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751A -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751A
KR20010112751A KR1020000032943A KR20000032943A KR20010112751A KR 20010112751 A KR20010112751 A KR 20010112751A KR 1020000032943 A KR1020000032943 A KR 1020000032943A KR 20000032943 A KR20000032943 A KR 20000032943A KR 20010112751 A KR20010112751 A KR 2001011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ts
shift register
puncturing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96827B1 (en
Inventor
이연성
이훈복
Original Assignee
이훈복
쎄트리마이크로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복, 쎄트리마이크로시스템(주) filed Critical 이훈복
Priority to KR10-2000-003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827B1/en
Publication of KR2001011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61Parallelized implemen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A film (705) (carbon and/or diamond) for a field emitter device, which may be utilized within a computer display, is produced by a process utilizing etching of a substrate (701) and then depositing the film. The etching step creates nucleation sites on the substrate for the film deposition process. With this process patterning of the emitting film is avoided. A field emitter device can be manufactured with such a film. A metal film can also be deposited (702), patterned by photolithography (703) and etch (704) to prepare nucleation sites.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길쌈부호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rror correcting cod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olutional code processing apparatus widely used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예:위성 통신 시스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W-CDMA, B-WLL, IMT-2000)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s)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쌈부호는 통신시스템 등과 같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 등에서 전송되는 또는 기록되는 데이터에 발생된 오류를 복구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보통 1/2, 1/3, 1/4등과 같은 특정 부호화율(Code Rate: R)의 길쌈부호가 주로 사용된다.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olutional code processing apparatus widely used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e.g.,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digital cellular systems, W-CDMA, B-WLL, IMT-2000), and the like. In general, convolutional codes are used to recover from errors occurring in data transmitted or recorded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like. Usually, convolutional codes such as 1/2, 1/3, 1/4, etc. The convolutional code of Code Rate (R) is mainly used.

또한 길쌈 부호화 분야에서 천공기법(Puncturing Method)은 부호율이 R=1/n인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로부터 이보다 높은 부호율을 가지는 새로운 길쌈부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기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수신기에 있는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의 Decoding Complexity는 부호율의 증가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동일 Decoding Complexity로 높은 부호율을 전송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 High Rate Convolutional Code를 위하여 원래의 부호율이 R=k/n(k>1)인 길쌈부호를 사용하면 비터비 디코더의 Trellis 에서 각각의 State에 Merging 하고 Departing 하는 Branch의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Decoding Complexity를 줄이고자 부호율 R=1/n인 길쌈부호에 대하여 천공기법을 사용한다. 상기 천공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의 Decoding Complexity 는 상기 부호율 R=1/n인 길쌈부호의 Decoding Complexity 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field of convolutional coding, a puncturing method may be used to generate a new convolutional code having a higher code rate from a convolutional code having a code rate of R = 1 / n. The reason for using the puncturing technique is to transmit a high code rate with the same decoding complexity since the decoding complexity of the Viterbi decoder in the receiver increases exponentially with the increase of the code rate. In other words, for the high rate convolutional code, the convolutional code with the original code rate of R = k / n (k> 1) is used to exponentially calculate the number of branches merging and departing in each state in the Trellis of the Viterbi decoder. Will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decoding complexity, a puncturing technique is used for convolutional codes having a code rate of R = 1 / n. Decoding Complexity 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 puncturing technique is almost equal to the Decoding Complexity of the convolutional code having the code rate R = 1 / n.

도 1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종래의 길쌈 부호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volutional code device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병/직렬 변환기(Parallel-to-Serial Converter)(1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병렬 단위 데이터를 제1 클럭(160)에 대응하여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1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병렬 단위 데이터는 소스 코딩(Source Coding) 및 압축된 것이 될 수가 있다.The parallel-to-serial converter 110 converts parallel unit data input from the outside into ser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160 and outputs the serial unit data to the shift register 120. . In this case, the parallel unit data may be source coding and compressed.

쉬프트 레지스터(120)는 입력되는 제2 클럭(170)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되는 직렬 데이터를 비트 단위씩 쉬프트 시키며 부호화부(Encoder)(130)로 출력한다. 제2 클럭(170)은 상기 병렬 데이터 입력시에 사용되는 제1 클럭(160)으로부터 체배된 즉, 데이터 입력시에 사용되는 클럭보다 더 빠른 예를 들면 병렬 단위 데이터의 비트 배수 만큼 더 빠른 클럭이 될 수가 있다.The shift register 120 shifts the input serial data bit by bit in correspondence to the input second clock 170 and outputs the bit to the encoder 130. The second clock 170 is multiplied by the first clock 160 used for the parallel data input, that is, a clock that is faster than the clock used for the data input, for example, a number of bits of the parallel unit data is faster. Can be.

부호화부(130)는 쉬프트 레지스터(120)내의 셀들(도시하지 않음) 중에서 기설정된 셀들에 저장된 값들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값, 즉 길쌈 부호화된 데이터값을 천공부(Puncturing)(140)로 출력한다.The encoder 130 performs an exclusive OR operation on values stored in predetermined cells among cells (not shown) in the shift register 120, and puncturing the resultant value, that is, the convolutional coded data value. 140).

천공부(140)는 해당 펑처드 코드 레이트(Puncturing Code Rate)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길쌈 부호화된 데이터값들의 열에 대하여 천공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되는 번째의 값들을 천공한다. 이때, 상기 천공 알고리즘은 추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되며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되게 된다.The puncturing unit 140 punctures corresponding second values according to the puncturing algorithm with respect to the string of convolutional coded data values input according to the puncturing code rate. In this case, the puncturing algorithm is performed by additional hardware or software and is stored by a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한편,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최근에는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가 대두되고 있다. 병렬 길쌈 부호화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면 하기와 같다.On the other hand,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es have recently emerged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The basic concept of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즉, 입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비트 단위로 쉬프트 레지스터에 입력시켜 단일의 길쌈 부호화부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병렬 길쌈 부호화란 상기 병렬 단위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병렬 처리를 위해 복수개의 부호화부들을 쉬프트 레지스터에서 쉬프트된 상태의 해당 셀들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미리 쉬프트되어 연결된 다수의 부호화부들이 병렬 단위 비트 데이터들을 각각 입력받아 동시에 병렬로 길쌈 부호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instead of inputting the parallel data input to the shift register in serial bit units and processing by a single convolutional encoder,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shifts a plurality of encoders for parallel processing on the input data of the parallel unit. A plurality of encoders, which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ells in the shifted state in the register, and receive the parallel unit bit data, respectively, perform the convolutional encoding process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도 2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 2는 구속장이 3(K=3)이고 부호화율이 1/2(R=1/2)이며 부호화부가 2개인 경우로 가정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2 is assumed to have a constraint length of 3 (K = 3), an encoding rate of 1/2 (R = 1/2), and two encoding units.

쉬프트 레지스터(200)는 제1 쉬프트 레지스터(210)와 제2 쉬프트 레지스터(220)로 구분될 수가 있다. 제1 부호화부(230a, 230b)는 해당 생성 다항식에 의하여 와이어링되어 즉, 제1 쉬프트 레지스터(210)의 해당 셀들에 저장된 값들에 대하여 길쌈 부호화를 수행한다. 제2 부호화부(240a, 240b)는 상기 제1 쉬프트 레지스터(210)에 저장된 값들에 비하여 한 비트씩 쉬프트된 상태의 값들 즉, 제2 쉬프트 레지스터(220)에 저장된 값들에 대하여 길쌈 부호화를 수행한다.The shift register 2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hift register 210 and a second shift register 220. The first encoders 230a and 230b are wired by the corresponding polynomial, that is, convolutional encoding is performed on values stored in corresponding cells of the first shift register 210. The second encoders 240a and 240b perform convolutional encoding on values stored in the second shift register 220, that is, shifted bit by bit, compared to values stored in the first shift register 210. .

도 3은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바이트 단위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되며 부호화율이 1/2(R=1/2) 그리고 천공된 부호화율(Punctured Code Rate)이 8/9(k/n)인 경우로 가정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In FIG. 3, it is assumed that parallel data in bytes is input, and a coding rate is 1/2 (R = 1/2) and a punctured code rate is 8/9 (k / n).

참조부호 311은 이전 단계에서 입력되어 길쌈 부호화 처리가 되었으며, 현재 단계에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이다.Reference numeral 311 denotes a convolutional encoding process that was input in the previous step and i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encoded data in the current step.

부호화부(315) 내지 부호화부(329)는 해당 생성 다항식에 의해 병렬 단위(8 비트)의 모든 입력 데이터들(313)(~)에 대하여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율(1/2)에 따라 총 16개의 부호화 데이터들(331)(~~)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부호화 데이터들(331)은 병렬 레지스터 등과 같은 일정한 저장부에 의해 일시 저장될 수가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부호화부들의 각각은 부호화율(1/2)에 따라 두 개의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두 개의 구성 블록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각 블록은 생성 다항식에 따라 대응되는 XOR 게이트들로 구성된다.The encoding unit 315 to encoding unit 329 are all input data 313 in parallel units (8 bits) by the corresponding polynomial. To Convolutional coding is performed on the coded information, and a total of 16 encoded data 331 ( To And To ) In this case, the encoded data 331 may be temporarily stored by a constant storage unit such as a parallel register. At this time, each of the encoders is composed of two building blocks for generating two code data according to the coding rate (1/2), and each block is composed of corresponding XOR gate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polynomial.

천공부(333)는 상기 16개의 부호화 데이터들(331)에 대하여 기지정된 천공 로직에 따라 천공 동작을 수행하고 인터리버(Interleaver)(도시하지 않음.) 또는 FIFO(선입선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등으로 출력한다.The puncturing unit 333 performs a puncturing operation on the 16 encoded data 331 according to predetermined puncturing logic, and interleaver (not shown) or FIFO (first in, first out) memory (not shown). )

도 4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종래의 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uncturing operation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3.

도 4a는 상기 도 3에서 천공부(333)의 천공 로직 테이블(411)의 일 예를 도시하며, 상기 도 4b는 천공부(333)의 천공 동작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로직 테이블(411)은 부호화율(R)이 1/2이며, 천공된 부호화율이 8/9(k/n) 인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n은 천공된 출력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개수를 의미하며, 상기 k는 상기 n개의 천공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수를의미한다. 따라서, 부호화율(R)이 1/2이고, k/n가 8/9인 경우에, 천공 테이블은 16 비트(k x 1/R)로 구성되고, 16비트 코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9개의 천공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또한, k가 8인 경우에 천공 테이블은 16 비트(k x 1/R)의 코드 데이터 단위로 천공 동작을 수행하고, k가 7인 경우는 14 비트(k x 1/R) 코드 데이터 단위로 천공 동작을 수행한다.4A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drilling logic table 411 of the drilling unit 333 in FIG. 3, and FIG. 4B illustrates the drilling operation of the drilling unit 333. As shown, the puncturing logic table 411 is a case where the code rate R is 1/2 and the punctured code rate is 8/9 (k / n). Here, n denotes the number of bits of the punctured output coded data, and k denotes the number of data bits required to generate the n punctured coded data. Therefore, when the code rate R is 1/2 and k / n is 8/9, the puncturing table is composed of 16 bits (kx 1 / R) and receives 9 punctured bits by receiving 16-bit code data. Generate encoded data. In addition, when k is 8, the puncturing table performs puncturing in units of 16-bit (kx 1 / R) code data, and when k is 7, puncturing is performed in units of 14-bit (kx 1 / R) code data. Do this.

상기 도 3의 16개의 부호화 데이터들(331)(~~) 각각은 천공 로직 테이블(411)의 로직에 의해 천공 또는 출력이 결정된다. 여기서 천공 로직 테이블의 "0"의 의미는 해당되는 부호화 데이터가 천공되어 천공부(333)로부터 출력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상기 천공 로직 테이블의 "1"의 의미는 해당되는 부호화 데이터가 천공부(333)로부터 출력됨을 의미한다. 도 4b는 상기 도 3의 천공부(433)가 16개의 부호화 데이터들(331)(~~)에 대하여 해당 천공 로직에 따라 천공 동작을 수행하여 총 9개의 천공된 부호화 데이터가 출력하는 동작을 보여준다.16 encoded data 331 of FIG. To And To In each case, puncturing or output is determined by logic of the puncturing logic table 411. Here, the meaning of “0” of the puncturing logic table means that corresponding encoded data is punctured and is not output from the puncturing unit 333. 333). In FIG. 4B, the puncturing portion 433 of FIG. 3 uses 16 encoded data 331 ( To And To ) Shows the operation of outputting a total of 9 punctured encoded data by performing puncturing according to the puncturing logic.

상기 도 4a 및 도 4b의 설명에서 볼 때,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는 부호율이 1/2이고 입력 데이터가 바이트 단위로 입력되며 천공된 출력 부호화율이 8/9 인 경우에는 상기 도 4b와 같이 길쌈 부호화된 데이터들에 대하여 간단한 연결 구성만으로 천공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천공 동작은 i 번째 뿐만 아니라 (i-1) 번째 및 (i+1) 번째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된다.4A and 4B, when the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of th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has a code rate of 1/2, input data is input in bytes, and a punctured output code rate is 8/9.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punctu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convolutional coded data using only a simple connection configuration. The punctu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i-1) th and (i + 1) th as well as the i th.

그러나 예를 들어, 천공된 출력 부호화율이 7/8인 경우에는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를 구성하는 기능 블록을 사용하여 간단한 연결 구성만으로 천공 동작을 수행하는 천공부를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However, for example, when the punctured output coding rate is 7/8,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a puncturing unit that performs puncturing operation using only a simple connection configuration using a functional block constituting a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왜냐하면, 부호화율이 1/2이고, 천공된 출력 부호화율이 7/8 이기 때문에 간단한 연결 구성으로 천공부를 구성하기 위해서 부호화 데이터들은 14 비트 단위로 천공 테이블에 입력되어야 하는데, 16 비트의 부호화 데이터가 병렬 길쌈 부호기로부터 생성되기 때문에 출력 코드 데이터의 각 비트와 천공 테이블의 각 비트에 대한 연결은 천공 동작 처리가 이루어지는 매 단계마다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c에서처럼 현재 단계 코드 데이터는 천공 테이블에 각각 연결되고,은 천공 데이블에 연결된다면, 다음 단계의 천공 동작에서는는 천공 데이블에 각각 연결되고,은 천공 데이블에 연결되어야 한다.Because the code rate is 1/2 and the punctured output code rate is 7/8, the coded data should be input to the puncture table in units of 14 bits in order to construct a puncturing part with a simple connection configuration. Is generated from the parallel convolutional coder, the concatenation of each bit of the output code data and each bit of the puncture table is changed at every step of puncture operation processing. For example, current step code data as in FIG. 4C. And Perforated table And Connected to each, And Silver perforated table And If connected to the next step, And Perforated devil And Connected to each, And Silver perforated table And Should be connected to

따라서,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는 소정 단위의 입력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여 병렬 길쌈부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단위와 부호화율과 천공된 부호화율에 따라 결정되는 천공 테이블의 데이타 비트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간단한 연결 구성으로 천공 동작을 수행할 수가 없고, 이로 인하여 복잡한 하드 와이어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천공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of th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performs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using all input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a perforation tabl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unit outputted from the encoder and the encoding rate and the punched encoding rate. If the number of data bits is different, the puncturing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by the simple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thus, the punctur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by a complicated hard wiring or software.

또한,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는 소정 단위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될 때 입력 데이터 전체를 부호화 하지 않고, 천공된 출력 부호화율(k/n)에 따라 입력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인 k 비트만을 부호화한다면, 입력 데이터 비트수가 부호화된 코드 데이터의 비트수 보다 적기 때문에 상기의 복잡한 하드 와이어링으로 천공부를 구성하는 것 보다 더 적고 간단한 하드웨어를 추가하여, 간단한 연결 구성만으로 천공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부호화 되지 않은 비트들에 대하여 관리해주는 구성이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에는 그러한 구성이 없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of th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does not encode the entire input data when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is input, and k bits which are some data of the input data according to the punched output coding rate (k / n). If only encoding is performed, the number of bits of the input data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bits of the coded code data. Therefore, the punctur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with only a simple connection configuration by adding less and simple hardware than constructing the drilling portion by the above complicated hard wiring. have. However, in this case, there should be a configuration that manages unencoded bits, but there is no such configuration in a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따라서,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천공 과정을 수행할 때, 다양한 천공된 부호화율을 지원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두가지 사유로 인하여 천공부를 복잡한 하드 와이어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refore, when performing a puncturing process using a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there are inconveniences in that the hardening part has to be complicatedly hard-wired or software-processed due to the above two reasons in order to support various punctured code rates.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k 보다 큰 다양한 병렬 단위의 데이터가 입력될 때, 천공된 부호화율(k/n)에 따라 한번에 병렬 길쌈 부호화 처리시에 사용되는 데이터 비트 수를 k 비트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호화 로직과 천공 로직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가 있는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of various parallel units larger than k is input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the number of data bits used in the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process at once according to the punctured coding rate (k / n) to k bi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that can be adjusted so that coding logic and puncturing logic can be easily configu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k 보다 큰 다양한 병렬 단위의 데이터의 길이와 다양한 부호화 출력 데이터의 길이에 대해 간단한 연결 구성으로 부호화 동작 및 천공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는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n encoding operation and a puncturing operation with a simple connection configuration for the length of data of various parallel units larger than k input from a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the length of various encoded output data.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k 보다 큰 다양한 병렬 단위의 데이터의 길이와 다양한 부호화 출력 데이터의 길이에 대해 상기 입력 데이터들 중에서 현재 단계에서 처리되지 않는 비트들을 관리하여, 간단한 연결 구성으로 부호화 동작 및 천공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는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nage the bits that are not processed at the present stage among the input data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data in various parallel units larger than k input in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the length of various encoded output dat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n encoding operation and a puncturing operation.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가,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개수(n)만큼의 부호화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부들이 해당 천공 로직과 상기 생성 다항식에 의해 쉬프트 레지스터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대하여 부호화 및 천공 동작을 동시에 병렬로 수행하는 부호화 및 천공부와, 상기 n개의 출력 부호화 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k)와 구속장(K)의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비트 셀 개수를 가지며 현재 부호화 및 천공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k 보다 큰 다양한 병렬 단위의 데이터들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각 비트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상기 구속장 길이의 비트(K 비트)씩 쉬프트하고 해당되는 저장 데이터들을 상기 부호화 및 천공부로 출력하며 부호화 및 천공 동작의 이전 단계들에서 사용되지 않은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을 저장하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와, k 보다 큰 다양한 병렬 단위 데이터들을 입력하여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 출력하며, 상기 부호화 및 천공 단계들마다 발생하며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k비트 개수가 되면 이를 감지하고 한 클럭 동안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가 상기 k 비트의 미처리 입력 데이터들을 K 비트 쉬프트 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정렬부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encod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utput encoded data bits (n), wherein the encoding units include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uncturing logic and the generation polynomial. An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encoding and puncturing operations on the input data in parallel, and the number of data bits (k) and the length of the constraint field (K) required to generate the n output encoded data. Whenever data of various parallel units larger than k is input from the outside in the current encoding and puncturing step, the data stored in each of the bit cells is bit by bit (K bits) of the constraint length. Shift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stored data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The shift register for storing raw input data bits not used in the previous steps of empty operation, and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parallel unit data larger than k to the shift register, occurring in each of the encoding and puncturing steps, and shifting the shift Data alignment that senses when the number of raw input data bits stored in the register reaches the number of k bits and does not input data for one clock so that the shift register can shift and output K bits of raw input data by K bits. At least inclusive.

도 1은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종래의 길쌈 부호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volutional code device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도 2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도 3은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도 4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종래의 천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uncturing operation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도 5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는 바이트 단위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되며 부호화율이 1/2(R), 천공된 부호화율이 7/8(k/n) 그리고 구속장이 7(K)인 경우로 가정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In FIG. 5, it is assumed that parallel data in bytes is input, and a coding rate is 1/2 (R), a punctured code rate is 7/8 (k / n), and a constraint length is 7 (K).

쉬프트 레지스터(5)의 길이는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에 따라 가변될 수가 있다. 즉, 쉬프트 레지스터(5)는 n개의 천공된 출력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k)와 구속장(K)의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셀 개수를 가진다. 상기 비트 셀 개수는 하기 <수학식 1>로 계산되어 질 수가 있다.The length of the shift register 5 can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hift register 5 has the number of cell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nstrained length K and the number of data bits k required to generate n punctured output encoded data. The number of bit cells can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쉬프트 레지스터의 비트 셀 개수=K+(K-1)+KNumber of bit cells in shift register = K + (K-1) + K

여기서 상기 k는 출력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이며, 상기 K는 병렬 길쌈 부호화기의 구속장이다.Where k is the number of data bits needed to generate output coded data, and K is the constraint length of the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쉬프트 레지스터(5)의 제0 비트 셀부터 제12 비트 셀까지의 구성은 7의 구속장을 가지는 쉬프트 레지스터가 7개로 이루어진다고 말 할 수가 있다. 이때, 제0 비트 셀부터 제6 비트 셀까지를 제1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으며, 제1 비트 셀부터 제7 비트 셀까지를 제2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으며, 제2 비트 셀부터 제8 비트 셀까지를 제3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으며, 제3 비트 셀부터 제9 비트 셀까지를 제4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으며, 제4 비트 셀부터 제10 비트 셀까지를 제5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으며, 제5 비트 셀부터 제11 비트 셀까지를 제6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으며, 제6 비트 셀부터 제12 비트 셀까지를 제7 쉬프트 레지스터라 할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제2 쉬프트 레지스터 내지 제7 쉬프트 레지스터는 각각 상기 제1 쉬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들에 비하여 순차적으로 해당 비트씩 쉬프트된 상태의 값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쉬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제1 쉬프트 레지스터에 비하여 2비트 쉬프트된 상태의 값들을 저장한다.The configuration from the 0th bit cell to the 12th bit cell of the shift register 5 can be said to be composed of seven shift registers having a seventh constraint. In this case, the first bit register to the sixth bit cell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hift register, and the first bit register to the seventh bit cell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hift register. Up to the cell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shift register, and from the third bit cell to the ninth bit cell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shift register, and from the fourth bit cell to the tenth bit cell may be referred to as a fifth shift register. The fifth to 11th bit cells may be referred to as a sixth shift register, and the sixth to 12th bit cells may be referred to as a seventh shift register. Among them, the second to seventh shift registers respectively store values shifted by corresponding bits sequentially compared to values stored in the first shift register. For example, the third shift register stores values of a 2-bit shifted state compared to the first shift register.

쉬프트 레지스터(5)의 제13 비트 셀부터 제19 비트 셀까지의 구성은 후술되는 부호화 및 천공 동작에서 사용되지 않은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figuration from the thirteenth bit cell to the nineteenth bit cell of the shift register 5 performs an operation of storing raw input data bits that are not used in the encoding and puncturing operations described below.

그리고 쉬프트 레지스터(5)는 현재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데이터(입력데이터Din[7:0])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각 비트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상기 구속장 길이의 비트씩(K=7비트) 쉬프트 하고, 상기 제0 비트 셀부터 제12 비트 셀까지의 저장된 값들을 부호화 및 천공부(6)로 출력한다.The shift register 5 shifts the data stored in the respective bit cells by the bit length (K = 7 bits) each time data (input data Din [7: 0]) is input from the outside in the current step. The stored values from the 0th bit cell to the 12th bit cell are output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부호화 및 천공부(6)는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개수(n=8) 만큼의 부호화부들을 포함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부호화부들은 천공 로직에 의해 쉬프트 레지스터(5)의 해당 비트 셀들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도 5와 같이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개수 만큼만이 존재하게 되며, 각각의 부호화부들은 단일의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 Gate)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부연하면 종래의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에 구비되는 부호화 동작과 천공 동작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부호화부들은 두 개의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들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쉬프트 레지스터(5)의 해당 비트 셀들로부터의 출력이 천공 알고리즘에 의한 것이라고 하면, 어떤 셀에 저장된 값에 대하여 길쌈 부호화를 수행하는 2 개의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들이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천공 로직에 따라,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는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를 천공되지 않는 셀들 출력에 대해서만 연결 및 배치한다. 그리고 부호화 및 천공부(6)에 구비되는 상기 부호화부들이 해당 천공 로직 및 해당 생성 다항식에 의해 쉬프트 레지스터(5)의 해당 셀들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부호화 및 천공 동작을 동시에 병렬로 수행한다.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may include as many encoding units as the number of output encoded data bits (n = 8). However, since the encoders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it cells of the shift register 5 by puncturing logic, only the number of output coded data bits exists as shown in FIG. 5, and each encoder has a single exclusive OR gate (XOR). Gate). In other words, since the encoding operation and the puncturing operation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are separated, each encoder should be composed of two exclusive OR gates. However, if the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bit cells of the shift register 5 is by a puncturing algorithm, then there are no need for two exclusive OR gates that perform convolutional coding on the value stored in a cel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clusive OR gate performing an encoding operation is connected and arranged only with respect to outputs of cells that are not punctured according to puncturing logic. The encoding units provided in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cells of the shift register 5 by the corresponding puncturing logic and the corresponding polynomial to simultaneously perform parallel encoding and puncturing operations on the input data. do.

데이터 정렬부(2)는 바이트 단위로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수와 상기 n개의 출력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k)가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상기 부호화 및 천공 동작의 단계마다 발생하는 상기 미처리 데이터 비트들을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data aligning unit 2 generates the data generated by each encoding and puncturing operation because the number of data bits input in bytes and the number of data bits k required to generate the n output encoded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erforms an operation to manage raw data bits.

데이터 정렬부(2)는 부호화 및 천공 단계들마다 발생하며 쉬프트 레지스터(5)의 해당 셀들에 저장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k 비트 개수가 되면 이를 감지한다. 그러면 데이터 정렬부(2)는 한 클럭 동안 데이터 (Din[7:0])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k 비트의 미처리 입력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도록 쉬프트 레지스터(5)내에서 쉬프트(K 비트)를 시킨다.The data aligning unit 2 detects when the number of k bits of the raw input data bits generated in the encoding and puncturing steps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ells of the shift register 5 becomes the number of k bits. The data alignment unit 2 then does not input data Din [7: 0] for one clock, and shifts the shift (K bits) in the shift register 5 so that the k bits of raw input data can be processed. Let's do it.

한편, 데이터 정렬부(2)는 데이터 선택부(4)와 배럴 쉬프터(1) 및 카운터(3)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데이터 정렬부(2)에 구비되는 데이터 선택부(4)는 상기 데이터 비트수(k) 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배럴 쉬프터(1)에 의해 쉬프트 레지스터(5)에 저장되어 있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수 만큼 쉬프트된 입력 데이터(Din[7:0])와 쉬프트 레지스터(5)내(제13 비트 셀부터 제19 비트 셀까지)에 저장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각 비트들을 입력받아 두 입력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한 데이터 비트를 쉬프트 레지스터(5)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alignment unit 2 may be composed of the data selection unit 4, the barrel shifter 1 and the counter (3). The data selector 4 provided in the data alignment unit 2 has a length equal to the number of data bits k, and the number of raw input data bits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5 by the barrel shifter 1. The input data (Din [7: 0]) shifted by as much as the raw data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5 (from the thirteenth bit cell to the nineteenth bit cell), and each bit is selectively received. The data bit is output to the shift register 5.

데이터 선택부(4)는 카운터(3)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처리 단계마다 발생하여 쉬프트 레지스터(5)내(제13 비트 셀부터 제19 비트 셀까지)에 저장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의 비트 개수를 감지할 수가 있다.The data selector 4 is generated for each processing step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unter 3 and is the number of bits of raw input data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5 (from the thirteenth bit cell to the nineteenth bit cell). Can be detected.

상기 데이터 선택부(4)의 기능 및 동작을 예를 들어 부연 설명하기 위해 쉬프트 레지스터(5)의 제13 비트와 제14 비트에 전 단계에 입력되어 미처리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배럴 쉬프터(1)는 입력 데이터(Din[7:0])를 카운터(3)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처리 데이터 비트 수(2 비트)만큼 쉬프트시켜 데이터 선택부(4)의 Ain[6:0]에 입력시킨다. 즉, 상기 Ain[6:0] 중 입력 데이터 Din[7]부터 Din[3]은 각각 상기 Ain[2]부터 Ain[6]으로 입력되고, Din[2]부터 Din[0]은 쉬프트 레지스터(5)의 제13 셀부터 제15 셀에 입력된다. 쉬프트 레지스터(5)는 미처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3 셀부터 제19 셀까지의 저장값을 각각 데이터 선택부(4)의 Bin[0]부터 Bin[6]에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가정에 따라 제13 셀과 제14 셀에 저장된 미처리 데이터가 각각 Bin[0]과 Bin[1]에 입력되고, Din[7]부터 Din[3]이 각각 Ain[2]부터 Ain[6]에 입력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선택부(4)는 상기 카운터(3)의 제어신호에 따라 Bin[0], Bin[1]과 Ain[2]부터 Ain[6]까지를 선택적으로 출력시켜 쉬프트 레지스터(5)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4)는 두 입력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비트 단위로 출력시킴으로서 입력 데이터(Din[7:0])와 미처리 데이터가 쉬프트 레지스터(5)의 동일한 위치에 겹쳐서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To further explain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ata selector 4,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nprocessed data stored in the thirteenth bit and the fourteenth bit of the shift register 5 in the previous step is stored. The barrel shifter 1 shifts the input data Din [7: 0] by the number of unprocessed data bits (2 bit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unter 3 so that Ain [6: 0] of the data selector 4 is shifted. To enter. That is, among the Ain [6: 0], input data Din [7] to Din [3] are respectively inputted from Ain [2] to Ain [6], and Din [2] to Din [0] are shift registers ( Input from the thirteenth cell to the fifteenth cell of 5). The shift register 5 inputs the stored values from the thirteenth cell to the nineteenth cell in which the raw data are stored, into the bin [0] to the bin [6] of the data selector 4,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raw data stored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lls are input to Bin [0] and Bin [1] according to the above assumption, and Din [7] to Din [3] are respectively Ain [2] to Ain [ 6]. The data selector 4 selectively outputs Bin [0], Bin [1] and Ain [2] to Ain [6]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unter 3, and inputs them to the shift register 5. . Accordingly, the data selector 4 selectively outputs the two input data in bit units so that the input data Din [7: 0] and the raw data are not stored at the same position of the shift register 5 at the same time.

카운터(3)는 쉬프트 레지스터(5)에 저장되며 상기 부호화 및 길쌈 부호 동작마다 발생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이에 의한 카운트 제어신호를 데이터 선택부(4) 및 배럴 쉬프터(213)로 출력한다.The counter 3 is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5 and counts the number of raw input data bits generated for each encoding and convolutional code operation, and the count control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data selector 4 and the barrel shifter 213. Will output

배럴 쉬프터(1)는 8비트(입력 데이터 단위) 길이의 입력단자와 입력 데이터를 (k-1)비트까지 쉬프트시켜 출력시킬 수 있는 14비트(입력 데이터 단위 + k - 1) 길이의 출력단자 그리고 입력 데이터를 쉬프트시킬 비트 수를 나타내는 제어단자를 가진다. 상기 카운트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Din[7:0])를 미처리 데이터 비트수 만큼 쉬프트 시켜서 데이터 선택부(4) 및 쉬프트 레지스터(221)의 해당 셀들(제 13비트 셀부터 제 19셀 비트 셀까지)로 출력한다.The barrel shifter 1 has an input terminal of 8 bits (input data unit), an output terminal of 14 bits (input data unit + k-1) which can shift and output the input data to (k-1) bits, and It has a control terminal indicating the number of bits to shift the input data. By shifting the input data [Din [7: 0]) by the number of unprocessed data bits according to the count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cells (13 th bit to 19 th cell bits) of the data selector 4 and the shift register 221 are shifted. Output to cell).

이하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에 대한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제1 단계에서 바이트 단위의 입력 데이터는 쉬프트 레지스터(5)내의 제6 비트 셀부터 제13비트 셀까지에 저장된다. 제13 비트 셀을 제외한 상기 비트 셀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들은 제0 비트 셀부터 제5 비트 셀까지 초기값으로 저장된 값들과 함께 부호화 및 천공부(6)로 입력되어 병렬적으로 길쌈 부호화 및 천공된다. 제2 단계에서 새로운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가 입력될 때, 쉬프트 레지스터(5)는 제1 단계에서 저장된 값들을 K 비트 쉬프트 시킨다. 이때, 제13 비트 셀에 저장된 값은 데이터 선택부(4)를 경유하여 제6 비트 셀로 쉬프트된다. 그리고 제2 단계 입력 데이터들은 배럴 쉬프터(1)와 데이터 선택부(4)를 경유하여 제7 비트 셀부터 제13비트 셀까지에 저장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제1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제13 비트 셀 저장값(1 단계에서 미처리된 입력 데이터)은 제 2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입력순서로 부호화 및 천공부(6)에 입력된다.In the first step, input data in byte units is stored from the sixth bit cell to the thirteenth bit cell in the shift register 5. The input data stored in the bit cell except the thirteenth bit cell are input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together with the values stored as initial values from the 0th bit cell to the fifth bit cell, and convolutionally encoded and punctured in parallel. When new byte data is input in the second stage, the shift register 5 shifts the values stored in the first stage by K bits. At this time, the value stored in the thirteenth bit cell is shifted to the sixth bit cell via the data selector 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ond stage input data is stored in the seventh to thirteenth bit cells via the barrel shifter 1 and the data selector 4. That is, the thirteenth bit cell stored value (input data unprocessed in the first stage) input in the first stage is input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together with the data input in the second stage in the data input order.

배럴 쉬프터(1)는 상기와 같이 제1 단계에서 제13 비트 셀에 저장되어 부호화 및 천공부(6)에 의해 미처리되었으며, 제2 단계에서 K 비트 쉬프트되어 제6 비트 셀에 저장된 제1 단계 미처리 데이터와 제2 단계 입력 데이터가 겹쳐 저장되지 않도록, 카운터 제어신호(전 단계 입력 데이터 중 미처리 데이터의 비트수를 카운트한 값)에 의해 상기 제2 단계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1 비트(제 1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중 미처리 데이터 비트수는 1 비트임) 쉬프트 시켜서 출력한다. 상기데이터들은 쉬프트 레지스터(5) 내의 제7 비트 셀부터 제14 비트 셀까지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0 비트 셀부터 제6 비트 셀에는 제 1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고, 제7 비트 셀부터 제14비트 셀까지는 제2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제 0 비트 셀부터 제 12비트 셀에 저장된 값들은 부호화 및 천공부(6)로 입력되어 병렬적으로 길쌈 부호화 및 천공된다. 이때, 제2 단계에서 입력되어 미처리된 데이터 비트수는 제13 비트 셀부터 제14 비트 셀까지 2비트가 된다.The barrel shifter 1 is stored in the thirteenth bit cell in the first step as described above and unprocessed by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and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is k-bit shifted and stored in the sixth bit cell. In order to prevent the data and the second stage input data from being overlapped, the data input in the second stage is converted into one bit by the counter control signal (the value of the number of bits of the raw data among the previous stage input data). The number of unprocessed data bits in the input data is 1 bit) and outputs it by shifting. The data are stored in the seventh bit cell to the fourteenth bit cell in the shift register 5. Therefore, the data input in the first step is stored in the 0th bit cell to the sixth bit cell, and the data input in the second step is stored in the 7th bit cell to the 14th bit cell. Values stored in the twelfth bit cell are input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and convolutionally encoded and punctured in parallel. At this time, the number of unprocessed data bits input in the second step becomes two bits from the thirteenth bit cell to the fourteenth bit cell.

제3 단계에서도 상기 제2 단계에서 처럼 제2 단계 미처리 데이터(제13, 제14 셀 저장값)는 각각 데이터 선택부(4)를 경유하여 K 비트 쉬프트되어 제6 셀, 제7 셀에 저장되고, 제3 단계 입력 데이터는 배럴 쉬프터(1)와 데이터 선택부(4)를 경유하여 제8 비트 셀부터 제15비트 셀까지에 저장된다. 제0 셀부터 제12 셀에 저장된 값은 상기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에서 처럼 부호화 및 천공부(6)에 입력되어 병렬적으로 길쌈 부호화 및 천공된다. 이때, 제 3단계에서 입력되어 미처리된 데이터 비트수는 제13비트 셀부터 제15비트 셀까지 3비트가 된다. 따라서, 미처리 데이터 비트수는 제1 단계에서는 1비트(제13 비트 셀), 제 2단계에서는 2비트(제13 비트 셀부터 제14 비트셀), 제 3단계에서는 3비트(제13 비트 셀부터 제15 비트 셀)로 매 단계마다 1비트씩 누적되어 저장된다.In the third stage, as in the second stage, the second stage raw data (13th and 14th cell storage values) are respectively shifted by K bits via the data selector 4 and stored in the sixth and seventh cells. The third stage input data is stored from the eighth bit cell to the fifteenth bit cell via the barrel shifter 1 and the data selector 4. Values stored in cells 0 to 12 are input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6 as in the first or second stages, and convolutionally encoded and punctured in parallel. At this time, the number of unprocessed data bits input in the third step becomes three bits from the thirteenth bit cell to the fifteenth bit cell. Therefore, the number of unprocessed data bits is 1 bit (13th bit cell) in the first step, 2 bits (13th bit cell to 14th bit cell) in the second step, and 3 bits (13th bit cell from the third step). 15 bit cells) and accumulates one bit at every step.

이런 식으로 제7 단계에서는 제13 비트 셀부터 제19 비트 셀까지(총 k비트) 미처리 입력 데이터값들이 저장되고, 제8 단계에서는 클럭 발생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클럭이 발생되지 않아서, 한 클럭 동안 데이터(Din[7:0])가 입력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미처리 입력 데이터들은 K 비트 쉬프트 되어 제6 비트 셀부터제12 비트셀에 저장되고, 길쌈 부호 및 천공이 수행된다. 제9 단계부터는 상기 제1 단계부터 다시 반복하여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In this way, in the seventh step, raw input data values are stored from the thirteenth bit cell to the nineteenth bit cell (k bits in total), and in the eighth step, a clock from a clock generator (not shown) is not generated. Data (Din [7: 0]) is not input during the clock. In this case, the raw input data are shifted by K bits and stored in the sixth bit cell to the twelfth bit cell, and convolutional code and puncturing are performed. From the ninth step,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gain by repeating the first step.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입력 데이터 단위가 8비트, 부호화율이 1/2, 천공된 부호화율이 7/8, 구속장이 7인 경우에 적용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입력 데이터 단위가 바이트 단위가 아닌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된 데이터의 해당 비트수의 개수보다 더 큰 길이의 데이터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applied when the input data unit is 8 bits, the code rate is 1/2, the punctured code rate is 7/8, the constraint length is 7, bu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data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rresponding bits of the input data for generating encoded data in which the input data unit is not byte uni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k 보다 큰 소정 단위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되고, 천공된 부호화율이 k/n 일 때, 데이터가 입력될 때 마다 발생하는 병렬 길쌈 부호화 과정시 사용되는 데이터 비트 수를 k 비트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한번에 n개의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수를 생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호화 로직과 천공 로직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larger than k is input, and when the punctured coding rate is k / n, parallel is generated whenever data is input. By allowing the number of data bits used in the convolutional encoding process to be adjusted to k bits, it is possible to generate n number of output encoded data bits at a tim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encoding logic and the puncturing logic can be easily configured.

Claims (5)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In the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개수(n) 만큼의 부호화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부들이 해당 천공 로직과 상기 해당 생성 다항식에 의해 쉬프트 레지스터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대하여 부호화 및 천공 동작을 동시에 병렬로 수행하는 부호화 및 천공부와,And a plurality of encod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utput encoded data bits (n), and the encoders are connected to the shift register by corresponding puncturing logic and the corresponding polynomial to perform encoding and puncturing operations on input data in parallel. Coding and punching section, 상기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개수(n)의 출력 부호화 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k)와 구속장(K)의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비트 셀 개수를 가지며 각 부호화 및 천공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k보다 큰 소정 단위의 병렬 데이터들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각 비트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상기 구속장 길이의 비트씩 쉬프트 하고 해당되는 저장 데이터들을 상기 부호화 및 천공부로 출력하며 부호화 및 천공 동작의 이전 단계들에서 사용되지 않은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을 해당 비트 셀들에 저장하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와,The number of bit cel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ata bits (k) and the length of the constraint field (K)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output coded data of the number of output coded data bits (n) is obtained from the outside in each encoding and puncturing step. Whenever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larger than k is input, the data stored in the respective bit cells are shifted bit by bit of the constraint length, and the corresponding stored data are output to the encoding and puncturing unit, and the encoding and puncturing operations are transferred. The shift register for storing raw input data bits not used in the steps in corresponding bit cells; 상기 k보다 큰 소정 단위의 병렬 데이터들을 입력하여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 출력하며, 각 부호화 및 천공 단계들 마다 발생하며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출력 부호화 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k) 비트 개수가 되면 이를 감지하고 한 클럭 동안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가 상기 k 비트의 미처리 입력 데이터들을 구속장(K) 비트 쉬프트 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정렬부가 적어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Data bits required to generate the output encoded data are inputted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larger than k and output to the shift register, and raw data bits generated in each encoding and puncturing step and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At least a data alignment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k bits and not inputting data for one clock, so that the shift register can shift and output the k bits of raw input data by K bits.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렬부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alignment unit,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에 저장되며 상기 부호화 및 길쌈 부호 동작마다 발생하는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들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이에 의한 카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와,A counter which is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and counts the number of raw input data bits generated for each encoding and convolutional code operation and outputs a count control signal according thereto; 상기 카운트 제어신호에 의해 각 부호화 및 천공 단계마다 입력되는 상기 k보다 큰 소정 단위의 병렬 데이터들을 이전 단계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 수만큼 쉬프트 시켜서 데이터 선택부 및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 출력하는 배럴 쉬프터와,A barrel shifter for shifting the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larger than the k inputted in each encoding and puncturing step by the count control signal by the number of bits of raw data input in the previous step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data selector and the shift register; 상기 데이터 비트 수(k) 개수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미처리 입력 데이터 비트수 만큼 쉬프트된 상기 k보다 큰 소정 단위 입력 데이터들 중에서 각 k 비트들과 상기 쉬프트 쉬프트 레지스터내의 해당 비트 셀들에 저장된 이전 단계 미처리 입력 데이터들의 각 비트들 중에서 어느 한 데이터 비트를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 출력하는 상기 데이터 선택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A previous step stored in respective k bits and corresponding bit cells in the shift shift register among predetermined unit input data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number of data bits k and shifted by the number of raw input data bits; And a data selector for outputting one data bit of each bit of raw input data to the shift regis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비트 셀 개수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bit cells of the shift register,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쉬프트 레지스터의 비트 셀 개수=K+(K-1)+KNumber of bit cells in shift register = K + (K-1) + K 여기서 상기 k는 상기 출력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비트 수이며, 상기 K는 상기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의 구속장이다.Where k is the number of data bits required to generate the output coded data, and K is the constraint length of the 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호화 데이터 비트 개수(n) 만큼의 부호화부들 각각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encoders as many as the number n of the output encoded data bits, 단일의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Parallel convolutional coding apparatus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ingle exclusive OR g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k보다 큰 소정 단위의 병렬 데이터가 바이트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병렬 길쌈 부호화 장치.The parallel convolutional encod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larger than k is a byte unit.
KR10-2000-0032943A 2000-06-15 2000-06-15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0396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43A KR100396827B1 (en) 2000-06-15 2000-06-15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43A KR100396827B1 (en) 2000-06-15 2000-06-15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51A true KR20010112751A (en) 2001-12-22
KR100396827B1 KR100396827B1 (en) 2003-09-02

Family

ID=1967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43A KR100396827B1 (en) 2000-06-15 2000-06-15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8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70B1 (en) * 2003-12-2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Improved channel coding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902B2 (en) * 1992-12-02 1998-07-02 国際電信電話株式会社 Convolution arithmetic circuit with feedback and systematic encoder
US5438590A (en) * 1993-05-24 1995-08-01 Comstream Corpor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punctured convolutional encoding and decoding
JPH09232974A (en) * 1996-02-22 1997-09-05 Kenwood Corp Punctured circuit
JP3255861B2 (en) * 1996-11-25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de rate variable error correction transmitter
JP3452345B2 (en) * 1997-05-30 2003-09-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rithmetic processing unit and its utilization device
JP3512159B2 (en) * 1998-04-27 2004-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nvolutional interleave device, convolutional deinterleave device, convolutional interleave method, and convolutional deinterleave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70B1 (en) * 2003-12-2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Improved channel cod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827B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7257B2 (en) Convolution decoding device
US6598203B1 (en) Parallel punctured convolutional encoder
EP1805899B1 (en) Puncturing/depuncturing using compressed differential puncturing pattern
US20020053059A1 (en) CRC encoding circuit, CRC encoding method, data sending device and data receiving device
US20060161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yclic redundancy check
US6081921A (en) Bit insertion approach to convolutional encoding
EP1146652B1 (en) High speed coding apparatus for convolutional codes
KR20040085545A (en) Apparatus for decoding error correction do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427109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lculating a cyclic redundancy check value for a multi bit input data word
US7095808B1 (en) Code pun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715398B2 (en) Error correction codec
KR100396827B1 (en)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 in data transmission system
JP4045521B2 (e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EP1883162A1 (en) Non-periodic puncturing of turbo codes and convolutional codes
EP1300954A1 (en) Encoding device and method, decoding device and method, providing medium,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ubstitution position information
AU717161B2 (en) Method for forming transition metrics and a receiver of a cellular radio system
US20120326898A1 (en) Coding and Decoding by Means of a Trellis Coded Modulation System
US6829742B1 (en) Coding method and coding apparatus for coding a serial data stream
EP1374416B1 (en) Recursive convolutional encoding
KR20230021567A (en) Method for encoding and/or decoding data and appratus thereof
EP1445885A1 (en) Code pun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040967A (e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encoding
JPH02170725A (en) Viterbi demodulating circuit
JPH0723025A (e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JPS61214623A (en) Convolution encod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