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927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927Y1
KR200141927Y1 KR2019960030124U KR19960030124U KR200141927Y1 KR 200141927 Y1 KR200141927 Y1 KR 200141927Y1 KR 2019960030124 U KR2019960030124 U KR 2019960030124U KR 19960030124 U KR19960030124 U KR 19960030124U KR 200141927 Y1 KR200141927 Y1 KR 200141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back plate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86U (ko
Inventor
정덕호
Original Assignee
정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덕호 filed Critical 정덕호
Priority to KR2019960030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92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47G1/143Pivotabl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6Photograph stands compris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tand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완성되는 액자의 테두리를 따라 장식적으로 감싸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내측으로 사진(50)을 투명하게 보호하는 투명판(20)과; 상기 사진(50)을 배면에 부착되는 배면판(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하측에 프라스틱힌지(32)로 연결되고, 절취공간(33)에 의해 절취되어 수평 바닥면(2)으로 절첩되고 조립공(34)이 상단에 뚫어지는 받침부재(31)와, 상기 받침부재(31)의 내측으로 배면판(30)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35)과, 이 지지판(35)의 내측으로 그 상단이 프라스틱힌지(37)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이 절취되는 세움부재(36)와, 상기 틀체(10)의 배면으로 뚫어지는 조립홀(11)과 대응되는 위치로 끼워 조립되는 조립돌기(38)들이 각각 일체로 성헝되는 것에 의해, 배면판에 받침부재(31) 및 지지판(35)과 세움부재(36) 그리고 조립돌기(38)가 각각 일체로 하나의 사출물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받침부재(31)가 펼쳐져 세움부재(36)로 세워지게 하고 조립돌기(38)에 의해 틀체(10)에 배면판(30)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그 생산원가와 조립 공정수를 크게 절감하여 그 제작자 및 사용자로 하여근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액자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설치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절결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틀체 11 : 조립홀
20 : 투명판 30 : 배면판
31 : 세움부재 32 : 플라스틱힌지
34 : 조립공 35 : 지지판
36 : 세움부재 38 : 조립돌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약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액자를 세워지게 하는 받침수단 및 배면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별도로 부착하지 않고 일체로 사출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그 제조 원가를 저하시키고 조립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액자는, 각종 그림이나 사진을 수납하여 미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틀체(10)와 투명판(20), 그리고 사진(50)을 배면에서 받쳐지게 하는 배면판(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책상등에 액자를 완만히 경사진 상태로 받쳐지게 하기 위한 별도의 받침부재가 부착된다.
또, 배면판(30)을 틀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로 하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액자는 배면판(30)에 별도의 받침부재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였다.
이 받침부재는 배면판(30)에 회동 가능하고 그 상단부가 꺽어질 수 있는 구조로 반드시 필수 구성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 부품수의 증가와 조립공정의 증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 배면판(30)을 틀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등이 틀체(10)의 테두리를 따라 배면 수곳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이 배면판(30)의 고정을 위한 수당으로도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의 증가로 생산원가가 배가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그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저하 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한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고안의 구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완성되는 액자의 테두리를 따라 장식적으로 감싸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내측으로 사진(50)을 투명하게 보호하는 투명판(20)과; 상기 사진(50)을 배면에 부착되는 배면판(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하측에 프라스틱힌지(32)로 연결되고, 절취공간(33)에 의해 절취되어 수평 바닥면(2)으로 절첩되고 조립공(34)이 상단에 뚫어지는 받침부재(31)와, 상기 받침부재(31)의 내측으로 배면판(30)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35)과, 이 지지판(35)의 내측으로 그 상단이 프라스틱힌지(37)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이 절취되는 세움부재(36)와, 상기 틀체(10)의 배면으로 뚫어지는 조립홀(11)과 대응되는 위치로 끼워 조립되는 조립돌기(38)들이 각각 일체로 성형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고안의 작용]
상기한 본 고안에 배면판에 받침부재(31)및 지지판(35)과 세움부재(36)그리고 조립돌기(38)가 각각 일체로 하나의 사출물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액자가 세워지는 바닥면(2)을 향해 받침부재(31)가 펼쳐져 세움부재(36)로 세워지게 하고 조립돌기(38)에 의해 틀체(10)에 배면판(30)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그 생산원가와 조립 공정수를 크게 절감하여 그 제작자 및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 사진(50)-그림을 포함함-의 전면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판(20)이 위치되고 전면으로 테두리를 따라 틀체(10)가 감싸게 된다.
그리고, 사진(50)의 배면에는 배면판(30)이 부착되어 틀체(10)와 고정 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도시한다.
또, 제3도는 배면판(30)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완성되는 액자의 테두리를 따라 장식적으로 틀체(10)로 감싸게 되고,상기 틀체(10)의 내측으로는 사진(50)을 투명하게 보호하는 투명판(20)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50)을 배면에는 배면판(30)이 부착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상기 배면판(30)에 책상과 같은 수평한 바닥면에 경사지게 액지를 세우기위한 받침수단 및 배면판(30)을 틀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각각 하나의 사출물로 배면판(30)의 형상을 설계하여 사출하는 것에 있다.
즉, 배면판(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데, 받침부재(31)는 하측이 프라스틱힌지(32)로 연결되며, 절취공간(33)에 의해 양측부와 상부가 절취되어 프라스틱힌지(32)를 축으로 제2도에서와 같이 수평 바닥면(2)의 접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받침부재(31)는 펼쳐지지 않을 경우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배면판(30)과 같은 평면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액자를 세우거나 할 때만 펼쳐지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 받침부재(31)의 상단에는 조립공(2)이 1단 또는 2단이상의 복수로 뚫어져 상기 세움부재(36)의 끝단부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제2도에서와 같이 3각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받침부재(31)의 내측으로는 배면판(30)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 (35)이 위치된다.
한편, 이 지지판(35)의 내측으로는 그 상단이 지지판(35)과 프라스틱힌지(37)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이 절취되는 세움부재(36)가 성형된다.
이 세움부재(36)는 제2도에서와 같이 그 끝단이 받침부재(31)에 뚫어진 조립공(2)과 끼워지는 것에 의해 3각 지지상태를 유지하여 액자의 세움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액자의 경사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받침부재(31)에 뚫어진 조립공(2)의 숫자를 2개 이상의 복수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배면판(30)에는 틀체(10)의 배면으로 뚫어지는 조립홀(11)과 대응되는 위치로 끼워 조립되는 조립돌기(38)들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 조립돌기(38)는 조립홀(1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성형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강제 압착력에 의해 배면판(30)이 틀체(1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면판(30)을 틀체(10)에 조립하는 공정이 단지 조립홀11)과 조립돌기(38)가 일치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조립돌기(38)가 강제로 조립홀11)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그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면판(30)에는 얇은 판상으로 일측부만이 일체로 배면판(30)과 연결되는 탄성편(40)들을 수곳에 성형하는 것이 좋다.
이 탄성편(40)들은 사진의 배면에서 유동되지 않토록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면판에 받침부재(31)및 지지판(35)과 세움부재(36) 그리고 조립돌기(38)가 각각 일체로 하나의 사출물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받침부재(31)가 펼쳐져 세움부재(36)로 세워지게 하고 조립돌기(38)에 의해 틀체(10)에 배면판(30)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그 생산원가와 조립 공정수를 크게 절감하여 그 제작자 및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완성되는 액자의 테두리를 따라 장식적으로 감싸는 틀체(10)와;상기 틀체(10)의 내측으로 사진(50)을 투명하게 보호하는 투명판(20)과;상기사진(50)을 배면에 부착되는 배면판(30)으로 구성된 것이 있어서;상기 배면판(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하측에 프라스틱힌지(32)로 연결되고,절취공간(33)에 의해 절취되어 수평 바닥면(2)으로 절첩되고 조립공(34)이 상단에 뚫어지는 받침부재(31)와,상기 받침부재(31)의 내측으로 배면판(30)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35)과,이 지지판(35)의 내측으로 그 상단이 프라스틱힌지(37)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이 절취되는 세움부재(36)와,상기 틀체(10)의 배면으로 뚫어지는 조립홀(11)과 대응되는 위치로 끼워 조립돌기(38)들이 각각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면판(30)에는 얇은 판상으로 일측부만이 일체로 배면판(30)과 연결되어 사진(50)의 배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40)들을 수곳에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19960030124U 1996-09-19 1996-09-19 액자 KR200141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124U KR200141927Y1 (ko) 1996-09-19 1996-09-19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124U KR200141927Y1 (ko) 1996-09-19 1996-09-19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86U KR19980016786U (ko) 1998-06-25
KR200141927Y1 true KR200141927Y1 (ko) 1999-06-01

Family

ID=1946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124U KR200141927Y1 (ko) 1996-09-19 1996-09-19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9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28Y1 (ko) * 2017-12-27 2020-02-24 이명섭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86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6072A (en) Article mounting device
KR200141927Y1 (ko) 액자
CN2383428Y (zh) 立体相架
US4773173A (en) Picture frame
DE59703024D1 (de) Halterung für eine kochfläche
US5533630A (en) Compact disk assembly rack
USD415745S (en) Computer keyboard support frame
KR200245985Y1 (ko) 액자
CN213882875U (zh) 一种显示组件及净饮机
KR200214237Y1 (ko) 일체형 포토프레임
KR200153407Y1 (ko) 사진 꽂이 겸용 탁상용 회전 거울
CN2230547Y (zh) 背板一体成型的相框
KR200183289Y1 (ko) 장식물 케이스
JP2001186949A (ja) 家具用脚体
KR960000525Y1 (ko) 액자용 지지테
KR200345474Y1 (ko) 장식용 액자
KR200168665Y1 (ko) 액자
KR200164925Y1 (ko) 스탠드형 앨범
KR910000297Y1 (ko) 도어용 그릴의 부착장치
KR200378921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액자
KR200236721Y1 (ko) 경사지주형화환받침대
KR200313977Y1 (ko) 노트북용 조립식 테이블
KR970000600Y1 (ko) 액자용 장식테
KR20020087368A (ko) 수저통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42988Y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