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179A -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179A
KR20010113179A KR1020000033328A KR20000033328A KR20010113179A KR 20010113179 A KR20010113179 A KR 20010113179A KR 1020000033328 A KR1020000033328 A KR 1020000033328A KR 20000033328 A KR20000033328 A KR 20000033328A KR 20010113179 A KR20010113179 A KR 2001011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t
imag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모덕화
Original Assignee
모덕화
주식회사 티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덕화, 주식회사 티투넷 filed Critical 모덕화
Priority to KR102000003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3179A/en
Publication of KR2001011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17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n image chat function.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1)와, 영상의 출력을 위한 화상출력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티커 자판기에 있어서,In the sticker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camera 1 for photographing a user's face and an image output unit 2 for outputting an image,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모드 또는 채팅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3)와;An operation unit 3 for the user to select a photo sticker mode or a chat mode;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마이크(4)와;A microphone 4 for changing a user's development into an electrical signal;

마이크(4)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출력부(5)와;An audio output unit 5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icrophone 4;

채팅모드시 상대 채팅자의 육성을 공급받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6)와;A speaker 6 which is supplied with the fostering of the counterpart chatter in the chat mode and outputs a sound;

채팅모드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대측 포토 스티커 자판기로 전송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상대 채팅자의 화상을 화상출력부로 전송하며, 상대 채팅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공급하는 통신부(7)와;In the chat mode, the video recorded by the camera and the user's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are transmitted to th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far away from the Internet, and the image of the other chatter sent from the other party is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7 for supplying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사용자의 채팅모드 설정시 인터넷에 접속된 채팅가능한 상대자의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팅자를 선택하여 1:1 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채팅이 시작되면 사용자의 화상과 음성이 상대측 기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대채팅자의 화상과 음성이 화상출력부(2)와 스피커(6)로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여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이성과 화상 채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채팅시 깨끗한 화질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When setting the user's chat mode, it provides the video of the chatable partner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chatter and have a 1: 1 conversation, and when the chat starts, the user's video and audio are transmitted to the other device. A control unit 8 for controlling the image and sound of the partner chatter supplied from the partner to be supplied to the image output unit 2 and the speaker 6,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n image chat function to enable a user to perform a video chat with a desired reason through the Internet, and to provide a clear picture quality and voice during video chat.

Description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with image chat function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본 발명은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이용하여 포토 스티커를 찍을 수 있음은 물론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이성과 화상 채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채팅시 깨끗한 화질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 video chat function, and in particular, a user can take a photo sticker using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as well as perform a video chat with a desired reason through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n image chat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clear image quality and sound.

포토 스티커 자판기라 함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찍어서 작은 스티커로서 인화할 수 있도록 된 장치로서, 현재 많은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print their face by printing a small sticker, which is currently used by many teenagers.

도 4 는 종래의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4 shows a conventional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그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21)와, 포토 스티커 자판기의 각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와, 사용자의 조작부(22) 조작에 따라 카메라(21)에 촬영된 영상이 인화되어 스티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와,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1)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티커 사진으로 인화하여 사용자에게 배출하는 인화부(24)와, 카메라(21)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 출력해주는 화상출력부(25)로 구성되어 있다.A camera 21 for photographing a user's face and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an operation unit 22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each function of th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and a camera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peration unit 22 The control unit 23 controls to print the image photographed in the print to the sticker, and the printing unit for print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to the sticker photo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3 and discharged to the user ( 24 and an image output unit 25 for outputt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1 as an image for the user to see.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토 스티커 자판기는 사용자가 스티커 자판기에 필요 금액을 입금한 후 조작부(22)를 조작하여 스티커 촬영을 요구하면,제어부(23)는 사용자의 조작부(22) 조작에 따라 카메라(21)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하고, 카메라(21)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23)를 통해 화상출력부(25)로 전송 출력되어 사용자가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화상출력부(25)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eposits a necessary amount into the sticker vending machine and requests the sticker photographing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22, the controller 23 controls the camera 2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peration unit 22. ) To capture the user's face, and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21 is transmitted to the image output unit 25 through the control unit 23 to output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21 It can be seen through the output unit 25.

화상출력부(25)를 통해 자신의 얼굴을 확인한 사용자가 조작부(22)를 조작하여 인화를 요구하면, 제어부(23)는 그 때 카메라(21)에 촬영된 영상을 인화부(24)로 전송하고, 인화부(24)는 공급되는 영상을 인화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배출하는 것이다.When a user who has identified his or her face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5 requests a print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22, the control unit 23 transmit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1 to the print unit 24 at that time. The print unit 24 prints the supplied image and discharges it as a sticker picture.

그러나, 종래의 포토 스티커 자판기는 단순히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배출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에게 점차 외면당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s only a function of simply photographing a user's face and discharging it as a sticker photo,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and for this reason, users are gradually ignored. There was this.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 장소에 산재해 있는 포토스티커 자판기에 화상채팅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이용하여 포토 스티커를 찍을 수 있음은 물론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이성과 화상 채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채팅시 깨끗한 화질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adding an image chat function to th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scattered in various places, the user can take a photo sticker using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as well as the desired reason and image over the Intern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 video chat function to enable chatting and to provide clean picture quality and audio when video chatting.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영상의 출력을 위한 화상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티커 자판기에 있어서,In the sticker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user's face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모드 또는 채팅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An operation unit for the user to select a photo sticker mode or a chat mode;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마이크와;A microphone for changing a user's development into an electrical signal;

마이크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출력부와;An audio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microphone;

채팅모드시 상대 채팅자의 육성을 공급받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와;A speaker that is supplied with the training of the opponent chat in the chat mode and outputs a sound;

채팅모드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대측 포토 스티커 자판기로 전송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상대 채팅자의 화상을 화상출력부로 전송하며, 상대 채팅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공급하는 통신부와;In the chat mode, the video recorded by the camera and the user's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are transmitted to th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far away from the Internet, and the image of the other chatter sent from the other party is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supplying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사용자의 채팅모드 설정시 인터넷에 접속된 채팅 가능한 상대자의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팅자를 선택하여 1:1 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채팅이 시작되면 사용자의 화상과 음성이 상대측 기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대 채팅자의 화상과 음성이 화상출력부와 스피커로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setting the user's chat mode, it provides the video of the chatable partner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1: 1 chat and chat with the u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and sound of the partner chat partner supplied from the partner side to be supplied to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speaker,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the image cha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c)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3 (a) to 3 (c) show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의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보인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카메라, 2: 화상 출력부,1: camera, 2: image output,

3: 조작부, 4: 마이크,3: control panel, 4: microphone,

5: 음성출력부, 6: 스피커,5: audio output, 6: speaker,

7: 통신부, 8: 제어부,7: communication unit, 8: control unit,

9: 인화부,9: printing department,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3.

도면부호 1 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2 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amera which photographs a user's face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and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n image output unit which outputs an input image signal.

도면부호 3 은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 모드 또는 채팅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를 나타내며, 이 조작부(3)의 조작신호는 제어부(8)로 공급된다.Reference numeral 3 denotes an operation unit for the user to select the photo sticker mode or the chat mode, and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3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8.

상기 제어부(8)는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모드를 선택할 경우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카메라(1)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이 화상출력부(2)를 통해 출력되고, 사용자의 스티커 인화요구가 있을 경우 카메라(1)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영상을 인화부(9)로 공급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인화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hoto sticker mode, the controller 8 outputs the user's fac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 as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and may request the user to print the sticker. In this case, the face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by the camera 1 is supplied to the printing unit 9 so as to be printed as a sticker picture.

또한, 상기 제어부(8)는 사용자가 채팅모드를 선택할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타장치(포토 스티커 자판기)와 교신하여 채팅을 기다리는 상대 채팅자의 얼굴들을 모아 화상출력부(2)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채팅 대기자들 중 원하는 상대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자를 선택할 경우 그 상대자가 사용하는 타장치(포토 스티커 자판기)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상대 채팅자와 화상채팅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chat mode, the control unit 8 connects to another devic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ollects the faces of the other chatters waiting for a chat, and outputs the image output unit 2. It outputs through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partner among the chat waiters.If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partner in this state, the user connects to the other devic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used by the partner and the user Each component is controlled to enable video chat.

도면부호 4 는 화상채팅시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이고, 도면부호 5 는 상기 마이크(4)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후설하는 통신부(7)로 공급하는 음성출력부(5)이다.Reference numeral 4 i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user's development into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video chat, and the reference numeral 5 is a voice output unit for supply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7 to amplify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4 (5).

도면부호 6 은 상대 채팅자의 음성신호를 공급받아 소리로서 출력하는 스피커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speaker that receives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s chatter and outputs it as sound.

상기 통신부(7)는 채팅모드시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4)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상대 채팅자가 사용하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로 전송하고, 또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상대 채팅자의 화상을 상기 화상출력부(2)로 전송하고, 상대채팅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6)로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communication unit 7 is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used by a partner chatting via the Internet to the user's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4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 in the chat mode. And the other party's image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to the image output unit 2, and to supply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to the speaker 6.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2 shows an overall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포토 스티커 자판기(G1∼Gn)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s G1 to Gn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상기 각각의 자판기(G1∼Gn)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자판기(G1∼Gn)에 구성되어 있는 통신부(7)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게 된다.Each of the vending machines G1 to Gn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and the communication units 7 configured to each of the vending machines G1 to G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어느 하나의 자판기에 사용자가 이용금액을 입력하여 채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자판기를 구성하는 통신부에 의해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자판기와 자동으로 연결되어 화상 채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a user selects a chat mode by inputting a usage amount on one of the vending machines, a video chat may be realized by being automatically connected to another vending machine connected to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by a communication unit constituting the vending machin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동작설명은 사용자가 제 1 자판기(G1)를 이용하고, 제 2 자판기(G2)를 이용하는 상대자와 채팅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chats with a partner who uses the first vending machine G1 and uses the second vending machine G2.

사용자가 제 1 자판기(G1)에 이용금액을 입력하면, 제어부(8)는 화상출력부(2)상에 도 3 의 (a)와 같이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 또는 '채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inputs a usage amount into the first vending machine G1, the controller 8 allows the user to select a 'photo sticker' or a 'chat' on the image output unit 2 as shown in FIG. do.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3)를 조작하여 채팅모드를 선택하면,제어부(8)는 통신부(7)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타 자판기(G2∼Gn)들을 검색하여 채팅을 원하는 상대 채팅자들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 채팅을 원하는 상대 채팅자들의 영상을 각각의 자판기(G2∼Gn)로부터 공급받아 도 3 의 (b)와 같이 출력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3 to select the chat mode, the control unit 8 searches the other vending machines G2 to Gn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the communication unit 7 to chat with each other. They are detected, and the detection results are provided with video of the counter chatters wishing to chat from each of the vending machines G2 to Gn and output as shown in FIG.

상기 도 3 의 (b)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 채팅자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화상출력부(2)의 화면에 채팅을 원하는 다수의 상대 채팅자의 영상이 배열되어 출력되어 있다.3B is a screen for selecting a counterpart chatter desired by the user, and images of a plurality of counterpart chatpers who want to chat are arranged and output on the screen of the image output unit 2.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를 조작하여 원하는 상대 채팅자를 선택하면, 제어부(8)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 채팅자가 사용하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G2)와 접속하여 사용자가 상대 채팅자와 채팅할 수 있도록 해준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3 to select a desired chat partner, the controller 8 connects to th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G2 used by the chat partner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at with the chat partner. Do it.

상기 제어부(8)의 제어동작에 의해 카메라(1)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영상과 마이크(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통신부(7)를 통해 상대 자판기(G2)로 전송되어 상대 채팅자에게 제공되고, 또 상대 채팅자의 영상과 음성신호는 화상출력부(2)와 스피커(6)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상대 채팅자의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음은 물론 상대 채팅자의 목소리를 정확하고 또렷하게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8, the face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by the camera 1 and the user's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4 ar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vending machine G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 to chat with the counterpart. And the video and audio signal of the other party's chatter are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2 and the speaker 6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other party's face image in real time, You can hear clearly.

상기 설명과 같은 일련의 제어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상대 채팅자의 화상과 목소리를 깨끗하고 선명하게 제공받으면서 채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the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at while being provided with clear and clear images and voices of the counterpart chat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장소에 산재해 있는 포토스티커 자판기에 화상채팅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이용하여 포토 스티커를 찍을 수 있음은 물론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이성과 화상 채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채팅시 깨끗한 화질과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image chat function to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s scattered in various places, so that a user can take a photo sticker using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as well as perform a video chat with a desired reason over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providing a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n image chat function to make it possible to provide a clear picture quality and sound when the image chat.

Claims (1)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1)와, 영상의 출력을 위한 화상출력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티커 자판기에 있어서,In the sticker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camera 1 for photographing a user's face and an image output unit 2 for outputting an image, 사용자가 포토 스티커모드 또는 채팅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3)와;An operation unit 3 for the user to select a photo sticker mode or a chat mode;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마이크(4)와;A microphone 4 for changing a user's development into an electrical signal; 마이크(4)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출력부(5)와;An audio output unit 5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icrophone 4; 채팅모드시 상대 채팅자의 육성을 공급받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6)와;A speaker 6 which is supplied with the fostering of the counterpart chatter in the chat mode and outputs a sound; 채팅모드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대측 포토 스티커 자판기로 전송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상대 채팅자의 화상을 화상출력부로 전송하며, 상대 채팅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공급하는 통신부(7)와;In the chat mode, the video recorded by the camera and the user's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are transmitted to the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far away from the Internet, and the image of the other chatter sent from the other party is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7 for supplying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사용자의 채팅모드 설정시 인터넷에 접속된 채팅 가능한 상대자의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팅자를 선택하여 1:1 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채팅이 시작되면 사용자의 화상과 음성이 상대측 기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대 채팅자의 화상과 음성이 화상출력부(2)와 스피커(6)로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채팅 기능을 갖는 포토 스티커 자판기.When setting the user's chat mode, it provides the video of the chatable partner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1: 1 chat and chat with the user. A control unit 8 for controlling the image and sound of the partner chatter supplied from the partner side to be supplied to the image output unit 2 and the speaker 6, respectively; Photo sticker vending machine having an image cha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000033328A 2000-06-16 2000-06-16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KR200101131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328A KR20010113179A (en) 2000-06-16 2000-06-16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328A KR20010113179A (en) 2000-06-16 2000-06-16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79A true KR20010113179A (en) 2001-12-28

Family

ID=1967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328A KR20010113179A (en) 2000-06-16 2000-06-16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3179A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144A (en) * 1992-11-06 1994-05-31 Brother Ind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8263729A (en) * 1995-03-20 1996-10-11 Seiko Instr Inc On-lin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960042471A (en) * 1995-05-15 1996-12-21 신동진 Vending machine with spring water sales function and voice video output function
JPH10188130A (en) * 1996-12-20 1998-07-21 Matsupu Japan Kk Information exchange box
KR19980082097A (en) * 1998-08-24 1998-11-25 고성욱 Photo vending machine with video signal transmission
KR19990004113U (en) * 1998-10-22 1999-01-25 김현배 Internet communic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using computer terminal, printer, and digital camera
KR20000037505A (en) * 2000-04-29 2000-07-05 이영진 system of auto marketing for drinkables
KR200197126Y1 (en) * 2000-04-25 2000-09-15 강동헌 Bilateral communication vending machine using wire/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144A (en) * 1992-11-06 1994-05-31 Brother Ind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8263729A (en) * 1995-03-20 1996-10-11 Seiko Instr Inc On-lin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960042471A (en) * 1995-05-15 1996-12-21 신동진 Vending machine with spring water sales function and voice video output function
JPH10188130A (en) * 1996-12-20 1998-07-21 Matsupu Japan Kk Information exchange box
KR19980082097A (en) * 1998-08-24 1998-11-25 고성욱 Photo vending machine with video signal transmission
KR19990004113U (en) * 1998-10-22 1999-01-25 김현배 Internet communic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using computer terminal, printer, and digital camera
KR200197126Y1 (en) * 2000-04-25 2000-09-15 강동헌 Bilateral communication vending machine using wire/wireless network
KR20000037505A (en) * 2000-04-29 2000-07-05 이영진 system of auto marketing for drinkab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9362B2 (en) Audio directionality control for a multi-display switched video conferencing system
JP2000270304A (en) Multispot video conference system
JP4858441B2 (en)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6219086B1 (en) Terminal apparatus
JP2009171176A (en) Reproduction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4361961A (en) Method for photographing with mobile terminal with camera
US5691713A (en) Communication apparatus allowing a receiver to recognize a generalized situation of a sender
KR20010113179A (en) Photo sticker automatic seller having image chatting function
JPWO2008105252A1 (en) Always-connected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444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08125760A (en) Information processor
JP2005197945A (en) Video conference system
EP0837588A2 (en) Teleconferencing system
JP3900598B2 (en) Video phone terminal
JP2698212B2 (en) Videophone equipment
US8774867B2 (en) Image display system,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6455125B2 (en) Image prin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23223585A1 (en) Conference management device,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4768578B2 (en) Video confere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video conference system
JPH0793228A (en)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6332968A (en) Video television device
JP2021048452A (en) Photographing system
JPH03183288A (en) Video conference equipment
KR200320740Y1 (en) Conference Broadcasting System With Web Camera
JPH1013802A (en)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