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317Y1 -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 Google Patents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317Y1
KR200141317Y1 KR2019950019994U KR19950019994U KR200141317Y1 KR 200141317 Y1 KR200141317 Y1 KR 200141317Y1 KR 2019950019994 U KR2019950019994 U KR 2019950019994U KR 19950019994 U KR19950019994 U KR 19950019994U KR 200141317 Y1 KR200141317 Y1 KR 200141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microphone
computer
tablet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815U (ko
Inventor
김운경
Original Assignee
김운경
시스템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경, 시스템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운경
Priority to KR2019950019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317Y1/ko
Publication of KR970010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타이저에 마이크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디지타이저의 정밀한 펜기능에 마이크 기능을 겸하는 개선된 디지타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지타이저의 컴퓨터 펜에 콘덴서 마이크를 내장하여 컴퓨터 펜을 구성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의 타블렛에 마이크의 음성신호 증폭부를 내장하여 타블렛 내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성신호 증폭부를 구동하도록 타블렛을 구성하고, 타블렛 내의 음성신호 증폭부가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하여 사운드 카드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 펜
제1도 (a)는 본 고안의 마이크가 내장된 컴퓨터 펜을 구비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
(b)는 제1도 (a)의 동작설명을 위한 블럭다이어그램.
제2도 (a)는 본 고안의 라이트 펜이 무선송신일 경우의 사시도,
(b)는 공중파 송수신기를 부착한 경우의 블럭다이어그램, c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부착한 경우의 블럭다이어그램.
제3도는 종래의 디지타이저와 마이크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용 컴퓨터에 음성입력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 것으로 디지타이저(Digitizer)에 사용되는 라이트 펜에 마이크를 내장함으로써, 컴퓨터 그래픽이나 CAD작업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 음성입력필요시에 별도의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라이트 펜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간편하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타이저(Digitizer)는 마우스처럼 키보드의 기능중 일부를 대신해 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갖고 있다. 디지타이저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때 마우스와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마우스보다 더 정밀한 입력을 할 수 있으므로 고도의 정밀도를 필요로하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 많이 사용되어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을 위한 그림 편집, 도형 디자인, 정밀묘사와 같은 컴퓨터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기존의 디지타이저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블렛(Tablet)(6)과 컴퓨터펜(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 펜(4)은 타블렛(6)에 케이블로 연결되고, 타블렛(6)은 RS-232C(시리얼 통신방식) 커넥터(7)와 이 RS-232C 커넥터(7)와 연결된 키보드 커넥터(8)를 구비하여 RS-232C 통신포트로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타블렛(6) 위에 펜(4)으로 선을 긋거나 그림을 그리면 타블렛(6)은 처럼 좌표입력을 받아서 그 입력된 데이타를 RS-232C 통신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용 컴퓨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운드 카드 입력단에 마이크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마이크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마이크부(1)와 음성신호증폭부(2) 및 마이크 입력단자(3)로 구성되며, 콘덴서 마이크부는 사용자의 편리함을 위하여 의복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손잡이를 구비하여 직접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또는 컴퓨터 본체에 마이크를 내장하여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이와같이 음성입력을 위하여 마이크를 사용하는 방법은 디지타이저를 사용하여 컴퓨터 그래픽 및 CAD등의 작업을 하거나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전자 결재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중에 음성메세지를 입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별도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성입력을 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마이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성입력을 하기 위하여 마이크에 근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음성신호에 불필요한 노이즈가 혼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타이저에 마이크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디지타이저의 정밀한 펜 기능에 마이크 기능을 겸하는 개선된 디지타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지타이저의 컴퓨터 펜에 콘덴서 마이크를 내장하여 컴퓨터 펜을 구성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의 타블렛에 마이크의 음성신호 증폭부를 내장하여 타블렛 내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성신호 증폭부를 구동하도록 타블렛을 구성하고, 타블렛 내의 음성신호 증폭부가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하여 사운드 카드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원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a 및 제1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의 컴퓨터 펜(4) 내부에 소형 콘덴서 마이크(1)을 내장하여 컴퓨터 펜(4)을 구성한다.
컴퓨터 펜(4)은 타블렛(6)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에는 컴퓨터 펜(4)과 타블렛(6)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케이블과 마이크를 위한 케이블을 함께 구비하여 구성한다.
타블렛(6)의 내부에는 디지타이저 타블렛(6)에 음성신호 증폭부(2)를 내장하여 타블렛(6)내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음성신호 증폭부를 구동할 수 있도록 타블렛(6)을 구성하고, 마이크로 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음성신호 증폭부(2)로 부터 마이크 입력단자(3)를 통하여 사운드처리 장치의 마이크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디지타이저와 컴퓨터 간에 시리얼 통신방식의 RS-232C 커넥터(7)가 연결된 RS-232C 포트를 사용하여 디지타이저 컴퓨터 펜(4)의 입력데이타를 컴퓨터에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 펜(4)에 입력된 음성, 화상 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송신하는 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선수단뿐만 아니라, 무선등의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컴퓨터 펜(4)과 타블렛(6)을 전기선으로 연결하지 않은 무선의 경우를 첨부된 제2도 (a), 제2도 (b) 및 제2도의 (c)의 도면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컴퓨터 펜이 무선송신일 경우, 제2도 a에 나타낸 바와같이 컴퓨터 펜(4)에 송신장치를 구비하고 타블렛(6)에 수신장치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음성 및 화상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같은 무선 송수신 방법에는 공중파를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공중파를 이용한 장치의 경우에는 제2도 b의 블록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신호는 컴퓨터 펜(4)부의 마이크입력부(1)을 통하여 증폭부(20)와 변조부(30를 거쳐 송신부(40)에서 전송되고, 타블렛(6)의 수신부(50)에서 수신되어 증폭부(60), 검파부(70) 및 증폭부(80)를 거쳐 출력신호가 사운드 처리장치의 마이크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또한 무선 공중파를 이용하는 대신에 적외선 감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2(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신호는 컴퓨터 펜부(4)의 마이크(1)를 통해 입력되어 증폭부(20), 변조부(30) 및 송신부(40)를 거쳐 적외선 발신기 (9)에서 발신되고, 타블렛부(6)의 적외선 수신기(10)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는 수신부(50), 증폭부(60), 검파부(70) 및 증폭부(80)를 거쳐 컴퓨터와 사운드 처리장치의 마이크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디지타이저용 컴퓨터 펜을 사용하여 입력작업을 하는 도중에 항상 컴퓨터 펜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하여 편리하게 음성입력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은 단순히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관련산업의 여러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멀티미디어용 컴퓨터의 화상신호 입력을 위한 디지타이저의 컴퓨터 펜(4)에 음성신호 입력수단(1)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펜(4)와 디지타이저로 부터 발생된 화상신호와 음성신호 입력수단(1) 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들을 컴퓨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무선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 펜.
KR2019950019994U 1995-08-02 1995-08-02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KR200141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994U KR200141317Y1 (ko) 1995-08-02 1995-08-02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994U KR200141317Y1 (ko) 1995-08-02 1995-08-02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15U KR970010815U (ko) 1997-03-29
KR200141317Y1 true KR200141317Y1 (ko) 1999-05-15

Family

ID=1942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994U KR200141317Y1 (ko) 1995-08-02 1995-08-02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3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85B1 (ko) * 2001-09-03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스타일러스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85B1 (ko) * 2001-09-03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스타일러스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15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321B1 (en) Pointing device with integrated audio input
TW366465B (en)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multiple handheld control device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CA2394768A1 (en) Handheld personal data assistant (pda) with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343796A1 (en) Communication station and software for interfacing with an infusion pump, analyte monitor, analyte meter, or the like
CA2281497A1 (en) Personal computer card for collection of real-time biological data
TW336301B (en) An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encrypting input from a touch screen
ATE92702T1 (de) Fernsteuerbares programmierbares hoergeraetesystem.
EP1098548A3 (en) Acoustic system comprised of components connected by wireless
DE69842006D1 (de) Schwingungsüberwachungsvorrichtung
KR20020073028A (ko) 펜의 위치 인식을 이용한 입력 장치
ATE208059T1 (de) Berührungsloses anmeldesystem für computer
KR200141317Y1 (ko) 음성입력이 가능한 디지타이저용 컴퓨터펜
EP0526015A1 (en) Three-dimensional computer mouse
DE69325950T2 (de) Digitales Übertragungssystem
JP3066302B2 (ja) 無線ペン・タブレット
US2007000201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ursor pointing
KR0152332B1 (ko) 적외선 통신 장치
US20040147283A1 (en) Computer system with wireless audio signal receiving module
ATE282461T1 (de) Laufbandeinrichtung
ES2152422T3 (es) Sistema de comunicaciones interactivo.
JPH096529A (ja) コードレスマウス
KR20030030651A (ko) 무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DE68908684D1 (de)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asynchronen Daten über einen Infrarotkanal.
JPH04520A (ja) 小型電子装置
JPS619717A (ja) 電子装置の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