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4123A -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4123A
KR20010114123A KR1020000034328A KR20000034328A KR20010114123A KR 20010114123 A KR20010114123 A KR 20010114123A KR 1020000034328 A KR1020000034328 A KR 1020000034328A KR 20000034328 A KR20000034328 A KR 20000034328A KR 20010114123 A KR20010114123 A KR 20010114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mpany
web server
user
home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중
Original Assignee
김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중 filed Critical 김시중
Priority to KR102000003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4123A/ko
Publication of KR20010114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관리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원사시스템과, 상기 회원사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접속하며 상기 복수의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운영함과 함께 상기 복수의 회원사의 상품정보를 공유하여 가상의 통합마트를 구현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상기 웹서버에서 운영하는 회원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구매하는 사용자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에서 수많은 다단계 판매회사의 물품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요자로서는 용이하게 원하는 물품을 특정 회원사로부터 구매하는 것이 가능하고, 판매자로서는 거의 모든 물품에 관한 수요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므로 판매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개개의 회원사별로 전체 물품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 회원사별 중복투자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Integrated Virtual Mart System Using Internet and Business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별영업주체를 통합운영함으로써 물품을 공유하는 방법을 통해 새로운 수요와 공급을 창출하고자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혁명시대에는 고전적인 사업방식 예를 들면 모든 영업주체가 모든 물품을 다 갖추어 놓은 상태에서 수요자에게 물품을 공급한다거나, 각 개별 영업주체간의 차별화된 상품만을 판매하고 이외의 상품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방식으로는 중복투자의 불경제와 다양한 상품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렵고 더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사업방식이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나 아직까지 이렇다할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네트워크경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활용해야 하고 뿐만 아니라 사업의 모든 부분을 인터넷으로 통합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업모델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네트워크 마케팅 기업은 일반 유통에 비해 기업경쟁력이나 사업인지도 면에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한국 네트워크 마케팅 산업의 확대는 시장영역의 다변화와 저가격정책과 서비스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e-비즈니스 시대의 기업경영 전문화로 건전한 유통질서와 소비문화 정착을도모해야만 한다.
모든 것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점차 통합되어가고 있는 지금 현재와 같이 각자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다단계 판매회사의 경영방식으로는 머지않아 발전의 한계에 도달하거나 다른 경쟁유통채널에 비해 경쟁력을 상실하는 상황이 될 수 있으므로 이들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도입이 이 분야에도 절실하게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고자 개별적으로 산재해 있는 다수의 다단계 판매회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통합운영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각 기업은 물품간 정보를 교류하며 공동구매제도의 도입을 통한 차별화된 물품을 상호 공유토록 함으로써 수요자는 회원가의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품공급자는 다양한 물품판매를 통한 수익창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하여 수많은 다단계 판매회사를 하나의 웹서버로 통합운영함으로써 차별화된 물품을 공유하는 방법을 통해 새로운 수요와 공급을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통합마트 시스템의 내부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통합마트 시스템을 운영하는 웹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다단계 판매사의 물품구매방법.
도 5는 동일한 회원 ID로 복수의 사용자 접속시의 웹서버와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회원인증에 따른 회원사 홈페이지 전송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대금결제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의 일실시예.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관리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원사시스템과,
상기 회원사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접속하며 상기 복수의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운영함과 함께 상기 복수의 회원사의 상품정보를 공유하여 가상의 통합마트를 구현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상기 웹서버에서 운영하는 회원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구매하는 사용자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회원사는 바람직하기로는 다단계판매를 경영하는 회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통신망은 인터넷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략도로서 가상의 통합마트를 운영하는 웹서버는 통신망을 통하여 복수의 회원사 및 사용자 시스템과 정보를 전달한다.
사용자시스템(105)은 회원사(103)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1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기존의 다단계 판매사들의 회원이 자신이 속한 회사의 물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회사와 접촉하는 방식과는 구별되어진다.
상기에서 사용자란 회원 또는 회원을 통해 회원사와 거래하는 비회원을 포함하며 사용자시스템은 사용자와 소정의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가상의 통합마트'란 직접 복수의 회사가 물리적으로 통합되어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물품 및 정보를 공유한다는 실질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복수의 회원사는 자신들의 독자적인 영업은 유지한 채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에 의해 상호 협력의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회원사에 속한 회원이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에 접속하였을 때의 상호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200)은 복수의 회원사 홈페이지(201)를 운영하고 있다. 사용자(205)(예를 들면 A사 회원)는 자신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에 접속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웹서버에서 운영하는 A사 홈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게 되므로 실제로 A사와 거래를 하게 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만일 원하는 물품이 실제로는 A사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가상의 통합시스템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회원사의 상품이 웹서버를 통해 공유(203)됨으로써 타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에 각 회사별로 특화된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회원가로 구매할 수 없고 또한 구매시 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이러한 문제가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을 운영하는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시스템(305)은 통신망(303)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300)에 연결되어 있다(회원사는 도면에 미도시).
상기 웹서버(300)는 상품정보 데이타베이스(61), 사용자정보 데이타베이스(6 3), 회원사정보 데이타베이스(65) 및 홈페이지정보를 저장하는 홈페이지저장부(67)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상품정보 데이타베이스(61)는 각 회사의 특화된 상품 즉, 현재 제조 또는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웹서버에 등록된 복수개의 회원사들은 각자 네트워크 상에서 독자적인 홈페이지를 사용하여 영업을 도모하고, 독자적으로 회원을 유지관리하는 등 원칙적으로 각 회사는 상호 완전히 독립적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사용자의 구매의욕을 충족시켜줄 다양한 물품의 확보를 위하여는 통신망을 통한 상품간 공유가 필요하게 된다. 각 회사는 자신의 특화된 상품을 회원사간 공유를 원할 경우 당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게 제공하여 이를 공유함으로써 수요자가 원하는 물품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A회원사는 화장품을 판매하는 회사이고, B회사는 건강식품을 판매하는 회사인 경우 A회사의 사용자가 건강식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는 회원으로서의 혜택없이 B사에서 구매하여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A회사의 사용자는 회원으로서의 혜택을 보유한 채 B회원사의 건강식품을 구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A회원사가 B회원사의 상품을 A회원사의 회원이 구입했을 때 A사는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대행사가 되고, B사는 물품공급사가 됨으로써 통합마트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63)는 각 회원사별로 유지관리하는 회원 및 회원을 통해 거래하게 되는 비회원에 관한 개인정보 등이 기록된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라 함은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ID, 패스워드, 소속 회원사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물품구입시 요구되는 카드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원사정보 데이터베이스(65)는 회원사에 관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회원사 소개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회원사는 웹서버를 통해 자신의 홈페이지 상에서 회원사 PR정보 등으로 활용하게 된다.
또한 홈페이지 저장부(67)는 본 발명의 가상 통합마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회원사의 홈페이지 화면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곳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의 회원사가 통신망을 통하여 공유관계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영업활동만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웹서버로 통합운영 되어진다 하더라도 독자적인 홈페이지가 구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상기 각 회원사의 홈페이지 화면은 사용자에 의한 접속시 회원이 속한 회원사의 것이 디스플레이 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접속 하더라도 각각의 회원이 속한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웹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정보를 회원사의 홈페이지를통해 요청시 이를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61)로부터 호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선택된 당해 상품정보를 데이터입출력관리부(10)로 전달하는 상품정보관리수단 (40)과, 사용자에 의한 회원인증시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63)로부터 검색하여 정당한 회원인지를 판단하고, 회원에 관한 가입·탈퇴 등의 변경정보를 등록하고 또한 상품구입요청시 필요한 정보(사용자의 상품구매시 신청서에 등록되어질 사항 등을 포함)를 등록하는 사용자정보 관리수단(30)과, 회원사소개 요구시 회원사에 관한 정보를 회원사정보 데이터베이스(65)로부터 호출하고, 회원인증시 요구되는 회원 ID에 기록되어진 회원사식별정보를 통하여 회원사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결정에 따라 정해진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결정하는 회원사정보 관리수단(30)과, 홈페이지의 변경정보를 등록하고, 홈페이지 저장부(63)로부터 상기 회원사정보 관리수단(30)에서 정해진 해당 홈페이지를 호출하여 데이터입출력 관리수단(10)으로 전송하는 홈페이지 관리수단(50)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입출력 관리수단(10)은 사용자와 웹서버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정보 및 웹서버가 사용자에게 선택된 상품의 배송을 회원사에게 의뢰하는 정보 모두가 이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회원ID를 입력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회원 ID에 의해 정해진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사용자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홈페이지 상에 표시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회원사에 상품공급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웹서버의 접속수단으로는 통상적인 URL의 입력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좋고, CD드라이버 구동시 바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 자기기록매체 또는 광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도 다 가능하다.
특히 CD로 접속을 하는 경우가 본 발명의 실시에 바람직한데 이는 CD는 배포성이 우수하므로 회원의 고유 ID가 적힌 CD를 상당량 복사하여 비회원에게 배포하면 비회원에 의한 상품구매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회원은 상기 비회원에 의한 상품의 구매가 있을 때마다 회원자신의 실적으로 포인트 축적이 가능하므로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도 4는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구매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먼저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구동하고(401), 웹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면(402 ), 상기 웹서버는 이에 대한 승인으로 홈페이지를 전송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403), 웹서버는 정당한 회원인지를 인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404).
다음으로 회원이 정당한 회원으로 판단되면 회원 ID의 회사 식별기호에 따라 결정된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전송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405). 사용자는 전송된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상품목록에서 상품을 선택(406)하여 회원사에게 구매를 요청하면(407) 웹서버는 당해 선택된 상품을 보유한 회원사에게 상품공급을 요청하게 된다(408).
단계 404의 회원 인증은 도 5에서와 같이 회원이 입력하는 ID와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ID는 회사고유의 식별기호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회원이 특정 회원사의 회원임을 인증함과 함께 웹서버가 해당 홈페이지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로 되어진다. 회원 ID를 입력하면(501) 서버는 회원사의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판단(50 3)하여 정당한 회원의 ID로 판단되면 이에 상응하는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호출(50 5)하여 사용자 시스템에 전송한다(507). 만일 정당한 회원의 ID가 아닌 경우에는 회원 ID 재입력 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단계 405에서 전송되는 회원사 홈페이지 화면은 각 회사별로 별도로 작성되어 회사의 특성이 잘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이에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개별적으로 개성을 지니는 홈페이지 화면을 가지지 않고 하나의 홈페이지 화면에 그 일부에 회원사의 명칭만 교체하는 방법으로 홈페이지 화면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든 회원사의 홈페이지는 명칭만 상이할 뿐 화면상 공통의 홈페이지 화면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단계 406에서 웹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사용자 시스템에 표시되는 상품목록은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회원사가 공통으로 공유하는 목록이다. 상기 목록에는 회원사 전체를 통하여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품을 올리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현재 전 회원사를 통하여도 구매할 수 없는 물품은 다른 물품 공급업자와 통합마트를 운영하는 운영자와의 물품공급계약에 의하여 언제든지 수급이 가능하다.
단계 407의 회원사에 상품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웹서버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당해 회원사와는 무관하다. 즉, 회원사는 상품판매 대행업자 (만일 회원사가 보유하는 상품에 관한 구매일 경우 상품 공급업자가 됨)로서 가상의 통합마트 운영자로부터 수당과 이익액을 받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단계 407의 사용자에 의한 상품구매요청이 있으면 웹서버는 단계 408과 같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회원사를 검색하고 상기 회원사에 상품에 관한 공급을 요청하게 된다.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회원 ID를 사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려고 하는 경우 시스템에 트래픽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이러한 경우 그 해결방안의 일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 1(601)이 회원 ID NS123으로 웹서버(610)에 접속하고 사용자 2(602), 3(603)가 순서대로 동일 ID로 접속을 시도하고 있는 경우에 트래픽을 방지하기 위하여 웹서버는 사용자 2 및 3에게는 접속과 동시에 NS123A및 NS123B라는 형태의 임시번호를 부여하여 접속단계에서 서로 다른 ID를 부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 의하더라도 회원 고유의 ID는 앞에서 5자리만 인식하여 특정하도록 하면 되므로 회원의 특정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임시번호는 접속과 동시에 접속순서에 따라 부여되고 접속이 끝나면 상기 임시번호를 소멸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의 상품구입시 대금의 결제 과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사용자에 의한 상품구입신청이 있은 후 카드사(702)는 상품대금을 사용자(701)에게 청구하고 사용자는 정해진 납부기일내에 상기 카드사에 대금을 납부하게 된다. 카드사는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운영자(703)에게 대금을 지불하고, 상기 시스템 운영자는 판매 대행사(704)에게는 회원사 이익금과 회원수당을 지급하고, 상품을 공급한 상품공급사(705)에게는 상품대금을 지불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매대행사는 회원에게 상품판매에 따른 수당을 지급하게 된다. 따라서 회원사는 판매량 증진에 따른 소득 증대와, 회원(706)에게는 실적 및 수당이 증가하게 됨과 동시에 사용자는 회원의 자격으로 상품을 구매하게 되므로 저렴하게 원하는 상품을 다양하게 구입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구매시의 사용자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웹서버에 접속하면 가상의 통합마트를 대표하는 홈페이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a), 다음으로 회원인증을 요구하는 창이 출력되어 진다(b). 하지만 상기 회원인증을 요구하는 창은 도면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창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한 초기 홈페이지 화면에 함께 포함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회원인증이 있은 후 웹서버는 특정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출력하게 된다(c). 사용자는 해당 회원사의 홈페이지사의 상품 서비스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회사별 또는 용도별 상품 목록을 갖춘 화면을 전송받아 원하는 상품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품목록은 분류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특히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홈페이지 구성은 여러 실시 가능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불과하고 개변이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에서 수많은 다단계 판매회사의 물품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요자로서는 용이하게 원하는 물품을 특정 회원사로부터 구매하는 것이 가능하고, 판매자로서는 거의 모든 물품에 관한 수요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므로 판매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개개의 회원사별로 전체 물품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 회원사별 중복투자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상품의 공동구매로 사업의 다양화와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관리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원사 시스템과,
    상기 회원사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접속하며 상기 복수의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운영함과 함께 상기 복수의 회원사의 상품정보를 공유하여 가상의 통합마트를 구현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상기 웹서버에서 운영하는 회원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구매하는 사용자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원사는 다단계 판매를 경영하는 회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4.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의 구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회원ID를 입력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회원 ID에 의해 정해진 회원사의 홈페이지를 사용자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홈페이지 상에 표시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회원사에 상품공급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웹서버 접속단계에 있어서, 동일한 회원 ID를 가진 복수의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접속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임시접속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방법.
KR1020000034328A 2000-06-21 2000-06-21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KR20010114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328A KR20010114123A (ko) 2000-06-21 2000-06-21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328A KR20010114123A (ko) 2000-06-21 2000-06-21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123A true KR20010114123A (ko) 2001-12-29

Family

ID=1967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328A KR20010114123A (ko) 2000-06-21 2000-06-21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412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6199A (ja) * 1997-08-19 1999-03-09 Oki Electric Ind Co Ltd 分散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
KR20000072642A (ko) * 1999-09-18 2000-12-05 남기석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질화갈륨 분말의 제조 기술
KR20010007659A (ko) * 2000-01-19 2001-02-05 윤용 전자상행위의 통합 및 분산 관리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010076492A (ko) * 2000-01-26 2001-08-16 윤종용 다수의 사이버 대리점들을 통합한 인터넷 쇼핑 몰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1818A (ko) * 2000-03-18 2001-10-23 유도곤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오프 동시 상거래 운영방법
KR20010093037A (ko) * 2000-03-28 2001-10-27 김재호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6199A (ja) * 1997-08-19 1999-03-09 Oki Electric Ind Co Ltd 分散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
KR20000072642A (ko) * 1999-09-18 2000-12-05 남기석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질화갈륨 분말의 제조 기술
KR20010007659A (ko) * 2000-01-19 2001-02-05 윤용 전자상행위의 통합 및 분산 관리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010076492A (ko) * 2000-01-26 2001-08-16 윤종용 다수의 사이버 대리점들을 통합한 인터넷 쇼핑 몰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1818A (ko) * 2000-03-18 2001-10-23 유도곤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오프 동시 상거래 운영방법
KR20010093037A (ko) * 2000-03-28 2001-10-27 김재호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9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l networking
US20010025245A1 (en) E-registrar
US20040230511A1 (en) Global sales by referral network
US200601614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multiple products
US200200263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e points
CN114493430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物流配送系统及方法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20107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aggregation service
US7440911B1 (en) Distributed quote management
KR20010088252A (ko) 사용자간 온라인 물품 대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58369B1 (ko) 다단계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US20010032148A1 (en) System of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on commercial transaction exploiting electronic catalog and system of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storing marketing information
US20090018943A1 (en) web base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the marketing of online quotations and offers to consumers and businesses looking to acquire products or services, where a consumer or business is able to register his requirements once and publish them anonymously to any product or service provider,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a website, who may wish to provide a quotation for providing that product or service.
KR20010099243A (ko) 메신저와 메신저 네트웍을 이용한 유/무선 전자상거래
KR2001011412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의 통합마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상품판매방법
US77070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sourcing products
KR20000058841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화장품 쇼핑몰 운영 방법
KR20030043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머천다이징 시스템
KR20010102719A (ko) 인터넷을 통한 개인정보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l Chen et al. Creating value through e-commerce
KR101908912B1 (ko) B2b 전용 글로벌 무역지원 플랫폼을 가지는 거래물량 전환 가능 수출 비즈니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JP2002175468A (ja) 情報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10113419A (ko) 소액상품 중개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21031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centralizing electronic activities associated with a good of interest over a data network
KR200100960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상품의 관리 및 매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