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443A - Um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ppp의 동시 셋업 - Google Patents

Um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ppp의 동시 셋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443A
KR20010110443A KR1020017010736A KR20017010736A KR20010110443A KR 20010110443 A KR20010110443 A KR 20010110443A KR 1020017010736 A KR1020017010736 A KR 1020017010736A KR 20017010736 A KR20017010736 A KR 20017010736A KR 20010110443 A KR20010110443 A KR 2001011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up
packet
interface
reques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116B1 (ko
Inventor
마르첼로 리오이
미스챌 아브롤
Original Assignee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러셀 비. 밀러
Publication of KR2001011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Rm 및 Um 인터페이스 모두에 대한 LCP IPCP 설정 옵션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MT2;104)가 제공된다. MT2 장치(104)가 Rm 또는 Um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통해 LCP 또는 IPCP 설정-요구(Configure-Request) 패킷을 수신하면, MT2 장치는 요구된 구성 옵션(S310,S510)을 분석하고 상기 요구된 옵션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요구된 옵션이 써포트되는 경우에는, MT2 장치는 구성-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S360,S560)를 저장하고, Rm 또는 Um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한 전송을 위해 PPP 프레임에서의 설정-요구 패킷을 프레임화 한다. 임의의 요구된 설정 옵션들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 경우에는, MT2 장치는 써포트되지 않는 옵션을 포함하는 설정-거절(Configure-Reject) 패킷(S330,S530)을 발생시키고,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했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을 하기 위해 PPP 프레임으로 설정-거절 패킷을 프레임화 한다.

Description

UM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PPP의 동시 셋업{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인터네트워킹, 즉 개별 근거리 네트워크(LAN) 간의 연결은 급속도로 대중화되었다. "인터넷"이라 불리는 하부 구조 및 관련 프로토콜이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인터넷으로의 억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널리 알려진 프로토콜로는 점대점 링크를 통한 다중-프로토콜 데이터그램을 제공하는 PPP(Point-to-Point) 프로토콜이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일체화된 RFC(Request for Comment, 1661, W.Simpson, Editor, 1994년 7월)에 설명되어 있다.
PPP는 3개의 주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1. 다중-프로토콜 데이터그램을 캡슐화하는 방법;
2. 데이터 링크 연결을 구축(establish)하고, 설정(configure)하며 테스트하기 위한 LCP(Link Control Protocol); 및
3. 서로 다른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구축하고 설정하기 위한 일군의 NPC(Network Control Protocol).
도 1은 이동단말(TE2 장치;102)이 무선 통신 장치(MT2;104) 및 기지국/이동 스위칭 센터(BS/MSC;106)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연동장치(IWF;108)와 통신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MT2는 전화 또는 전화 및 PCM CIA 카드의 조합을 가리킨다. 도 1에서, IWF(108)는 인터넷으로의 억세스 포인트로서 역할 한다. IWF(108)는 BS/MSC(106)에 연결되고 BS/MSC(106)와 함께 위치하며, BS/MSC(106)는 주지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무선 기지국이다. TE2 장치(102)는 MT2 장치(104)에 연결되고, MT2 장치(104)는 BS/MSC(106) 및 IWF(108)와 무선 통신한다.
TE2 장치(102) 및 IWF(108)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하는 많은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광역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라는 표제가 붙은 1998년 2월 발행, TIA(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EIA(Electronics Industries Association) 가협정 표준 707.5는 TIS/EIA IS-95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 상의 패킷 데이터 전송 능력의 써포트를 위한 필요조건들을 규정하고 있으며, BS/MSC(106) 및 IWF(108)도 그 일부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다. IS-707.5는 또한 TE2 장치(102) 및 MT2 장치(104) 사이(Rm 인터페이스)와 MT2 장치(104) 및 BS/MSC(106) 사이(Um 인터페이스), 그리고 BS/MSC(106) 및 IWF(108) 사이(L 인터페이스)의 링크 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필요조건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IS-707.5 중계 모델의 각각에 있는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대략 IS-707.5의 도 1.4.2.2-1에 대응한다. 상기 도면의 맨 좌측에는 TE2 장치(102)(예컨대, 이동 단말, 랩탑 또는 팜탑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토콜 계층을 나타내는, 수직 포맷으로 나타낸 프로토콜 스택이 있다. TE2 프로토콜 스택은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MT2 장치(104) 프로토콜 스택에 논리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MT2 장치(104)는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BS/MSC(106) 프로토콜 스택에 논리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S/MSC(106) 프로토콜 스택은 순서대로 L 인터페이스를 통해 IWF(108)에 논리적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프로토콜의 동작의 예로서, 점대점 프로토콜(PPPR)(206)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202,204)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인코딩하고 그것을 EIA-232 프로토콜(208)을 사용하여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EIA-232 프로토콜(210)을 실행시키는 MT2 장치 상의 EIA-232-호환 포트로 전송한다. MT2 장치 상의 EIA-232 프로토콜(210)은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을 PPPR프로토콜(205)로 전달한다. PPPR프로토콜(205)은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된 패킷의 프레임을 해제하고, 통상적으로 데이터 연결이 동작 중인 경우에는, 그 패킷을 PPPU프로토콜(215)로 전달하고, PPPU프로토콜(215)은 IWF에 위치한 동등한 PPP로의 전달을 위한 PPP 프레임으로 그 패킷을 프레임화 한다. 해당 분야에 주지된 RLP(Radio Link Protocol;212) 및 IS-95 프로토콜(214)은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된 패킷들을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BS/MSC(106)로 전송한다.RLP 프로토콜(212)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일체화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옵션:Radio Link Protocol"이라는 표제가 붙은 1998년 2월 발행, IS-707.2에 정의되어 있으며, IS-95 프로토콜은 위에 언급된 IS-95에 정의되어 있다. BS/MSC(106)의 보충 RLP 프로토콜(216) 및 IS-95 프로토콜(128)은 상기 패킷을 중계 계층(Relay Layer) 프로토콜(228)로의 L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중계 계층 프로토콜(220)로 전달한다. PPPU프로토콜(226)은 수신된 패킷의 프레임을 해제하고 그것을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225)로 전달하며,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225)은 그것을 상위 계층 프로토콜(221)로 전달하거나 인터넷으로 전달한다.
RFC 1661에 설명된 바와 같이, LCP 패킷은 설정-요구(Configure-Request), 설정-Ack(Configure-Ackowledgement), 설정-Nak(Configure-Negative Acknowledgement) 및 설정-거절(Configure-Reject)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킷들의 포맷은 잘 알려진 것들이고 RFC 1661에 설명되어 있다.
설정-요구 패킷은 설정 옵션을 절충(negotiate)하는데 사용된다. 모든 설정 옵션들은 항상 동시에 절충된다.
설정-Ack 패킷은 수신된 설정-요구 패킷의 모든 설정 옵션이 인식가능하고 모든 값들이 수용가능한 경우에 전송된다.
설정-Nak 패킷은 요구된 설정 옵션이 인식 가능하지만 그 중 몇몇 값들이 수용가능하지 않을 때 설정-요구 패킷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설정-내크 패킷의 옵션필드들은 설정 요구 패킷으로부터의 수용 불가능한 설정 옵션들로만 채워진다. 모든 설정 옵션들은 항상 동시에 Nak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설정-거절 패킷은 수신된 설정-요구가 인식 가능하지 않고 절충을 위해 수용가능하지 않은 설정 옵션들을 포함할때 전송된다. 설정-거절의 옵션 필드는 설정-요구로부터의 수용 불가능한 설정 옵션들 만을 포함한다.
다음은 RFC 1661에 설명되고, PPP LCP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된 주지의 설정 옵션들이다.
1. 최대-수신-유닛
2. 인증-프로토콜
3. 품질-프로토콜
4. 매직-넘버
5. 프로토콜-필드-압축
6. 주소-및-제어-필드-압축
7. ASYNC-제어 캐릭터 MRP
IPCP(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는 PPP 링크의 양측에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모듈의 설정, 인에이블 및 디세이블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이다. IPCP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일체화된 RFC 1332 "PPP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G. McGregor Merit, 1992년 5월)에 설명되어 있다. IPCP 설정 옵션은 다음을 포함한다.
1. IP-어드레스
2. IP-압축-프로토콜; 및
3. IP-어드레스
IPCP는 LCP(Link Control Protocol)와 동일한 옵션 절충 메카니즘을 사용한다.
LCP 및 IPCP 설정 옵션 절충은 Rm 인터페이스 및 Um 인터페이스 모두를 통해 행해진다. 즉, Rm 및 Um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대한 LCP 또는 IPCP 설정 옵션 절충은 Rm 및 Um 인터페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대한 LCP 또는 IPCP 설정 옵션 절충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장치(MT2)는 Rm 및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설정 옵션들을 별개로 절충해야 한다. Rm 및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MT2에 의한 별개의 설정 옵션 설정은 MT2 장치의 설정 옵션 절충 메카니즘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하고 두개의 인터페이스 상의 설정 옵션 절충을 불필요하게 길게 만든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MT2)를 통해 단말 장치(TE2) 및 기지국/이동 스위칭 센터(BS/MSC) 연동장치(IWF;InterWorking Function) 간의 점대점 프로토콜(PPP)를 설정하기 위한 신규하고 진보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단말 장치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의 하이 레벨 블록도이다.
도 2는 각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다이어그램.
도 3은 MT2 장치가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할 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MT2 장치가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할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MT2 장치가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할 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MT2 장치가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할 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Rm 및 Um 인터페이스 모두를 통한 LCP 또는 IPCP 설정 옵션을 동시에 절충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MT2)이다.
MT2 장치가 Rm 및 Um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통해 LCP 또는 IPCP 설정 요구 패킷을 수신하면, MT2 장치는 상기 요구된 설정 옵션을 분석하고 상기 요구된 옵션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 되는지를 절충한다. 상기 요구된 옵션들이 써포트되는 경우에는, MT2 장치는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저장하고, Rm 및 Um 인터페이스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한 전송을 위해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 한다. 임의의 요구된 설정 옵션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 경우에는, MT2 장치는 써포트되지 않는 옵션을 포함하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시키고, 설정-거절 패킷을 설정-요구 패킷이 통과하여 수신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 하고, 원래의 요구는 폐기된다.
따라서, Rm 및 Um 인터페이스 둘다에 대한 설정 옵션을 동시에 절충하기 위한 간단하고 빠른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이 다음 도면들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 주지된 바와 같이, 점대점 링크를 통한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 링크 연결을 구축, 설정 및 테스트하기 위한 LCP 패킷은 각 PPP 링크, 즉 Rm 및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되어야 한다. 임의의 절충되지 않은 옵션들은 RFC 1661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디폴트 값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IPCP 설정 옵션을 절충 및 설정하기 위한 IPCP 패킷은 Rm 및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화되어야 한다. 임의의 절충되지 않은 옵션들은 RFC 1332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디폴트 값을 사용한다.
RFC 1661에 설명된 바와 같이, LCP 패킷은 설정-요구, 설정-Ack, 설정-Nak 및 설정-거절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킷들의 포맷은 잘 알려져 있고, RFC 1661에 설명되어 있다.
IPCP 설정 옵션을 절충하기 위한 메카니즘은 LCP 설정 옵션을 절충하기 위한 메카니즘과 동일하기 때문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은 LCP 및 IPCP 모두에 적용된다.
통상적인 시스템에서, 설정 옵션 절충은 Rm 및 Um 인터페이스 모두에 대해 별개로 발생한다. RFC 1661 및 RFC 133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요구 패킷은 요구된 옵션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설정-Ack 패킷은 송신측이 Ack하고 있는 옵션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도 3은 LCP 또는 IPCP 설정-요구 패킷이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MT2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설명한다. 스텝(S310)은 설정-요구 패킷에요구된 설정 옵션들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다. 스텝(S320)에서, 각 옵션들은 그들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 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체크된다.
임의의 옵션들이 써포트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330)이 불량 옵션들에 대해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스텝(S340)에서는, 설정-요구 패킷이 폐기된다. 스텝(S350)에서, 설정-거절 패킷이 R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framer) 전송되고, PPP 프레임화기는 이어서 설정-거절 패킷을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 시킬 것이다.
스텝(S320)이 모든 요구된 옵션들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저장하기 위한 스텝(S360)이 수행된다.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PPP 프레임에서의 캡슐화를 위해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화기로 전달하기 위해 스텝(S370)이 수행된다.
도 4는 설정-Ack 패킷이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MT2 장치에 의해 수신될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설명한다. 스텝(S410)에서, 설정-Ack 패킷의 ID는 설정-요구 ID와 비교된다. ID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구성 옵션을 저장하기 위해 스텝(S420)이 수행된다. 설정-Ack 패킷을 U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로 전달하기 위해 스텝(S430)이 수행되고, PPP 프레임화기는 이어서 설정-Ack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시키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시킬 것이다.
스텝(S410)에서 설정-Ack 패킷이 설정-요구 ID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설정-Ack 패킷을 U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로 전달하기위해 스텝(S430)이 수행되고, 상기 PPP 프레임화기는 이어서 상기 설정-Ack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시키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시킬 것이다. 즉, 설정 옵션들은 설정-Ack 패킷의 ID가 설정-요구 ID와 매칭되지 않을때는 저장되지 않는다.
도 5는 설정-요구 패킷이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때 수행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유사하며, 도 3은 설정-요구 패킷이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설정-요구 패킷에서 요구된 설정 옵션을 분석하기 위해 스텝(S510)이 수행된다. 스텝(S520)에서, 각 옵션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 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체크된다.
임의의 옵션들이 써포트되지 않는 경우에는, 불량 옵션에 대한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시키기 위해 스텝(S530)이 수행된다. 스텝(S540)에서, 설정-요구 패킷이 폐기된다. 스텝(S550)에서, 설정-거절 패킷이 R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로 전송되고, 상기 PPP 프레임화기는 Rm 인터페이스 상의 전송을 위해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할 것이다.
스텝(S520)에서 모든 요구된 옵션들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면,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저장하기 위해 스텝(S560)이 수행된다. 설정-요구 패킷을 U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로 전송하기 위해 스텝(S570)이 수행되고, 상기 PPP 프레임은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상기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한다.
도 6은 설정-Ack 패킷이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도 6은 설정-Ack 패킷이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때 발생하는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도 4와 유사하다. 스텝(S610)에서, 설정-Ack 패킷의 ID는 설정-요구 ID와 비교된다. ID가 매칭되면,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설정 옵션을 저장하기 위한 스텝(S620)이 수행된다. 설정-Ack 패킷을 U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로 전달하기 위한 스텝(S630)이 수행되고, 상기 PPP 프레임화기는 이어서 설정-Ack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시키고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시킬 것이다.
스텝(S610)에서 설정-Ack 패킷의 ID가 설정-요구 ID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설정-Ack 패킷을 R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프레임화기로 전달하기 위해 스텝(S630)이 수행되고, PPP 프레임화기는 이어서 설정-Ack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시키고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시킬 것이다. 즉, 설정 옵션은 설정-Ack 패킷의 ID가 설정-요구 ID와 매칭되지 않을때는 저장되지 않는다.
Rm 및 Um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수신된 임의의 다른 설정 절충 패킷은 MT2 장치를 통해 전달될 것이고 Rm 및 Um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전송될 것이다.
도 7은 LCP 설정 절충의 예이다. 70에서, TE2 장치는 LCP 설정-요구 패킷을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MT2 장치로 전송한다. 72에서, MT2는 LCP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MT2 장치가 LCP 설정-요구 패킷의 모든 요구된 설정 옵션들을 써포트하지 않는지를 판단하며, 불량 옵션을 표시하는 LCP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시키고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한다.
74에서, TE2는 LCP 설정-요구 패킷을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한다. 76에서, MT2 장치는 LCP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설정 옵션을 분석하고, 설정 옵션이 MT2 장치에 의해 써포트 되는지를 판단하고, LCP 설정-요구 패킷으로부터의 설정-요구 ID를 저장하고, LCP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PPP 프레임을 전송한다. 78에서, IWF는 LCP 설정-요구 패킷을 해석하고, 몇몇 요구된 옵션들이 불량인가를 판단하고, 불량 옵션을 포함하는 LCP 설정-거절 패킷을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MT2 장치로 전송한다. 80에서, 상기 MT2 장치는 LCP 설정-거절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이 LCP 설정-요구 패킷도 아니고 LCP 설정-Ack 패킷도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LCP 설정-거절 패킷을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로 전송한다.
82에서, TE2 장치는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LCP 설정 요구 패킷을 상기 MT2 장치로 전송한다. 84에서, 상기 MT2 장치는 CLP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 옵션을 분석하고, MT2 장치가 모든 설정 옵션을 써포트 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LCP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하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IWF로 전송한다. 86에서, IWF는 요구된 옵션들의 다른 값들을 절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IWF는 바람직한 옵션 값들을 표시하는 LCP 설정-Nak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한다. 88에서, MT2 장치는 LCP 설정-Nak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이 LCP 설정-요구 패킷도 아니고 LCP 설정-Ack 패킷도 아닌지를 판단하며, PPP 프레임으로 캡슐화된 LCP 설정-Nak를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로 전송한다.
도 7의 위 예는 PPP LCP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설정 절충 메카니즘이 LCP 프로토콜과 동일하기 때문에 IPCP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CP설정-요구는 LCP 설정-요구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고; IPCP 설정-거절은 LCP 설정-거절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고; IPCP 설정-Nak는 LCP 설정-Nak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도 마찬가지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또한 위에 언급된 임의의 LCP 또는 IPCP 설정 절충 패킷이 Rm 인터페이스 또는 Um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전송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로 여겨지는 것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취지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예 및 동등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4)

  1.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연동 장치(IWF;InterWorking Function) 사이와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TE2 장치 사이에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Configure-Reques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support)되는지를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 요구 패킷의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의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Configure-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PP 프레임에 있는 상기 설정-Ack 패킷을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지를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Ack 패킷에 있는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포함된 모든 옵션 값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6.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연동 장치(IWF;InterWorking Function) 사이와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TE2 장치 사이에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는지를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메모리에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 요구 패킷의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 지를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Ack 패킷의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 방법.
  7.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연동 장치(IWF) 사이와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TE2 장치 사이에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는지를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의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Ack 패킷에 있는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되면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방법.
  12. Um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연동 장치(IWF) 사이와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TE2 장치 사이에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는지를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메모리에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 요구 패킷의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 지를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Ack 패킷의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P 링크 구축 방법.
  13.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 장치(IWF)로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TE2 장치로의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 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Ack 패킷에 있는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장치(IWF)로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로의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 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의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 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Ack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Ack 패킷에 있는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 장치(IWF)로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로의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의해 써포트 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 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 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Ack 패킷에 있는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 장치(IWF)로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로의 PPP 링크를 동시에 구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요구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모든 설정 옵션들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상기 설정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써포트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설정-거절 패킷을 발생 및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 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요구 패킷에 포함된 설정-요구 ID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 요구 패킷에 있는 모든 상기 설정 옵션들이 써포트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요구 패킷을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Ack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설정-요구 ID와 매칭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설정-Ack 패킷에 있는 상기 ID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요구 ID와 매칭된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Ack 패킷에 포함된 모든 옵션들의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설정-Ack 패킷을 상기 PPP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정-Ack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17010736A 1999-02-24 2000-02-24 Um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ppp의 동시 셋업 KR100642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56,118 1999-02-24
US09/256,118 US6370118B1 (en) 1999-02-24 1999-02-24 Simultaneous set up of PPP on AUM and a RM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43A true KR20010110443A (ko) 2001-12-13
KR100642116B1 KR100642116B1 (ko) 2006-11-10

Family

ID=2297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736A KR100642116B1 (ko) 1999-02-24 2000-02-24 Um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ppp의 동시 셋업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370118B1 (ko)
EP (1) EP1155551B1 (ko)
JP (1) JP4422347B2 (ko)
KR (1) KR100642116B1 (ko)
CN (1) CN1157911C (ko)
AT (1) ATE316314T1 (ko)
AU (1) AU763662B2 (ko)
BR (1) BR0008452A (ko)
CA (1) CA2364269C (ko)
DE (1) DE60025592T2 (ko)
ES (1) ES2254154T3 (ko)
HK (1) HK1047837B (ko)
IL (2) IL144794A0 (ko)
WO (1) WO2000051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919300A (en) * 1999-03-25 2000-10-09 Motorola, Inc. Point to point protocol multiplexing/de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US6483822B1 (en) * 1999-06-07 2002-11-19 Marcello Lioy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KR100367657B1 (ko) * 1999-09-21 2003-01-10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데이터 변환 장치, 신호, 데이터 변환 방법, 데이터 회선종단 장치(dce), 게이트웨이 및 통신 장치
US7158516B2 (en) * 2000-06-03 2007-01-02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 connections at point-to-point protocol
EP1175063A3 (en) * 2000-07-20 2003-08-27 Nortel Networks Limited Network layer protocol aware link layer
JP3534185B2 (ja) 2000-10-27 2004-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US6909714B2 (en) * 2001-07-03 2005-06-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figuration options negotiated for a communications link employing a network model
US7342894B2 (en) * 2002-04-03 2008-03-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Mobile IP registration within PPP negotiation
US6973088B2 (en) * 2002-04-03 2005-12-06 Qualcomm Incorporated PPP link negotiation in mobile IP systems
US7590408B2 (en) * 2002-04-03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determination of network support for mobile IP
KR100463820B1 (ko) * 2002-10-01 2004-1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데이터 초기접속 지연 개선방법
US7430602B2 (en) * 2002-12-20 2008-09-3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provisioned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US7877081B2 (en) * 2003-07-25 2011-01-25 Qualcomm Incorporated Proxy-encrypted authentication for tethered devices
JP3959402B2 (ja) * 2004-03-19 2007-08-15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通信接続装置及び通信端末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通信方法
US9032065B2 (en) * 2004-07-30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Fast link establishment for network access
US8233416B2 (en) * 2004-09-28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supports for networks having different link establishment protocols
CN101257496B (zh) * 2006-11-13 201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配置信息的方法和系统
US8787239B2 (en) * 2008-04-30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relay-model tethered data calls in wireless networks
CN101902827B (zh) * 2010-07-03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建立分组数据连接的方法及无线通信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027C (fi) * 1995-01-10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järjestelmä ja päätelaitteisto pakettiradiojärjestelmää varten
US5666362A (en) * 1995-07-25 1997-09-09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PPP and synchronous PPP conversion
US5708655A (en) * 1996-06-14 1998-0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with a dynamically-assigned address
US5918019A (en) * 1996-07-29 1999-06-29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dial-up protocol for network communication
KR100260516B1 (ko) * 1997-04-01 2000-07-01 정선종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9990001580A (ko) * 1997-06-16 1999-01-15 양승택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3 팩스 서비스 방법
US6665718B1 (en) * 1997-10-14 2003-12-16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it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5592T2 (de) 2006-10-26
CA2364269A1 (en) 2000-08-31
JP2002538674A (ja) 2002-11-12
ATE316314T1 (de) 2006-02-15
DE60025592D1 (de) 2006-04-06
EP1155551A1 (en) 2001-11-21
AU763662B2 (en) 2003-07-31
US6370118B1 (en) 2002-04-09
CA2364269C (en) 2009-03-24
ES2254154T3 (es) 2006-06-16
WO2000051312A1 (en) 2000-08-31
AU3380300A (en) 2000-09-14
CN1376353A (zh) 2002-10-23
JP4422347B2 (ja) 2010-02-24
IL144794A0 (en) 2002-06-30
BR0008452A (pt) 2002-09-24
EP1155551B1 (en) 2006-01-18
KR100642116B1 (ko) 2006-11-10
HK1047837B (zh) 2005-04-01
CN1157911C (zh) 2004-07-14
HK1047837A1 (en) 2003-03-07
IL144794A (en) 2007-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116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를 통한 ppp의 동시 셋업
US6775553B1 (en) Method of avoiding PPP time-outs during IPCP negotiations
US7177289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a radio device and a terminal
US6278706B1 (en)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59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d-to-end communication between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and a remote entity over an IP-based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the internet
MXPA02006627A (es) Metodo y aparato para casos de requisicion de protocolo de punto a punto (ppp) desde una red de servicios de datos en paquete.
KR100633204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에서 PPP 링크의 독립적인동기화
JP2010114905A (ja) 共通ipアドレス付きの移動端末および無線装置
KR200500909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프로토콜에 따른 vpn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21537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협상된 옵션들에 따른PPP 패킷들의 선택적 프레이밍 및 언프레이밍
KR100763082B1 (ko)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 동안 데이터 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46866B1 (ko) 효율적인 조기 프로토콜 검출 방법
KR200700733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되는 ppp 세션 연결 시스템
KR100505896B1 (ko) 단말기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교환 방법
MXPA01008593A (en) 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4