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543Y1 -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543Y1
KR200141543Y1 KR2019940035624U KR19940035624U KR200141543Y1 KR 200141543 Y1 KR200141543 Y1 KR 200141543Y1 KR 2019940035624 U KR2019940035624 U KR 2019940035624U KR 19940035624 U KR19940035624 U KR 19940035624U KR 200141543 Y1 KR200141543 Y1 KR 200141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wer supply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532U (ko
Inventor
한광수
김영관
정완열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2019940035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543Y1/ko
Publication of KR960024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컴퓨터와 송수신 신호를 주고받는 인터페이스IC에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광센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륵 하되, 송수신 신호의 유무에 따라 해당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동작상태를 알려주도록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과 밧데리의 과방전 상태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와 컴퓨터가 데이타를 주고받도륵 하면서 이 상태를 외부에서 알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 2 : 인터페이스IC
3, 4 : 광센서 5 : 수급용 복합계기
I1∼I4 : 인버터 LED1∼LED 6 : 발광다이오드
본 고안은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와 외부의 컴퓨터 사이에서 신호의 송, 수신이 행하여지도록 하면서 동작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도록 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산전력량계라 하면 일정한 시간내에 소비되는 전력의 합계를 누산 표시하면서 요금을 산정하기 위하여 유효전력량등을 검침하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유효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통의 전력량계를 이용하면서 전일 전력량과 최대수요 전력의 정밀한 측정을 위한 정밀전력량계를 사용하고, 다시 역률측정에 의한 무효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타임스위치와 무효전력량계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였다.
그러므로 전력량계, 정밀전력량계, 타임스위치 및 무효전력량계와 일체화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를 사용하게 되고, 복잡한 내부구성에 의한 계량치와 동작과정을 외부에서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 수급용 복합계기를 설치한 각 수용가를 방문하지 않고도 검침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력량계와 외부의 컴퓨터와 같은 제어기기의 사이에서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격검침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와 컴퓨터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원할한 송수신과 이에따른 동작과정을 알려주도록 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의 컴퓨터와 송수신 신호를 주고받는 인터페이스IC에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광센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되, 송수신 신호의 유무에 따라 해당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동작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밧데리의 과방전 상태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서, 타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와 컴퓨터가 데이타를 주고받도록 하면서 이 상태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1)의 수신단(R×D) 및 송신단(T×D)에 송신출력단(Tout) 및 수신입력단(Rin)이 각각 연결된 인터페이스IC(2)의 송신입력단(Tin) 및 수신출력단(Rout)에서는 두 광센서(3), (4)의 포토트랜지스터(PT1) 및 발광다이오드(LED1)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광센서(3), (4)의 발광다이오(LED2) 및 포토트랜지스터(PT2)를 통해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5)와 데이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이 어댑터(13)를 경유하는 중에 소정의 DC전원으로 되고 다시 전원스위치(SW1)와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를 거치고 정전압IC(7)에 의해 정격의 동작전원으로 된후 전원공급 여부를 알리는 발광다이오드(LED3)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밧데리(8)에서 스위치(SW2)를 거친후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2) 경유하여 정전압IC(7)로 밧데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서 분할저항(Rl), (R2)를 거쳐 비교기(OP)의 반전입력단으로 인가되도록 하며 동작전원(5V)이 분할저항(R3), (R4)을 거쳐 비반전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비교기(OP) 출력단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4) 의해 밧데리의 과방전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의 광센서(3)의 포토트랜지스터(PTl)에서 직렬접속의 두 인버터 (I1), (I2)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D5)에 연결하여 전력수급용 복합계기(5)에서 컴퓨터(1)로 데이타가 송신되고 있는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면서,
상기 인터페이스IC(2의 수신 출력단(CROUT)에서 포토카플러(9)를 거치고 직렬접속의 두인버터(I3), (I4)를 경유하여 발광다이오드(LEL6)에 연결하여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5)로 데이타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를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 로칼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어댑터(6)를 거쳐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3)가 점등되어 동작상태임을 알려주고, 정전에 의해 스위치(SW2)가 온되면 밧데리(8)의 전원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고 밧데리(8)가 방전되어 분할저항(Rl), (R2)을 거친 반전입력단 보다 동작전원이 분할저장(R3), (R4)을 거친 비반전입력단의 값이 큰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LED4)가 점등되어 밧데리(8)의 과방전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검퓨터(1)에서 인터페이스IC(2)를 거쳐 데이타를 송신하면 인터페이스IC(2)의 수신출력단(Rout)으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전력수급용복합계기(5)에 설치된 광센서(4)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포토카플러(9)와 두 인버터(I3), (I4)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D6)를 점등시켜 수신의 상태임을 알려주는 한편, 전력수급용 복합계기(5)에서 광센서(3)를 거쳐 데이타가 송신되면 인터페이스IC(2)를 거쳐 컴퓨터(1)로 전달되는 동시에 인버터(I1), (I2)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D5)를 점등시켜 송신의 상태임을 알려주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와 컴퓨터의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타의 송수신은 물론, 송수신과 전원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컴퓨터(1)에 연결된 인터페이스IC(2)의 송신입력단(Tin)에 광센서(3)를 거쳐 다기능 전력수급용복합계기(5)와 연결하면서 인버터(11), (12)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D5)에도 연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2)의 수신 출력단(Rout)에서는 광센서(4)를 거쳐 전력수급용 복합계기(5)에 연결하면서 포토카플러(9)와 두 인버터(13), (14)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D6)에 연결하고, 어뎁터(6)를 거친 전원은 전원스위치(SW1)를 거치고 정전압IC(7)를 경유하여 발광다이오드(LED3)에 연결하며, 밧데리(8)에서 스위치(SW2)를 거친 전원은 상기의 정전압IC(7)에도 공급되면서 비교기(OP)가 반전입력단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동작전원에 의한 기준전압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4)를 선택적으로 온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 스장치.
KR2019940035624U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KR200141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624U KR200141543Y1 (ko)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624U KR200141543Y1 (ko)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532U KR960024532U (ko) 1996-07-22
KR200141543Y1 true KR200141543Y1 (ko) 1999-05-15

Family

ID=1940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624U KR200141543Y1 (ko)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5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369B1 (ko) * 1997-06-30 2005-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주입 설비의 전력공급 장치 및 신호전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532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8769B2 (en) Electricity meter with power supply load management
US4638237A (en) Battery condition indicator
CA2501271C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ical meters
JP3115970U (ja) 消費電力と電気エネルギー累計ディスプレー装置のあるプラグ
EP0857978A2 (en) Programmable electrical energy meter and methods therefor
EP08037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esting of electricity meters
KR20120089771A (ko) 전자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전자 변환기, 조명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물건
KR200141543Y1 (ko)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로칼 인터페이스장치
WO2019216512A1 (ko) 전자식 전력량계
US7421205B2 (en) Infrared receiver for residential electricity meter
RU65655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рибор контроля показателей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CN112363080A (zh) 一种双体式独立工作的led电源
JPH02276422A (ja) コンセント回路の表示システム
CN220855106U (zh) 一种断路器用显示模块
EP0871018A1 (en) Electrically isolated interface for fluid meter
CN216144874U (zh) 电量计量装置及电量计量系统
KR100541357B1 (ko) 원격검침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0184801Y1 (ko) 시리얼 유니트를 이용한 통신용 전원장치의 감시/제어모듈
KR200409912Y1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전력량 측정 모니터
KR19990065033A (ko)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
KR19990036004U (ko)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 회로를 구비한 어댑터
KR97006270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기 검침회로
KR950012963A (ko) 밧데리 충전량 표시장치
JPH11230998A (ja) 電力量計
BE1022218B1 (nl) Module voor het bepalen van het energieverbruik van verbruikers die op een automaat zijn aangesloten, gebruik van dergelijke module automaat en verdeelk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