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540A -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540A
KR20010110540A KR1020000031057A KR20000031057A KR20010110540A KR 20010110540 A KR20010110540 A KR 20010110540A KR 1020000031057 A KR1020000031057 A KR 1020000031057A KR 20000031057 A KR20000031057 A KR 20000031057A KR 20010110540 A KR20010110540 A KR 20010110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ing
data
network
hypermedia
c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민
송민종
윤재식
김두철
이향윤
Original Assignee
박노영
주식회사 메트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영, 주식회사 메트로넷 filed Critical 박노영
Priority to KR102000003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540A/en
Publication of KR2001011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540A/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원격 교육 또는 가상 교육에서 발생되는 교안 작성의 어려움으로 인한 강사의 강의 능률 저하, 텍스트 위주의 교안 및 불충분한 양방향 의사 소통에 의한 학습 효과 저하를 해소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또는 하이퍼미디어로 교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메뉴를 지원하고, 작성된 교안을 표준 네트워크 언어로 자동 변환하여 실시간 양방향 교육을 이룰 수 있는 교안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교안 작성을 용이하게 하여 가상 교육을 이용하는 강사 또는 수강생층의 대상을 넓힐 수 있고, 하이미디어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or hypermedia in order to solve the degradation of the lecturer's teaching efficiency, text-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due to insufficient two-way communica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writing a teaching plan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distance education or virtual education. Instructors who use virtual education by facilitating the preparation of teaching materials by providing a menu and a method for creating a teaching plan, and by providing a menu and a method for creating a teaching plan that can automatically convert the written teaching text into a standard network language for real-time interactive teaching.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roaden the target audience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by enabling real-time conversation with high media.

Description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virtual teaching materials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본 발명은 가상 교육용 저작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 실시간으로 하이퍼미디어(hypermedia)에 의한 가상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educational author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plan for performing virtual education by hypermedia in two-way real time.

주지하다시피, 컴퓨터의 보급과 네트워크의 발달에 힘입어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 교육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상 교육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약을덜 받고, 동시에 강의를 받을 수 있는 수강생 수의 확장에 따른 저렴한 교육비 등의 장점으로 인해서 그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As is well known, virtual education through networks is becoming a reality thanks to the spread of computers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s. Such virtual education is less popular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spread of the education is being accelerated due to the advantages such as low cost of educ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who can take lectures.

종래의 전형적인 가상 교육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서버(400)측에 고용된 강사가 강사 단말기(100) 상에서 교안을 작성한 후,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서버(400)에 교안을 업로딩(up-loading)하면, 서버(400)에 수강 등록한 수강생은 서버(400) 상에 업로딩된 교안을 자신의 수강생 단말기(300/1∼300/n: "300"으로 약칭함)중 어느 하나로 다운 로딩(down loading) 받아서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typical virtual education, as shown in FIG. 1, an instructor employed on the server 400 side first creates a lesson plan on the instructor terminal 100, and then uploads the lesson plan to the server 400 via the network 200. (up-loading), students enrolled in the server 400 download the teaching materials uploaded on the server 400 to any one of their student terminals (300/1 to 300 / n: abbreviated as "300"). It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load down loading.

이와 같은 종래의 가상 교육에서, 강사는 MS 워드나 아래 한글과 같은 단일 프로그램 상에서 교안을 작성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교안에는 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을 부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사는 텍스트 위주의 교안을 작성할 수 밖에 없었다. 실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영상, 그래픽, 음성, 텍스트 등의 순차적/비순차적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이와 같은 종래 가상 교육에서의 작성된 텍스트 위주의 교안은 그 학습 효과를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In this conventional virtual education, the instructor wrote a teaching plan on a single program such as MS Word or Hangul below. Since it is difficult to add audio data, video data, etc. to the lesson plans created by such a program, the instructor was forced to write a text-oriented lesson plan. Given that education in the real environment is composed of sequential / non-sequential combinations of video, graphics, voice, and text, such text-based teaching in the conventional virtual education causes the learning effect to be greatly degraded. .

한편, 그와 같이 작성된 교안을 가상 교육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HTML(hypertext makeup language) 등과 같은 네트워크 표준 언어로 작성되어야 하는 데, 강좌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강사가 모두 그와 같은 네트워크 표준 언어의 사용에 숙련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such a teaching material on a network where virtual education is performed, it must be written in a network standard language such as HTML (hypertext makeup language), and all instructors with expertise in the course are the same. It is hard to say that you are skilled in the use of.

따라서, 가상 교육에서 강사의 선정시, 강좌에 대한 전문성과 네트워크 표준언어 사용의 숙련성을 감안할 경우, 강사의 선택폭은 크게 제한될 수 밖에 없다.Therefore, when selecting an instructor in virtual education, the choice of the instructor is greatly limited given the expertise of the course and the proficiency of using the network standard language.

또한, 이와 같은 네트워크 표준 언어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강사의 경우, 해당 강좌에 전문성이 높고, 강의 기법이 뛰어난 강사라 하더라도 강사 자신의 강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웠다.In addition, instructors unfamiliar with the use of such a network standard language, even if the lecturers had high professionalism and excellent lecture technique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fully demonstrate their lecture skill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강사는 일방적으로 업로딩하고, 수강생은 다운 로딩해서 이루어지는 종래 가상 교육에 있어서, 상호간의 의사 소통이 어렵고 전자 메일 등을 통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소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상호 의사 소통에 의한 질의/응답 등의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virtual education in which the instructor uploads unilaterally and the students download, the mutual intention is difficult even though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is difficult and communication time is made through e-mail or the like. The effects of question / answer through communication are very limi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양방향 실시간 가상 교육에 적합하고, 교안 작성을 하이퍼미디어로 작성하는 데 용이한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teaching plan for virtual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two-way real-time virtual teaching, and is easy to create teaching plan in hypermedi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된 강사 및 수강생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호간에 멀티미디어로 강의를 수행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에 있어서, 기작성된 교안 작성 프로그램 및 각기 텍스트, 음성, 그래픽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교안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교안 작성 프로그램 상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교안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기능 도구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교안 데이터중 하나 이상을 삽입하며,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된 교안 데이터의 소정 부분에 상기 삽입된 교안 데이터를 연계시켜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집부와, 상기 하이퍼 미디어 데이터를 기설정된 네트워크 표준 언어로 변환하는 언어 표준화부와, 상기 작성중인 교안 데이터나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대측으로부터 제공받은 표준화된 하이퍼미디어 교안데이터를 재생하여, 각기 영상, 음성 또는 텍스처로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와, 상기 표준화된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표준 전송 규약에 의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written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in a virtual teaching teaching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lecturer and the student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erform lectures in multimedia with each other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teaching materials comprising any one of text, audio, graphics, and video, and a plurality of teaching materials created by a user's operation on the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and supported by the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An editing unit for inser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teaching materi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a function tool, and creating hypermedia teaching materials by linking the inserted teaching materials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eaching materials created by the user; Presetting the hypermedia data A language standardizing unit for converting to a network standard language, and a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prepared teaching data or the standardized hypermedia teaching data provided from the other party through the network, and reproducing them in video, audio or texture, respectively; Provided is a virtual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ndardized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data on the network based on a standard transmission protoco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된 강사 및 수강생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호간에 멀티미디어로 강의를 수행하기 위한 교안 작성 방법에 있어서, 기작성된 교안 작성 프로그램 상을 구동하여, 다수의 메뉴바, 교안을 작성하기 위한 교안 작성 영역, 강사 또는 수강생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영역, 강사와 수강생간의 채팅을 지원하는 채팅 영역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화면의 교안 작성 영역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교안을 작성하는 도중 사용자에 의해서 연계 메뉴가 선택되면, 각기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로 기작성된 다수의 교안 데이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목록중에서 선택된 교안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중인 교안의 해당 부분에 연계시키는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 작성 단계와, 상기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 작성 단계 도중 기설정된 데이터량에 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표준화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기작성된 분량의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네트워크 표준화 언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표준화된 언어를 표준 네트워크 전송 규약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eaching preparation method for teaching lectures in multimedia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instructor and students connected to the server via a network, the written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Displaying an initial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 bars, a teaching area for creating a teaching plan, an auxiliary area for displaying instructor or learner information, and a chat area for chatting between the lecturer and the students; If the user selects the associated menu while creating a lesson plan by the user on the lesson preparation area of the initial screen, a list of a plurality of lesson planner data written in one of text, voice, and video is displayed, and the lesson plan data selected from the list is displayed. That part of the lesson plan being prepared by the user If the amount of data reached during the hypermedia teaching data creation step and the standardized menu are selected by the user during the hypermedia teaching data creation step, the predetermined amount of hypermedia teaching data is converted into a network standardization language. And transmitting the network standardized language over a network based on a standard network transmission protocol.

도 1은 종래에 사용되어 온 일반적인 가상 교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virtual education system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에 장착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apparatus mounted on the terminal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을 나누어서 도시한 흐름도,Figure 3a, 3b and 3c is a flow chart showing a divided instruction method for teaching virtual tea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초기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itial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삽입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sertion menu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필기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andwriting menu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설명창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planation window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110: input unit 120: control unit

130 : 저장부 140 : 프로그램 구동부130: storage unit 140: program driver

150 : 언어 표준화부 160 : 통신부150: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160: communication unit

170 : 데이터 재생부 100 : 강사 단말기170: data playback unit 100: lecturer terminal

200 : 네트워크 300/1∼300/n : 수강생 단말기200: network 300/1 to 300 / n: student terminal

400 : 가상 교육 서버 500 : 초기 화면400: virtual training server 500: initial screen

510 : 메뉴바 520 : 교안 작성 영역510: menu bar 520: teaching proposal area

530 : 보조 정보 영역 540 : 채팅 영역530: secondary information area 540: chat area

550 : 설명창550 Description Window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안 작성 장치 및 그 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teaching preparation device and a method implemented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에 장착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초기 화면, 삽입 메뉴 화면, 필기 메뉴 화면, 및 설명창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apparatus mounted on the terminal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C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virtual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to 7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initial screen, an insertion menu screen, a handwriting menu screen, and an explanation window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는, 저장부(130)와, 입력부(110), 제어부(120), 프로그램 구동부(140)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집부와, 언어 표준화부(150)와, 통신부(160) 및 데이터 재생부(170)로 구성되며, 그 개별적 구성 또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는, 강사 단말기(100) 뿐만 아니라 수강생 단말기(300)에도 설치되며, 그 구성 및 기능은 변형을 가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동일하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virtual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iting unit including a storage unit 130, an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program driver 140, and a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150,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and their individual configuration or function are as follows. The virtual teaching material pr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not only on the instructor terminal 100 but also on the student terminal 300, and its configuration and function may be modified, but are basically the same.

저장부(1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 등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교안 작성 프로그램이 기작성되어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 사전 편집되거나 다운 로드받은 텍스트, 음성, 그래픽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교안 데이터가 저장된다.Storage unit 130 is composed of a hard disk drive (HDD: hard disk drive), etc., the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 execution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teaching method for virtual tea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written and stored And a plurality of teaching data consisting of any one of text, audio, graphics, and video pre-edited or downloaded by a user are stored.

편집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 음성, 그래픽, 영상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 본 발명에 따른 교안 작성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기작성된 교안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14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부(110)는 마우스, 마이크, 키보드, 스캐너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부(11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교안 작성 프로그램 및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 포함된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프로그램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램(RAM)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다수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교안 작성 프로그램 및 그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 포함된 삽입 메뉴 실행 프로그램, 필기 메뉴 실행 프로그램, 채팅 메뉴 실행 프로그램, 설명 메뉴 실행 프로그램 등을 구동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diting unit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text, audio, graphics, video, etc.,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teaching pr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gram driving unit for driving a written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Consisting of 140. In more detail, the input unit 110 includes a mouse, a microphone, a keyboard, a scanner,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d provid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to the controller 120.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may drive a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a menu execution program included in the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unit 110. The program driver 14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program driver 140. The program driver 140 includes a RAM and the like, and is included in a plurality of programs pre-stored in the storage 130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for example, a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and a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The inserted menu execution program, the writing menu execution program, the chat menu execution program, the explanation menu execution program, and the like.

언어 표준화부(150)는 텍스트, 음성, 그래픽 또는 영상 각각에 대한 다수의 언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표준 언어의 코드가 설정된 언어 변환 코드표를 구비하며, 프로그램 구동부(140)에서의 교안 작성 프로그램의 구동으로 얻어진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언어 변환 코드표에 의거하여 HTML과 같은 네트워크 표준 언어로 재구성한다.The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150 includes a language conversion code table in which codes of a network standard languag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anguages for text, audio, graphics, or video are set, and the teaching program is driven by the program driver 140. The reconstructed hypermedia teaching data is reconstructed into a network standard language such as HTML based on the language conversion code table.

통신부(160)는 언어 표준화부(150)에서 재구성된 HTML 데이터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같은 표준 네트워크 전송 규약으로 네트워크 상에 전송한다.The communicator 160 transmits the HTML data reconstructed by the language standardizer 150 on a network using a standard network transfer protocol such as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이하, 도 3a, 3b, 및 3c를 중심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안 작성 방법이 상술한 교안 작성 장치에서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4 to 7 with reference to FIGS. 3A, 3B, and 3C, a process of implementing the teaching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10)로 실행 명령어를 입력하면(S 100),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작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교안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프로그램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교안 작성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초기 화면의 데이터를 데이터 재생부(170)에 제공하고, 데이터 재생부(170)는 초기 화면 데이터를 처리하여 도시 생략한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S 200). 이때 초기 화면(5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메뉴 실행 명령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바(510), 교안을 작성하기 위한 교안 작성 영역(520), 강사 및 사용자 정보 등이 표시되는 보조 정보 영역(530) 및 사용자간의 텍스트 또는 화상 채팅 화면을 표시하는 채팅 영역(540)이 포함된다. 이때, 초기 화면(500) 상에서 상술한 구성의 영역 크기 및 영역 배열은 다양한 형태로 규정할 수 있고, 일반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 화면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기능 툴이나 메뉴 바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그와 같은 부가 화면에 대한 표시는 생략했다.First, when a user inputs an execution command to the input unit 110 (S 10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ogram driver 140 to drive a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previously writte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the program driver 140 drives the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to provide data of the initial screen to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and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processes and displays the initial screen data. The display is displayed through the omitted output device (S20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initial screen 500 displays a menu bar 510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menu execution commands, a teaching plan writing area 520 for creating a lesson plan, an instructor and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auxiliary information area 530 and a chat area 540 for displaying a text or video chat screen between users are included. In this case, the region size and region arrangemen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n the initial screen 500 may be defined in various form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tools or menu bars provided in a general computer program or a network screen. In FIG. 4,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splay of such additional screens is omitted.

S 200 단계에서 표시된 초기 화면에서는 처음에 교안 작성 영역(520) 상에커서(도시 생략함)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초기 활성화 영역, 즉, 커서가 위치하는 영역은 달라질 수 있다. 그와 같이 교안 작성 영역(520)의 커서 위치에서부터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서 교안 데이터를 입력하면(S 130), 제어부(120)는 그 입력된 데이터를 컴퓨터 프로그램 구동부(140)에 제공하여 데이터 재생부(170)의 데이터 처리에 의해서 출력 장치에 표시하는 한편, 그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임시 기록한다(S 140).In the initial screen displayed in step S 200, a cursor (not shown) is initially displayed on the teaching preparation area 520. Here, the initial activation area, that is, the area where the cursor is located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instructional data through the input unit 110 from the cursor position of the instructional writing area 520 (S 130), the controller 120 provides the input data to the computer program driver 140.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70, and the input data is temporarily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130 (S 140).

상술한 S 140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초기 화면(500) 상의 메뉴 바(510)에 포함된 메뉴 실행 명령어를 선택하면(S 150), 제어부(120)는 그 입력된 메뉴 실행 명령어의 종류를 판정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110 and selects a menu execution command included in the menu bar 510 on the initial screen 500 (S 150), the controller 120 inputs the input. Determine the type of menu execution command.

그 판정 결과, 입력된 명령어가 삽입 메뉴 실행 명령어이면(S 160),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삽입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프로그램 구동부(140)를 제어하고,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 포함된 삽입 메뉴 화면의 데이터를 데이터 재생부(170)에 제공하고, 데이터 재생부(170)는 삽입 메뉴 화면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도시 생략한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S 162). 이때, 삽입 메뉴 화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텍스트, 음성, 그래픽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로 기작성된 다수의 교안 데이터 목록이 표시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input command is an insert menu execution command (S 16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ogram driver 140 to drive the insert menu execution program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program driver ( 140 provides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with the data of the insertion menu screen included in the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processes the data of the insertion menu screen to show the data. The display is displayed through the omitted output device (S 16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a list of a plurality of teaching material data previously written in any one of text, voice, graphic, and image is displayed on the insertion menu screen.

S 162 단계에서 표시된 교안 데이터 목록 중 사용자가 작성 중인 교안에 삽입하고자 하는 교안 데이터(즉, 파일)를 선택하면(S 164),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구동된 삽입 메뉴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교안 데이터를 작성중인 교안의 선택 부분(예를 들어, 단어나 그래픽 또는 위치)에 연계시켜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의 연계 정보는 S 140 단계에서 저장부(130)에 저장된 교안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S 166).If the user selects the teaching material data (ie, a file) to be inserted into the teaching text being prepared from the list of teaching data displayed in step S 162 (S 164), the program driver 140 selects the user by the driven insert menu execution program. The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is created by linking the teaching material data with a selected part of the teaching subject, for example, a word, a graphic, or a position, and the linkage information of the created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is stored in step S 140. It is stored together with the teaching data stored in (S 166).

S 166 단계가 수행되는 도중이나 수행된 후,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완료 명령어를 입력하면(S 210), 제어부(120)는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네트워크 표준 언어로 재구성하도록 언어 표준화부(150)를 제어하고,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저장부(130)에 임시 저장된 하이퍼 미디어 교안 데이터, 즉, 신규 교안 데이터, 연계된 교안 데이터 및 그 연계 정보를 언어 표준화부(150)에 제공하며, 언어 표준화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 구동부(140)로부터 제공받은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내부에 구비된 언어 변환 코드표를 이용하여 HTML과 같은 네트워크 표준 언어로 재구성한다(S 220). 이때, 상기 언어 변환 코드표에는 텍스트, 음성, 그래픽 또는 영상 각각에 대한 다수의 언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표준 언어의 코드가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During or after step S166, when a user inputs a completion comman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10 (S210), the control unit 120 reconfigures the hypermedia teaching data into a network standard languag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program driver 140 to provide the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150 with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at is, new teaching material data, associated teaching material data, and linkage information thereof. The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150 reconstructs the hypermedia instructional data provided from the program driver 140 into a network standard language such as HTML using a language conversion code table provided therei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S 220). In this case, a code of a network standard language may be set in the language conversion code tab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anguages for text, voice, graphic, or video.

언어 표준화부(150)는 S 220 단계에서 재구성된 표준화 데이터를 통신부(160)에 제공하고, 통신부(160)는 HTTP와 같은 표준 네트워크 전송 규약에 의거하여 네트워크(200) 측으로 전송한다(S 230).The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150 provides the standardized data reconstructed in step S 220 to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0 transmits the network standard to the network 200 based on a standard network transmission protocol such as HTTP (S 230). .

한편, S 150 단계의 판정 결과, 입력된 명령어가 필기 메뉴 실행 명령어이면(S 170),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필기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프로그램 구동부(140)를 제어하고,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 포함된 필기 메뉴 화면의 데이터를 데이터 재생부(170)에 제공하고, 데이터 재생부(170)는 필기 메뉴 화면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한다(S 172). 이때, 필기 메뉴 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줄 형태 및 색상을 포함하여 선택할 수 있는 밑줄 선택창, 강조 표시나 체크를 위한 다수의 도형 목록, 형광펜 표시, 자유 그리기 등의 목록이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 150 that the input command is a writing menu execution command (S 17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ogram driver 140 to drive the writing menu execution program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130. The program driving unit 140 provides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with data of the writing menu screen included in the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of the writing menu screen. The data is processed and displayed through an output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S172). In this case, the handwriting menu screen includes an underline selection window that can be selected including an underline shape and color, a plurality of figure lists for highlighting or checking, a highlighter display, a free drawing,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6.

S 172 단계에서 표시된 항목 중에서 특정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면(S 174),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구동된 필기 메뉴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를 작성중인 교안의 선택 부분(예를 들어, 단어나 그래픽 또는 위치)에 부가하여 데이터 재생부(170)에 제공하고, 데이터 재생부(170)는 부가된 항목을 작성 중인 교안의 선택 위치에 표시한다. 즉, 밑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단어에 밑줄을 표시한다. 또한,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구동된 필기 메뉴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항목의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임시 저장된 교안 데이터와 함게 저장한다(S 176).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tem among the items displayed in step S 172 (S 174), the program driver 140 selects a portion of the teaching plan that is writing data of the item selected by the user by the driven writing menu execution program (for example, , Words, graphics, or positions) to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and the data reproducing unit 170 displays the added item at the selected position of the teaching plan. That is, when underscore is selected, the underlined word is underlined. In addition, the program driver 140 stores the data of the item selected by the user by the driven writing menu execution program together with teaching material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130 (S 176).

이후, 상술한 S 210∼S 230 단계와 동일한 과정이 수행된다.Thereafter, the same process as the above-described steps S 210 to S 230 is performed.

한편, S 150 단계의 판정 결과, 입력된 명령어가 채팅 메뉴 실행 명령어이면(S 180),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채팅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프로그램 구동부(140)를 제어하고,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 포함된 채팅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채팅창을 활성화 한다(S 182).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 150, if the input command is a chat menu execution command (S 18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ogram driver 140 to drive the chat menu execution program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program driver 140 activates the chat window by driving the chat menu execution program included in the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S 182).

S 182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의 입력부(110) 조작에 의해서 입력되거나 입력부(110)의 감지에 의해서 입력된 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20)를 통해 프로그램 구동부(140)에 제공되고, 프로그램 구동부(140)에서는 구동중인 채팅 메뉴 실행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채팅 영역(540) 상에 표시되는 커서 위치 또는 전체 화면에 텍스트, 그래픽 및 동영상 등으로 표시되고, 그 입력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스피커와 같은 별도의 출력 수단을 통해서 출력된다(S 184).During operation S 182, input data input by a user's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110 or input by detection of the input unit 110 is provided to the program driver 140 through the controller 120, and the program driver ( 140, text, graphics, and video ar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r the cursor position displayed on the chat area 540 based on the running chat menu executing program. It is output through a separate output means (S 184).

이후, 상술한 S 210∼S 230 단계가 진행된다.Thereafter, the above-described steps S 210 to S 230 are performed.

한편, S 150 단계의 판정 결과, 입력된 명령어가 설명 메뉴 실행 명령어이면, 즉, 설명 데이터가 연계된 위치를 마우스 등으로 선택하면(S 190), 제어부(120)는 선택된 위치의 연계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색하여 프로그램 구동부(140)에 제공하는 한편, 그 연계 정보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프로그램 구동부(140)를 제어한다. 프로그램 구동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설명 메뉴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그 구동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연계 정보에 대응하는 설명 데이터를 데이터 재생부(17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설명창을 표시한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설명창 내부에는 사용자가 기작성하여 연동시켜 놓은 텍스트, 그래픽 또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설명이 표시될 것이다(S 192). 여기에서, S 192 단계의 동작 과정은 메뉴 기능의 일관적인 구성을 위해서 메뉴 실행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어부(120)로부터의 연계 정보 제공에 의해서 프로그램 구동부(140)에 이미 구동되어 있는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 의해서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 150 that the input command is a description menu execution command, that is, when the location where the description data is associated is selected with a mouse or the like (S 190), the controller 120 stor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location. The program driver 140 is retrieved from the unit 130 and provided to the program driver 140, and the program driver 140 is controlled to display explanatory data corresponding to the linkage information. The program driver 140 drives the description menu execution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and outputs descrip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ink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20 by the driven program. It provides a description window at the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As illustrated in FIG. 7, a description made up of text, graphics, or video previously created and linked by the user will be displayed in the description window (S192). Here, the operation process of step S192 i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menu execution program for the consistent configuration of the menu function, but already provided to the program driver 140 by providing the linkag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20. It can also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teaching drafting program.

이후, 상술한 S 210∼S 230 단계가 진행된다.Thereafter, the above-described steps S 210 to S 230 are performed.

한편, S 150 단계의 판단 결과, 상술한 메뉴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해서 부가될 수 있는 메뉴가 선택되었다면, 해당 메뉴를 수행한 후(S 200), 상술한 S 210∼S 230 단계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 150, if a menu that can be added by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nu is selected, afte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menu (S 200), the above steps S 210 to S 230 Perform.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안 작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일 예로서, 특징부 및 구현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전형적인 교안 작성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수의 메뉴가 포함되고, 별도의 교안 작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as an example of the teaching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eature and an implementation are described, and a plurality of menus included in a typical teaching preparation system are included, and in conjunction with a separate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It may be configured to work.

본 발명에 따르면, 교안 작성을 용이하게 하여 가상 교육을 이용하는 강사 또는 수강생층의 대상을 넓힐 수 있고, 하이퍼미디어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prepar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to expand the target of the instructor or students using the virtual educ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by enabling real-time conversation with hypermedia.

Claims (6)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된 강사 및 수강생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호간에 멀티미디어로 강의를 수행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에 있어서,In the virtual teaching syllabus writing device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instructor and student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erform lectures with each other in multimedia, 기작성된 교안 작성 프로그램 및 각기 텍스트, 음성, 그래픽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교안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pared teaching plan writing program and a plurality of teaching plan data each consisting of text, audio, graphics, and video; 상기 교안 작성 프로그램 상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교안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교안 작성 프로그램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기능 도구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교안 데이터중 하나 이상을 삽입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된 교안 데이터의 소정 부분에 상기 삽입된 교안 데이터를 연계시켜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집부와,By the user's operation on the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teaching syllabus data is created, and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teaching materi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inserted by a plurality of functional tools supported by the teaching preparation program, and An editing unit for creating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by linking the inserted teaching material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eaching material created by the teacher; 상기 하이퍼 미디어 데이터를 기설정된 네트워크 표준 언어로 변환하는 언어 표준화부와,A language standardizer for converting the hyper media data into a preset network standard language; 상기 작성중인 교안 데이터나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대측으로부터 제공받은 표준화된 하이퍼미디어 교안데이터를 재생하여, 각기 영상, 음성 또는 텍스처로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와,A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prepared teaching material data or the standardized hypermedia teaching data provided from the other party through the network, and reproducing them in video, audio or texture, respectively; 상기 표준화된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표준 네트워크 전송 규약에 의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에 전송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ndardized hypermedia teaching data on the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network transmission protocol 를 포함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Virtual teaching planner wri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언어 표준화부는,The language standardization unit, 텍스트, 음성, 그래픽 또는 영상 각각에 대한 다수의 언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표준 언어의 코드가 설정된 언어 변환 코드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장치.And a language conversion code table in which codes of network standard langu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anguages for text, audio, graphics, or video are set.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된 강사 및 수강생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호간에 멀티미디어로 강의를 수행하기 위한 교안 작성 방법에 있어서,In the teaching plan for installing lecturers and students who are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erform multimedia lectures with each other, 기작성된 교안 작성 프로그램 상을 구동하여, 다수의 메뉴바, 교안을 작성하기 위한 교안 작성 영역, 강사 또는 수강생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영역, 강사와 수강생간의 채팅을 지원하는 채팅 영역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An initial screen including a menu area, a menu area for creating a teaching plan, an auxiliary area for displaying instructor or learner information, and a chat area for chatting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by running on a prewritten drafting program. Marking step, 상기 초기 화면의 교안 작성 영역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교안을 작성하는 도중 사용자에 의해서 연계 메뉴가 선택되면, 각기 텍스트, 음성, 그래픽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로 기작성된 다수의 교안 데이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목록중에서 선택된 교안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중인 교안의 해당 부분에 연계시키는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 작성 단계와,If the user selects a linked menu while creating a lesson plan by the user on the lesson preparation area of the initial screen, a list of a plurality of lesson planner data, which is previously written in one of text, voice, graphic, and video, is displayed, Hypermedia teaching data creation step of associating the selected teaching material data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eaching plan being prepared by the user; 상기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 작성 단계 도중 기설정된 데이터량에 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표준화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기작성된 분량의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를 네트워크 표준화 언어로 변환하는 단계와,Converting the predetermined amount of hypermedia teaching data into a network standardization languag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data is reached or a standardized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during the creation of the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data; 상기 네트워크 표준화된 언어를 표준 네트워크 전송 규약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And a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plan for transmitting the network standardized language over a network based on a standard network transmission protoco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은,The teaching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education, 상기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의 작성 도중이나 상기 강사와 수강생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상태에서 필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교안 데이터 상에 다양한 종류의 필기 아이콘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목록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표시를 상기 작성 또는 접속 중인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의 해당 부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When the handwriting menu is selected during the creation of the hypermedia teaching material data or while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list of various types of writing icons is displayed on the teaching material data, and the corresponding icon is selected from the list. And displaying a display on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hypermedia teaching data that is being created or accessed.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은,The teaching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education,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강사 및 수강생 상호간에 입력되는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초기 화면의 채팅 영역에 텍스트 채팅 또는 화상 채팅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And displaying text, video, or audio data input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in a chat area of the initial screen by text chat or video cha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은,The teaching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education, 상기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의 소정 부분에 기작성된 설명 데이터를 연계 시키고, 상기 강사와 수강생이 네트워크 상에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의 연계 부분이 선택되면, 상기 기작성된 설명 데이터를 상기 하이퍼미디어 교안 데이터 상에 설명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교육용 교안 작성 방법.If the description data written in advance is link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ypermedia teaching data, and the linking portion of the hypermedia teaching data is selected while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are connected on a network, the writing description data is converted into the hypermedia teaching instruction. A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teaching plan,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description window on the data.
KR1020000031057A 2000-06-07 2000-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KR200101105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057A KR20010110540A (en) 2000-06-07 2000-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057A KR20010110540A (en) 2000-06-07 2000-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540A true KR20010110540A (en) 2001-12-13

Family

ID=4592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057A KR20010110540A (en) 2000-06-07 2000-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540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852U (en) * 1996-08-09 1998-05-15 김욱한 Blowing fan for car air conditioner
JPH11133846A (en) * 1997-10-31 1999-05-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eaching material generation and storage medium storing teaching material generation support program
KR20000036844A (en) * 2000-03-30 2000-07-05 박지웅 education system using internet
KR20010104890A (en) * 2000-05-16 2001-11-28 김기대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inter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852U (en) * 1996-08-09 1998-05-15 김욱한 Blowing fan for car air conditioner
JPH11133846A (en) * 1997-10-31 1999-05-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eaching material generation and storage medium storing teaching material generation support program
KR20000036844A (en) * 2000-03-30 2000-07-05 박지웅 education system using internet
KR20010104890A (en) * 2000-05-16 2001-11-28 김기대 Four step of learning method, availing inter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3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executing internet based lectures using public domain web pages
US8152529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based education
US20060154227A1 (en) Electronic classroom
US20030009742A1 (en) Automated job training and performance tool
WO2010086780A2 (en)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utilizing smart digital learning objects
White et al. jfast: A java finite automata simulator
Moorefield-Lang Accessibility in online course design
US20070136672A1 (en) Simulation authoring tool
KR102377282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CN113625985A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blackboard and intelligent blackboard
KR200101105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ata for virtual education
KR20200115405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CN111580684A (e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realizing multidisciplinary intelligent keyboard based on Web technology
Taqwa et al. The Use of Webpage in English Teaching
Raymond et al. Software tools for computer-aided lecturing
Raymond The computerized overhead projector
Ergashevich et al. USE OF ELECTRONIC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Naharro-Berrocal et al. Redesigning the animation capabilities of a functional programming environment under an educational framework
Ngo-Ye et al. PREPARING TEACHING SWIFT PROGRAMMING AND ACTUAL CLASSROOM TEACHING.
US20070218445A1 (en) Computer based blackboard
Chen Scal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rough Live Coding and Streaming Systems
Kemeny et al. An online geomechanics course with a virtual rock lab based on streaming audio and vector graphics
Mikułowski et al. WPad BVI-a multilingual universal knowledge exchange tool with support for visually impaired users
Hiraki et al. " Web-Com": Interactive Browser for Web-Based Education.
Yamamoto et al. Development of Training-Type Teaching Materials for WBT (Web Based Training) to Simulate Software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