zh) 一种能够自动复位的单稳态旋钮换挡器
EP1270108B1 (en) Punch press
CN211847001U (zh) 一种双电机升降机械伸展装置
JPH0615591A (ja) 部品供給機のフィンガーチェンジ装置
KR950001544Y1 (ko) 스위치 장착장치
US3207869A (en) Electrical switch with mechanically interlocked movable contact carriers
JPH03180553A (ja) 横編機におけるキャリッジのカム制御機構
JPH0441397A (ja) 同時連係昇降機構を備えたテーブルリフター
JPH0719644Y2 (ja) プレス金型におけるノックアウト装置
KR200261187Y1 (ko) 다이쿠션장치를내장한기계프레스구조
YU41770B (en) Open sed double lift jacquard machine
SU1491694A1 (ru) Манипул тор
KR100412649B1 (ko) 트랜스퍼 프레스용 패널 리프트 장치
KR100534798B1 (ko) 자동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 조립체
SU1684252A1 (ru) Подъемник
SU984666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форм
SU110394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лить под низким давлением
KR200190327Y1 (ko) 로타리식 주차기의 턴테이블 장치
SU1594106A2 (ru) Подъем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