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868Y1 - 의자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868Y1
KR200141868Y1 KR2019960021048U KR19960021048U KR200141868Y1 KR 200141868 Y1 KR200141868 Y1 KR 200141868Y1 KR 2019960021048 U KR2019960021048 U KR 2019960021048U KR 19960021048 U KR19960021048 U KR 19960021048U KR 200141868 Y1 KR200141868 Y1 KR 200141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racket
chair
pipe
tor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439U (ko
Inventor
손동창
Original Assignee
손동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창 filed Critical 손동창
Priority to KR2019960021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868Y1/ko
Publication of KR980006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3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를 일정각도 배면쪽으로 향해서 틸팅시키는 의자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는 하우징(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받침대(30a) 및 지지대(30b)에 재치되어 틸팅의 강약을 조절하는 틸팅강약조절수단(33)과,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토션바 클램프(34)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34a)에 삽입되는 토션바(45)와, 상기 토션바(45)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축관(60)과, 상기 축관(60)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되어 등받이(17)의 틸팅에 따라 상기 축관(60)에 연동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파이프 브래킷(70)과,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의 브래킷(70b)에 맞물려서 틸팅각을 규제하는 스토퍼(50)와, 상기 축관(60)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80)과, 상기 한쌍의 축관(60)을 동심적으로 각각 수용하며 의자의 등받이(17)가 틸팅될 때 선회하는 한쌍의 외부파이프 프레임(89)과, 상기 외부파이프(89)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되어 상기 축관(60)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80)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의 틸팅장치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를 일정 각도로 배면쪽을 향해서 틸팅시키는 의자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의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의자를 방향전환시키거나 또는 위치이동시키도록 캐스터 받침대(1)의 끝단에는 캐스터(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캐스터 받침대의 중앙에는 지지파이프(5)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파이프(5)내에는 의자의 시이트판(7)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장파이프(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이트판(7)을 받혀주는 받침판(11)의 좌우측에는 파이프 프레임(13)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아 파이프 프레임(13)의 상부에는 팔걸이(1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11)의 배면측, 즉 시이트판(7)의 뒤쪽에는 등받이(17)가 상기 시이트판에 대해 약 70°내지 90°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의자에 앉은 사람)가 상기 의자의 시이트판(7)에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에 육체적인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팔걸이(15)를 좌우측 손으로 각각 잡고 상체를 뒤로젖히면, 받침판(11)의 뒤쪽에 입설된 도시하지 않은 탄성판이 상체의 체중이 인가됨에 따라 뒤쪽을 향해서 휘면서 등판이 이정한 각도만큼 뒤로 젖혀졌다가 상체를 앞으로 원위치(업무보는 자세로 복귀)시키면 상기 탄성판의 복원력에 의해 등받이(17)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틸팅시에 등받이(17) 전체면이 시이트판(7)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틸팅, 즉 등받이(17) 좌측 또는 우측이 같은 각도로 틸팅되어 틸팅감도가 나쁠뿐만 아니라, 받침판의 뒤쪽에 고가의 탄성판을 부착하여야만 하므로,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틸팅감도가 좋은 의자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의자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의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작용되는 의자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하우징 30a : 받침대
30b : 지지대 33 : 틸팅강약조절수단
34 : 토션바 클램프 35 : 고정부
35a : 장공 37 : 토션바 클램프
39 : 연결부 41 : 스페이서
42 : 틸팅강약조절손잡이 45 : 토션바
50 : 스토퍼 50a : 네모형상의 홈
57 : 축받침 57a : 관통홈
58 : 덮개 60 : 축관
70 : 파이프 브래킷 70a : 관통구멍
70b : 브래킷 73 : 탄성부재
80 : 내측 브래킷 80a : 용접부
90 : 외측브래킷 90a : 용접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는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받침대 및 지지대에 재치되어 틸팅의 강약을 조절하는 틸팅강약조절수단과,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의 토션바 클램프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토션바와,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축관과, 상기 축관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되어 등받이의 틸팅에 따라 상기 축관에 연동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파이프 브래킷과, 상기 파이프브래킷의 브래킷에 맞물려서 틸팅각을 규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축관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과, 상기 한쌍의 축관을 동심적으로 각각 수용하며 의자의 등받이가 틸팅될 때 선회하는 한상의 외부파이프 프레임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되어 상기 축관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는 4각 기둥형상의 토션바가 틸팅강약조절수단의 토션바 클램프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내에 삽입되고,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의 고정부는 틸팅강약조절 손잡이에 의해 하우징의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측은 축관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의자의 등받이를 틸팅시키면, 그 틸팅력이 외부파이프 프레임 외측 및 외측브래킷을 통해서 축관을 시게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토션바를 강제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틸팅되게 하고, 틸팅의 불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업무자세로 되돌아 감으로써 토션바의 탄성력에 의해 틸팅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외부파이프 프레임이 뒤쪽에서 절단되어 있어 등받이의 우측에 힘을 가하면 등받이가 우측으로 틸팅되고 등받이의 좌측에 힘을 가하면 등받이가 좌측으로 틸팅되어 틸팅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의자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의 평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틸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30은 하우징으로써, 이 하우징(30)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받침대(30a)상에는 틸팅의 강도를 조절하는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일측, 즉 고정부(35)가 강약조절손잡이(42)에 의해 설치고정되어 있고,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타측부, 즉 토션바 클램프(37)는 외주면이 대체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대(30b)에 일정각도 선회가능하게 재치되어 있다.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33)은 하우징(30)에 형성된 받침대(30a)상에 재치되는 고정부(35)와, 상기 하우징(30)의 중앙부 근처에 일체적으로 일으켜 세운 u자형상의 지지대(30b)상에 일정각도 선회가능하게 재치되는 외주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토션바 클램프(37)와, 상기 고정부(35)와 토션바 클램프(37)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9)와, 상기 하우징(30)의 받침대(30a)에 형성된 관통구멍(30a') 및 상기 고정부(35)에 형성된 장공(35a)을 관통하여 스페이서(41)와 나합되어 틸팅강도를 조절하는 틸팅강약조절손잡이(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션바 클램프(34)에는 가로 방향으로 4각 기둥형상의 탄성강으로 이루어진 토션바(45)가 가로 방향으로 관통삽입되도록 네모형상의 관통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0)내에는 받침대(30a)가 형성된 반대쪽에 네모형상의 홈(50a)을 가진 스토퍼(5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0)의 가로방향 양측면에는 축관(60)이 설치되는 관통홈(57a)을 가진 축받침(57)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받침(57)에 형성된 관통홈(57a)에는 일측에 토션바(45)의 양단이 삽입된 축관(60)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축관(60)은 축받침덮개(58)에 의해 씌워진 다음, 도시하지 않은 고정볼트에 의해 축받침(57)에 나합되어서 축관(60)이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서 축관(60)은 그 양단측에 토션바(35)를 삽입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관의 양단부를 축소시킨 것을 뜻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 하우징(30)내로 삽입된 축관(60)의 단부측은 ㄷ자형상의 파이프 브래킷(7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0a)을 관통한 후, 상기 측관(60)과 파이프브래킷(70)은 축관(60)의 선회력에 따라 파이프브리킷(70)이 선회되도록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상기 토션바(45)는 사각봉형상(사각기둥형상) 또는 육각봉형상(육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상기 각 측관(60)의 양단부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60a)에 관통되어 2개소에서 축관(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축관(60)은 내측브래킷(80)과 용접부(80a)에서 용접고착되어 있고, 외부 파이프 프레임(89)은 외측브래킷(90)과 용접부(90a)에서 용접고착되어 있고, 상기 내측브래킷(80)과 외측브래킷(90)은 볼트(92)와 너트(93)에 의해 체결되어서 외측파이프프레임(89)의 선회에 따라 축관(60)이 선회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은 대체로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써, 이 파이프브래킷(70)은 양단부에 상기 축관(60)이 삽입되도록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0a)과, 대체로 중앙부에 바깥쪽을 향해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스토퍼(50)에 끼워져서 등받이(7)의 선회각도를 규제하는 ㄷ자 형상의 브래킷(70b)과, 등받이(17)의 선회시에 상기 브래킷(70b)과 스토퍼(50)의 당접 마찰에 의해 덜커덩 거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70b)의 양측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고무등으로 제조된 것으로써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고정부(35)를 하우징(30)의 받침대(30a)상에 재치하고, 또 토션바 클램프(34)를 지지대(30b)상에 재치한 후, 하우징(30)의 받침대(30a)에 형성된 관통구멍(30a')을 통해 틸팅강약조절손잡이(42)를 끼우고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고정부(35)에 형성된 장공(35a)을 관통시킨 다음, 틸팅강약손잡이(42)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2a)를 스페이서(41)와 나합시켜서 틸팅강약조절수단(33)을 하우징(30)내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토션바 클램프(34)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34a)내에 토션바(45)를 삽입한 후, 상기 토션바(45) 양측을 파이프 브래킷(7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관통구멍(70a)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토션바(45)의 양측을 축관(6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60a)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파이프브래킷(7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0a)내에 축관(60)의 일측을 삽입한다.
그 다음에, 축관(60)의 외측에 외부파이프 프레임(89)을 삽입한 후, 상기 축관(60)에 용접부(80a)에서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80)과 상기 외부파이프 프레임(89)에 용접부(90a)에서 용접고착된 외측브래킷(90)을 볼트(92) 및 너트(93)에 의해 나사 체결하여 외부프레임(89)의 선회에 따라 축관(60)이 선회되도록 조립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의자의 시이트판(7)에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에 육체적인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이 팔걸이(15)를 좌우측손으로 각각 잡고 상체를 뒤로 젖히면, 의자의 등받이(17)가 뒤쪽으로 틸팅되면서 외부파이프 프레임(89)이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그런데, 상기 외부 파이프 프레임(89)의 외측면에 용접고착된 외측브래킷(90)과, 축관(60)의 외측면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80)이 볼트(92) 및 너트(83)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부 파이프 프레임(89)의 선회력은 축관(60)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제3도 참조).
이때, 축관(60)의 시계방향으로 선회할려는 힘은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토션바 클램프(34)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34a)에 삽입된 토션바(45)를 강제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시계방향으로 틸팅되어 의자에 앉아있는 사람의 긴장감이나 피로감을 해소시키는 자세를 유지한다.
이때, 외부파이프 프레임(89)은 등받이(17)가 부착되는 부분이 절단되어 있으므로 등받이(17)의 좌측부분에 힘을 가하면 등받이(17)의 좌측부분이 우측부분보다 더 틸팅되고, 등받이(17)의 우측부분에 힘을 가하면 우측부분이 좌측부분보다 더 틸팅되며, 등받이(17)를 균등하게 뒤로 젖히면 등받이(17)의 좌우측이 같은량만큼 틸팅되어 틸팅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의자에 앉은 사람이 다시 업무 자세를 취하기 위하여 등받이(17)로부터 등을 떼면, 상기 토션바(45)의 복귀력(구체적으로는 탄성력)에 의해 토션바(45)가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축관(60) 및 외부파이프 프레임(89)을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서 등받이(17)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설명에서 의자의 등받이(17)를 틸팅시킬 때 틸팅강약조절손잡이(42)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틸팅강도가 강해지고, 반대로 틸팅강약조절손잡이(42)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틸팅강도가 약해진다.
또, 상기 설명에서 하우징(30)내측에 삽입된 상기 축관(60)의 외주면에는 파이프브래킷(70)이 용접되어 있으므로, 의자의 틸팅시에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이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의 시계방향으로의 선회는 하우징(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토퍼(50)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홈(50a)에 상기 파이프브래킷(7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브래킷(70b)의 하부측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틸팅시에 브래킷(70b)의 상부측과 스토퍼(50)가 당접되어 과도하게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이 선회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등받이(17)의 틸팅해제시에는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이 과도하게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브래킷(70b)의 하부측과 스토퍼(50)의 당접에 의해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의자 등받이(17)의 틸팅에 따라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선회시에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의 브래킷(70a)과 스토퍼(50)의 당접에 의해 발생되는 덜커덩 거림은 상기 브래킷(70a)의 상하부측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73)에 의해 감쇠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틸팅장치는 하우징의 받침대 및 지지대에 틸팅강약조절손잡이의 고정부 및 틸팅강약조절수단의 토션바 클램프를 올려 놓고,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의 토션바 클램프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내에 4각 기둥 형상의 탄성강으로 이루어진 토션바를 삽입하고, 이 토션바의 양단부에 외부파이프 프레임에 연동되는 축관을 끼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에 힘을 가하면 외부파이프 프레임, 외측 및 내측브래킷, 축관을 통해서 토션바를 트위스트시키면서 등받이를 틸팅시키고, 등받이의 틸팅이 불필요할 경우는 상기 토션바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틸팅상태가 해제되어, 틸팅감도가 좋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1)

  1. 하우징(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받침대(30a) 및 지지대(30b)에 재치되어 틸팅의 강약을 조절하는 틸팅강약조절수단(33)과,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33)의 토션바 클램프(34)에 형성된 네모형상의 관통구멍(34a)에 삽입되는 토션바(45)와, 상기 토션바(45)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축관(60)과, 상기 축관(60)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되어 등받이(17)의 틸팅에 따라 상기 축관(60)에 연동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파이프 브래킷(70)과, 상기 파이프브래킷(7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브래킷(70b)에 맞물려서 틸팅각을 규제하는 스토퍼(50)와, 상기 축관(60)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80)과, 상기 한쌍의 축관(60)을 동심적으로 각각 수용하며 의자의 등받이(17)가 틸팅될 때 선회하는 한쌍의 외부파이프 프레임(89)과, 상기 외부파이프(89)의 외주면에 용접고착되어 상기 축관(60)에 용접고착된 내측브래킷(80)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강약조절수단(33)은 하우징(30)에 형성된 받침대(30a)상에 재치되는 고정부(35)와, 상기 하우징(30)의 중앙부 근처에 형성된 u자형상의 지지대(30b)상에 일정각도 선회가능하게 재치되는 토션바 클램프(37)와, 상기 고정부(35)와 토션바 클램프(37)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9)와, 상기 하우징(30)의 받침대(30a)에 형성된 관통구멍(30a') 및 상기 고정부(35)에 형성된 장공(35a)을 관통하여 스페이서(41)와 나합해서 틸팅강도를 조절하는 틸팅강약조절손잡이(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에는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의 브래킷(70b)의 하부가 삽입되는 네모형상의 홈(5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60)의 양단부에는 상기 토션바(45)가 삽입되도록 네모형상의 관통구멍(6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은 그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0a)내에 상기 축관(60)이 각각 삽입된 후 용접에 의해 축관(60)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브래킷(70)은 ㄷ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브래킷(70)은 양단부에 상기 축관(60)이 삽입되도록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0a)과, 대체로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스토퍼(50)에 당접되어 등받이(7)의 선회각도를 규제하는 ㄷ자형상의 브래킷(70b)과, 등받이(7)의 선회시에 상기 브래킷(70b)과 스토퍼(50)의 당접마찰에 의해 덜커덩 거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70b)의 양측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부재(7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73)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플라스틱 사출물,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고무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지며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45)는 사각봉형상(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45)는 탄성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45)는 육각봉형상(육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틸팅장치.
KR2019960021048U 1996-07-16 1996-07-16 의자의 틸팅장치 KR200141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048U KR200141868Y1 (ko) 1996-07-16 1996-07-16 의자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048U KR200141868Y1 (ko) 1996-07-16 1996-07-16 의자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439U KR980006439U (ko) 1998-04-30
KR200141868Y1 true KR200141868Y1 (ko) 1999-06-01

Family

ID=1946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048U KR200141868Y1 (ko) 1996-07-16 1996-07-16 의자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74B1 (ko) * 2006-06-20 2007-05-02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의 틸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72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의 틸팅장치
KR100791454B1 (ko) *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0771416B1 (ko) * 2007-06-25 2007-10-30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74B1 (ko) * 2006-06-20 2007-05-02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의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43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610A (en) Chair with swivel seat and backrest
US4732423A (en) Invalid's chair construction
US5385388A (en) Split back chair
EP0173372B1 (en) Sitt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swivel-chair
CA1162833A (en) Chair seat adjustment assembly
US5833575A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having chair mountable support base and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arms
US5921625A (en) Mounting structure for cycle seat
US6990990B2 (en) Walker with support handle
WO1999025223A1 (en) Dual-pivot multi-position ratcheting chair arm
AU718284B2 (en) Chair
CA1050873A (en) Mechanism for tilting chairs
US5405189A (en) Chair seat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4441756A (en) Lounge chair with improved arm rests
KR200141868Y1 (ko) 의자의 틸팅장치
JPH057518A (ja) 椅子シート据え付け機構
JP4176462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H0217168B2 (ko)
US3386770A (en) Double action chair control
US5921630A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ck rest or an arm rest of a chair
US5364166A (en) Arm rest for chairs, chaise lounges and the like
JP2000005236A (ja) 車椅子用頭部等の支持装置
US4893872A (en) Office chair with waist supporter
JP4261001B2 (ja) 椅子
KR200385118Y1 (ko)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 레인지 조절장치
KR200452748Y1 (ko) 기어구동식 각도조절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